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2/23 13:53:13
Name 이리떼
Subject [질문] 문자에 대한 인상차이
혹시 영어 또는 한자가 우리말보다 더 세련되어 보인다는 인상을 받으신 적 있으신가요?
당장 저도 대화를 하거나 문장을 쓸 때 한자어가 많이 들어가면 문장이 격조 있어 보인다고 느끼곤 합니다.
(밥 먹자 - 식사하자)
영어에서도 talk와 conversation의 격조 차이를 원어민이 느끼곤 하는데, 이때 이 conversation이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단어입니다.
영어권 화자들도 프랑스어에서 비롯된 단어들을 뭔가 조금 더 세련되게 느끼는 거 같은데, 여러분은 이런 인상 차이가 어디에서 온다고 생각하시나요?
처음에 우리말과 한자어의 차이만 봤을 때는 언어의 경제성 차이(한자어가 더 짧고 축약적임)에서 온다고 생각했습니다.
(자는 용 - 잠룡, 따뜻한 흐름 - 난류)
그런데 막상 영어에서는 프랑스쪽 단어가 더 길지 않습니까?
단지 외래어라서 더 세련되게 느끼기에는 막상 일본어에서 온 단어들은 그렇게 느껴지지(시마이치자 이런 것) 않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호호애비
20/12/23 14:02
수정 아이콘
한국말에서 한자어가 세련되게 느껴지는 이유는 아무래도 예전에 지식인층이 한자를 사용했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일본어가 싸구려처럼 느껴지는 이유는 그반대로 강점기 시절을 거치고 독립 이후에 교육 받지 못한 사람들이 일본 단어를 많이 사용했기 때문이라 봅니다.
Cazellnu
20/12/23 14:08
수정 아이콘
문화사대 같은 거라고 봅니다.
미국이나 유럽 지도층들이 그렇게 불어를 사용했다고 하죠.
배고픈유학생
20/12/23 14:16
수정 아이콘
영어에서 프랑스계열 언어들도 원래 귀족들이 쓰는 말이었죠.
우리나라 한자어도 대부분 식자층이 쓰는 말이었구요.
그리고 각종 서적이나 문서에는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한자어를 많이 쓰게 됐고 그게 전문성을 띄게 된 것 같아요.

물론 한자만 쓰는 중국도 구두어/서면어 라고 상황에 따라 다른 단어를 씁니다.
해질녁주세요
20/12/23 14:29
수정 아이콘
인도의 카스트 계급이 여전히 뿌리뽑히지 않는다고 하지만 예전과 달리 계급차이가 많이 퇴색된 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근대화 과정에서, 상류계급들은 영어 사용을 통해 하류계급과의 차별성을 유지했습니다. 언어란 어떤 계급의
사람들이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그 언어 사용자의 계급성을 띈다고 볼 수 있습니다.
醉翁之意不在酒
20/12/23 15: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한자어가 세련되게 느껴지는건 실제로 그렇기때문이죠. 애초에 세련이란것도 한자어고.
일본어도 그렇고 우리말도 그렇고 결국은 언어자체 특히 어휘가 성숙이 못된채로 발육이 정지된 상태죠.
그래서 날씨라는 어휘가 있지만 기후, 천후, 기상 이러루한 어휘가 없는거구요. 최소한의 일상에 필요한 단어는 있지만 추상적이거나 더 깊이 더 높이 더 넓은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가 없다는거죠. 그런 단어들은 한자어 현재는 영어같은 외래어 어휘들이 차지하고 있고 그렇기때문에 더 격조가 있어보이는거죠. 즉 격조있는 얘기를 하려면 이런 한자어 외래어가 필요하니 그 한자어 외래어들이 격조높게 느껴지는거구요.
ANTETOKOUNMPO
20/12/23 22:27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기준으로 우리말은 어린아이들이나 (본인 생각에) 교양적이지 않은 사람들도 쉽게 사용하는 말이고,
한자나 외국어는 어느 정도 교양있는 사람들이 별도의 노력을 들여서 배우게 되는 것이다보니 그런 식으로 느껴지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일반적으로 유식한 사람들이 한자나 외국어 많이 쓰잖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1440 [질문] 코로나 vs IMF. 둘중 어떤사건이 경제적으로 더 고통적이었을까요? [23] Salmon6425 20/12/24 6425
151439 [질문] Ncs 수리 영역이 약한데 방법론이나 자료를 어떻게 구할까요? [6] 어빈5962 20/12/24 5962
151438 [질문] 한국 민주당은 '리버럴' 정당이 맞나요? [9] 흥선대원군6359 20/12/24 6359
151437 [질문] 중고 기름 손난로 구매했는데 불량인것 같아요 천국와김밥5640 20/12/24 5640
151436 [질문] 편의점 코카콜라는 왜 이리 비쌀까요? [22] ELESIS7057 20/12/24 7057
151435 [삭제예정] 의견주신 모든 분들 정말 감사합니다. [22] 삭제됨8091 20/12/24 8091
151433 [질문] [스타1] 요즘 정석 빌드는 무엇인가요? [10] 0126양력반대8317 20/12/24 8317
151432 [질문] 닌텐도 스위치 필구 악세사리 질문입니다. [11] 찬양자5428 20/12/24 5428
151431 [질문] 인터넷방송 버퍼링? 문제 [1] 야경4948 20/12/24 4948
151430 [질문] 9100F+1650Super로 GTA5 프레임 드랍 [2] 엔지니어5956 20/12/24 5956
151429 [질문] 컴알못인데 좋은 컴 맞추고 싶어요. 어떻게 해야할까요? [3] 마샬스피커5841 20/12/24 5841
151428 [질문] 헤드셋에서 날 수 없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6] 아르네트7715 20/12/24 7715
151427 [질문] 휴대폰 본인인증 번호를 불러달라고 하는 경우 피싱일까요? [3] 제리드6456 20/12/24 6456
151426 [질문] 국세체납 시효나 탕감 관련해서 잘 아시는 분이 있으실까요? [12] 삭제됨6514 20/12/24 6514
151425 [질문] 전기요금 질문 [7] 삭제됨5533 20/12/24 5533
151424 [질문] 한게임 맞고 사양이 높나요? [7] StondColdSaidSo7391 20/12/24 7391
151423 [질문] 사무실 pc, 프린터 유선랜 무선랜 문제 [6] 봄바람은살랑살랑9084 20/12/24 9084
151422 [질문] 피씨 견적질문입니다. [17] 열혈둥이6988 20/12/24 6988
151421 [질문] 대구 집값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10] 실제상황입니다7580 20/12/24 7580
151420 [질문] 회사가 직원에게 대출받는 경우도 있나요? [14] 유유할때유7049 20/12/24 7049
151419 [질문] tv 직구 질문입니다 [5] 라디오스타5122 20/12/24 5122
151418 [질문] 노트북 비교 부탁드립니다 [4] 안용8447 20/12/24 8447
151417 [질문] 별의커비 동료 한명을 못구하고 있어요. 도와주세요! [6] 유니꽃6031 20/12/24 603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