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1/28 16:46:34
Name 회색사과
Subject [질문] 미국 경찰이랑 백파이프는 무슨 관계 일까요?



다크나이트 트릴로지 정주행 중에 궁금해져서 질문 올립니다.

다크나이트를 보다 보면 짐 고든이 경찰청장 장례 행사에서 총을 맞게 됩니다.
그런데 이 행사를 보면... 킬트를 입고 백파이프 연주로 시작을 합니다.

이렇게 뭔가 미국의 경찰 (특히 뉴욕) 행사에서 킬트입고 백파이프 부는 행사가 많은 것 같은데...

뉴욕과 스코틀랜드 의상 & 악기가 어떤 관계가 있는 걸까요 ??

영문 위키에 아예
NYPD Pipes and Drums [https://en.wikipedia.org/wiki/NYPD_Pipes_and_Drums] 라는 항목도 있네요...
NYPD 인데 어째서인가 사진은 퀘벡이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태연­
20/11/28 16:49
수정 아이콘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 미국에서는 경찰관이나 소방관 등이 순직하여 장례식을 치를 때 백파이프를 불며 이를 애도하는 광경을 어렵잖게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아일랜드 이주민들로부터 유래한 관습이다. 19세기 아일랜드 대기근의 참상을 피해서 미국으로 온 대부분의 수많은 아일랜드 인들은 가진거라곤 몸뚱아리 뿐이었기에 몹시 빈곤했다. 그들은 먹고 살기 위해선 무슨 일이든지 해야했고, 그러다 보니 당시에도 기피업종으로 여겨지던 경찰관이나 소방관, 혹은 군대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았다. 자연히 직업상 어려운 임무를 수행하다가 임무 중 순직하는 경우가 많았고, 아일랜드 출신의 경찰관들과 소방관들은 백파이프를 연주해서 망자를 애도하였는데 이것이 하나의 관습으로 굳어진 것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오늘날 까지도 미국에서 백파이프는 축제를 비롯해서 특히 경찰, 소방관, 군인 등의 장례 행렬 등에서 자주 등장한다. 특히 미 동부권은 스코틀랜드계와 아일랜드계 이민자들이 소방, 경찰 공무원으로 활약했던 경우가 많았다.

-꺼무위키 '백파이프' 중
회색사과
20/11/28 16:52
수정 아이콘
아이고 ... 꺼무위키 제일 먼저 봤는데 저 단락만 놓쳤네요. 감사합니다!
조말론
20/11/28 16:50
수정 아이콘
서양권에서 추도할 때 군악대같은 분들이 저 도구들을 사용하는거 아닌가요?
회색사과
20/11/28 16:52
수정 아이콘
윗 분이 잘 알려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공항아저씨
20/11/28 16:58
수정 아이콘
이런게 있는지도 몰랐는데 관찰력이 좋으시네요 단순히 아일랜드 계층이 많이 넘어와서 그렇지않을까? 하고 생각했는데 더 자세한 내용을 덕분에 알게 되었습니다. 경찰관 소방관 군인은 그때나 지금이나 기피업종이군요. 다른점은 미국에선 많은 일반 시민들이 그들의 업무를 존중해준다는거죠. 경찰빼고.
부질없는닉네임
20/11/28 17:24
수정 아이콘
기왕 꺼무위키 보셨으니 이 항목도 참고하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https://namu.wiki/w/%EC%95%84%EC%9D%BC%EB%9E%9C%EB%93%9C%EA%B3%84%20%EB%AF%B8%EA%B5%AD%EC%9D%B8
회색사과
20/11/29 00:53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읽어보겠습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0650 [질문] 젤다무쌍 : 대재앙의 시대 하는 분 계신가요? [2] 及時雨5376 20/11/30 5376
150649 [질문] 아파트 전세(세입자) 관련 질문 몇 개 드립니다. [4] 유정6727 20/11/30 6727
150648 [질문] 이사 중 게임방 인테리어 질문드립니다 [9] 싸구려인간6837 20/11/30 6837
150647 [삭제예정] 회사 2군데서 스카웃 오퍼를 받았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31] 삭제됨6797 20/11/30 6797
150646 [질문] 2억 대출시 은행vs부모님 택1 질문 드립니다. [15] 삭제됨8787 20/11/30 8787
150645 [질문] 신차 유리막코팅vs에프터블로우vs보조배터리 [15] 안희정7519 20/11/30 7519
150644 [질문] 엠엘비 파크 로그인이 안됩니다 아린어린이6292 20/11/30 6292
150642 [질문] 캠핑 가서 저녁에 들을 감성 명곡 추천해주세요! [5]  아이유5515 20/11/30 5515
150641 [질문] 한글 파일 저장시 그림 깨짐 [2] 타마노코시7566 20/11/30 7566
150640 [질문] 과메기 맛있나요?? [31] 치토스6670 20/11/30 6670
150639 [삭제예정] 직원들 2021년 최저임금을 계산해야 하는데.... 도움을 바랍니다 [7] 하얀마녀6584 20/11/30 6584
150638 [질문] 입천장이 헐어서 자고 일어나면 꽤나 괴롭네요. 방법없나요? [3] 랜슬롯5574 20/11/30 5574
150637 [질문] 강남 피부과.추천부탁드립니다. 마제스티6543 20/11/30 6543
150636 [질문] 음식먹다가 혀를깨물어서 상처가 났습니다. 그후에 뭘먹어도 쓴맛이 나는데 왜이런걸까요?? [2] Gunners6845 20/11/29 6845
150635 [질문] 칼바람 나락 4인대전 [25] 태정태세비욘세7127 20/11/29 7127
150634 [질문] 핸드폰 기기변경에 관해서 여쭤봅니다. [5] HYNN6424 20/11/29 6424
150633 [질문] 5년된 중고 자전거는 어떻게 처리하는게 좋은가요? [5] 새럴7415 20/11/29 7415
150632 [질문] 이번 수도권 거리두기 방역지침 단계 상승에 노래방 영업금지도 포함되나요? [1] 요한슨6288 20/11/29 6288
150630 [질문] 가테 풀초 뭐할까요? [5] 비행기타고싶다5314 20/11/29 5314
150629 [삭제예정] pgr 글쓰기시 글자수 제핞 아이콘에 대한 질문입니다. [1] 삭제됨5324 20/11/29 5324
150628 [삭제예정] 2만원 이하 가장 맛있었던 음식 추천해주세요. [23] AW8705 20/11/29 8705
150627 [질문] 부양의무자 동의서 관련 질문입니다 으아아악5444 20/11/29 5444
150626 [질문] 통장이 개설되지 않은 은행에서 출금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6] 쌍둥이아빠6132 20/11/29 613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