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2/21 15:59:27
Name 까우까우으르렁
Subject [질문] 전기, 컴 알못인데요. 질문 있어요
전기요금이 너무 많이 나와서 절전 좀 해보려는데 뭐 할수 있는게 많지 않더라고요

냉장고, 티비 등 초대형 전기용품은 어찌할수 없고

항상 집에서 벽에 꽂아 쓰는 용품(led 시계, led 스탠드) 중

벽에 전기코드를 사용하는걸 빼고 대용량 보조 배터리 usb 충전해서 꽂아서 쓰면 절전효과 있겠다 싶더라고요

컴퓨터는 자주 사용해서 항상 켜두니 그때 대용량 보조 배터리 usb 충전하면 되겠다 싶은데,

별 효과 없을라나요?

컴퓨터로 대용량 보조 배터리 충전하면 컴퓨터 전기요금 더 나가나요?

전기요금에 누진제 턱걸이로 넘어서 나오니...(누진 3단계에 해당 한는 한달 400 kwh ~407 kwh 나와요ㅠ.ㅠ)

좀 줄여봐야 겠는데 여러분은 어떤것을 줄여보시겠어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위치 메이커
20/12/21 16:01
수정 아이콘
보조배터리 충전 과정에서 이미 전력 손실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대기전력 감안해도 더 나갈 거 같은데요?
20/12/21 16:01
수정 아이콘
컴퓨터 자주써도 껏다 켜면...
카페알파
20/12/21 16:05
수정 아이콘
일반적으로 LED 계열은 전기 그렇게 많이 안 먹습니다. 저도 전기를 잘 모르긴 하지만 전기를 가장 많이 많이 먹는게 열을 내는 물건일 겁니다. 전열기나 전기 담요는 말할 것도 없고, 전등 중에서도 백열전구나 기타 열을 많이 내는 전구들도 전기를 꽤 먹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백열전구, 형광등등 집에 있는 전구라는 전구는 몇 개 빼고 다 LED 전구로 교체한 적이 있는데, 당장 전기료가 꽤 적게 나오더군요.
김잉여
20/12/21 16:18
수정 아이콘
전기코드 그대로 쓰시는게 조금이나마 더 적게 쓰시는 겁니다.
배터리를 쓰든 코드를 꽂든 어차피 소비전력은 똑같고, 배터리 충전/소비 하느라 추가적인 전력소비가 생깁니다.
냉장고 냉동/냉장 단계를 내려보거나 대기 전력을 잡아먹는 기기를 찾아보시는게 어떨까요
갑의횡포
20/12/21 16:29
수정 아이콘
전자제품 소비전력 다 확인하시어 안쓸땐 끄고 쓸때만 켜고 해야죠. 생활 습관을 바꾸거나 아예 안쓰거나
항정살
20/12/21 16:31
수정 아이콘
츠라빈스카야
20/12/21 16:38
수정 아이콘
배터리 충전도 전기를 쓰는거고, 충전하는 과정에서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오히려 손해일 겁니다.

사실 냉장고, TV는 전기 생각보다 덜 먹습니다. 냉장고는 자주 여닫지 않는 한, 냉기 유지를 위한 정도로 조금씩 돌아가는 수준이라...다나와 검색해보면 삼성/LG 800리터대 냉장고가 월 전력소모 30kWh전후로 나오는군요.
TV도 소비전력이 보통 100W 앞뒤니까 하루 24시간 켜둬도 2.4kWh나올거고....

전자렌지, 다리미, 청소기, 드라이어같은건 사용시간이 짧을테고...사실 전기먹는 하마인데 사용시간까지 긴 건 보통 PC일겁니다...;;
포도씨
20/12/21 16:43
수정 아이콘
알게모르게 전기를 많이 먹는 제품들....냉온정수기(특히 온수쪽), 비데(변좌와 온수온도 유지), 드럼세탁기(온수세탁), 할로겐 보조등... 한번 확인해보세요.
까우까우으르렁
20/12/21 16:48
수정 아이콘
답변들 감사합니다
김경호
20/12/21 17:19
수정 아이콘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컴퓨터는 본체보단 모니터가 더 많이 나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어느정도 나오시는지 알 수 없지만 희한하네요 저도 전기를 꽤나 많이 쓰는 편이라고 생각하는데 그렇게 많이 요금이 나오지 않거든요

전기는 아무리 부자인 사람도 써야 하는거라 그나마 싸다고 생각하는데..
츠라빈스카야
20/12/21 17:24
수정 아이콘
모니터 소모전력이 많아봐야 100와트가 안될텐데(75인치 TV도 그거 안되니), 모니터가 본체보다 더 먹지는 않을겁니다.
본체는 아무리 게임 풀로드로 돌리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파워가 7~800와트짜리 들어가니 기본 몇백와트는 될텐데요...
일반상대성이론
20/12/21 17:59
수정 아이콘
거의 하이엔드여야 700~800 파워 쓰는데요...
그마저도 롤같은 게임으로는 돌려도 300W 이상 안먹을 걸요.
유튜브 FHD 보는 정도는 100~200W 먹는다고 하네요
츠라빈스카야
20/12/21 18:05
수정 아이콘
그래서 몇백이라고 한거죠...아무튼 모니터보단 본체가 몇배 더 먹는다는 의미에서..
20/12/21 17:45
수정 아이콘
죄송합니다
20/12/21 18:05
수정 아이콘
컴퓨터 자주 사용해도 할때마다 켜고 평소에 꺼두시는거만 해도 괜찮을꺼 같아요.그리고 컴퓨터usb 로 충전하는게 배터리나 혹은 핸드폰이나 고속 충전이 안되기 때문에 실제로 생활에 불편함 없이 쓸수 있을꺼 같지 않아보입니다.. 그리고 멀티탭이나 전기 코드나 안쓰는거 뽑는게 은근히 전기 소모량 많이 줄여 줄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1429 [질문] 컴알못인데 좋은 컴 맞추고 싶어요. 어떻게 해야할까요? [3] 마샬스피커5978 20/12/24 5978
151428 [질문] 헤드셋에서 날 수 없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6] 아르네트7827 20/12/24 7827
151427 [질문] 휴대폰 본인인증 번호를 불러달라고 하는 경우 피싱일까요? [3] 제리드6527 20/12/24 6527
151426 [질문] 국세체납 시효나 탕감 관련해서 잘 아시는 분이 있으실까요? [12] 삭제됨6580 20/12/24 6580
151425 [질문] 전기요금 질문 [7] 삭제됨5593 20/12/24 5593
151424 [질문] 한게임 맞고 사양이 높나요? [7] StondColdSaidSo7536 20/12/24 7536
151423 [질문] 사무실 pc, 프린터 유선랜 무선랜 문제 [6] 봄바람은살랑살랑9167 20/12/24 9167
151422 [질문] 피씨 견적질문입니다. [17] 열혈둥이7084 20/12/24 7084
151421 [질문] 대구 집값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10] 실제상황입니다7682 20/12/24 7682
151420 [질문] 회사가 직원에게 대출받는 경우도 있나요? [14] 유유할때유7119 20/12/24 7119
151419 [질문] tv 직구 질문입니다 [5] 라디오스타5197 20/12/24 5197
151418 [질문] 노트북 비교 부탁드립니다 [4] 안용8539 20/12/24 8539
151417 [질문] 별의커비 동료 한명을 못구하고 있어요. 도와주세요! [6] 유니꽃6162 20/12/24 6162
151416 [삭제예정] 가족의 공황장애에 대한 질문입니다 [3] 삭제됨5921 20/12/24 5921
151415 [질문] 자산분배 관련 질문입니다(달러선물 관련) [7] vorhandensein6382 20/12/24 6382
151414 [질문] 화장실 변기에 앉으면 트림이 납니다. [12] 시드마이어7308 20/12/24 7308
151413 [질문] 헤어 커트 관련 궁금증 질문 야경5745 20/12/24 5745
151412 [질문] 스팀과 닌텐도 프로콘 질문 [7] 인간성승헌7972 20/12/23 7972
151411 [질문] 플스 피씨 겸용 헤드폰 추천좀 해주세요 [2] 삭제됨5725 20/12/23 5725
151410 [질문] 요즘 pc 케이스가 왜 이렇게 커요? [12] 아찌빠8615 20/12/23 8615
151409 [삭제예정] [부동산 관련] 임대인이 임차인의 개인정보 공유에 관해서 질문 드립니다. [5] 삭제됨5071 20/12/23 5071
151408 [질문] 식당 5인이상 집합금지 이렇게는 허용되는건가요? [23] valewalker7175 20/12/23 7175
151407 [질문] 중고로 30만원 이하로 살수 있는 폰중에 카메라 성능이 가장 좋은 폰은.. [7] 마르키아르6420 20/12/23 64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