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1/14 17:43:09
Name 흥선대원군
Subject [질문] 한국인의 평균 지능지수는 계속 높아질까요?
얼마전에 본 뇌과학 책을 읽고 질문드려요. 일반적으로 인류 전체의 지능지수는 꾸준히 높아졌다고 해요. 특히나 영양상태의 개선, 질병의 극복이 평균지능의 상승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하구요.

헌데 저자는 미국에서 고지능자가 자식을 덜 낳고, 저지능자가 자식을 많이 가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따라서 다음 세대는 근대 이후 처음으로 부모 세대보다 평균지능이 하락한 세대가 될 수 있다고 우려하더라구요.

그런데 우리나라도 미국과 같은 추세를 보일까요? 지능별 출산율은 모르겠지만 소득별로 살펴보면 우리나란 고소득층이 오히려 출산율이 높아요. 일반적으로 고소득층이 저소득층보다 평균지능이 높다는 걸 생각하면 우리나란 미국의 경우완 정반대이지 않나 해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醉翁之意不在酒
20/11/14 18:22
수정 아이콘
책 제목이 뭔가요?
흥선대원군
20/11/14 18:24
수정 아이콘
"지능의 사생활"입니다!
醉翁之意不在酒
20/11/14 18:37
수정 아이콘
함 읽어봐야겠네요. 고맙습니다
술라 펠릭스
20/11/14 18:37
수정 아이콘
지능도 어느정도 학습되지 않나요?

그리고 궁금한게 원래 IQ 자체는 평균중에 자기가 속한 값인데 실재로 높아지는 거 말고 수치상으로 어떻게 높아졌다고 증명할 수 있는 걸까요?
20/11/14 18:43
수정 아이콘
네 한글이 오피라서 최소한 떨어지진 않을거라 봅니다.
투더문
20/11/14 18:56
수정 아이콘
TED 강연에서도 본 내용입니다만.. 교육 환경이 점점 좋아져서 어릴 때 좋은 교육으로 인한 IQ 상승이 상당한가 보더군요.
한국한정 유전자풀이 그대로일지라도 최소한 현재 태어나는 세대까지는 지능지수가 점차 높아질것 같구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몇세대는 더 계속될거 같네요. 환경적인 측면을 제외하고, 유전적으로도 IQ는 크게 모르겠습니다만 키라든가 매력도는 확실히 상승할듯? 미국이랑은 경향이 다르지 않을까 싶네요.
HA클러스터
20/11/14 19:2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사람들 평균키는 영양상태가 좋아짐에 따라 과거에 비해 점점 커져왔습니다만 2000년 이후부터는 그 성장세가 거의 멈추었습니다. 과거에는 잠재력에 비해 영양이 부족해서 키가 작았지만 지금은 거의 한계치에 도달했다고 봐야겠죠.
IQ도 과거의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던, 혹은 부적절한 교육을 받았던 세대가 점점 퇴진하고 현대의 양질의 교육을 거의 전국민이 받게 되면서 향상은 되겠지만 이것도 언젠가 한계치에 도달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회색사과
20/11/14 20:05
수정 아이콘
요새 조혼 (이래봐야 20대 중반) 다산 (이래봐야 둘셋) 은 부의 상징이라....

애도 낳을 만한 사람들이 낳고 있어서...
당분간은 더 오르지 않을까요??
조휴일
20/11/15 04:34
수정 아이콘
이디오 크러쉬란 영화가 생각나네요

참 어리석은 일반화일진 모르겠지만

제 주변에도 대기업+고학력 친구들이 기반이 없으면 결혼을 기피하거나 혹은 아이를 안가지는 반면

비정규+저학력 친구들이 결혼을 빨리하고 아이를 낳는경우가 꽤나 많아서..

쨎든 재밌는 얘기네요.. 인간지능은 시간의 흐름에따라 우상향할거라 생각합니다 일정치 이상은 못가겠지만..
Tyler Durden
20/11/15 09:58
수정 아이콘
???! 고소득자가 애를 많이 낳는다 한들
그 숫자 자체가 적지 않습니까?
또 오히려 요즘 세대들은 책을 안 읽습니다.
저만해도 책 읽던 시절이 더 똑똑했을 거 같다고 생각하는데, 인터넷은 잡지식만 늘어나고... 크크
뭐 고려해야 될 환경 변화가 많습니다..
아이수가 적어지면서 선생 한명당 담당해야 할 아이수가 적어지면서 좀 더 교육이 잘 될수도 있고 등등
미래는 AI발달로 많은 산업분야가 대체될수 있기에 공부의 필요성이 반대로 낮아질수도 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0602 [질문] 미국 경찰이랑 백파이프는 무슨 관계 일까요? [7] 회색사과7243 20/11/28 7243
150565 [질문] 볼만한 미국 드라마 추천 부탁 드립니다. [30] 모나크모나크5263 20/11/27 5263
150360 [질문] 최근 경제 유투브를 감상하고 몇 가지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합니다 [7] Alynna5840 20/11/20 5840
150285 [질문] 연금저축계좌로 펀드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7] 카서스6863 20/11/17 6863
150251 [질문] 바이든이 당선된 게 아닌가요? [14] pqknni8675 20/11/16 8675
150215 [질문] 한국인의 평균 지능지수는 계속 높아질까요? [10] 흥선대원군6307 20/11/14 6307
150203 [질문] 미국산 소고기 어디서 사다먹어야하죠? [19] 티맥타임7857 20/11/14 7857
150200 [질문] 왜 한국은 ETF투자가 활성화되지 않은 걸까요? [7] StayAway7269 20/11/13 7269
150119 [질문] (올웨더) 미국채 선물 30년 살려는데 잘 아시는분 계실까요? [11] 싶어요싶어요7101 20/11/11 7101
150111 [질문] 서구권은 양치나 설거지 후에 물로 안헹구는게 기본인가요?? [13] 인간흑인대머리남캐8300 20/11/10 8300
150103 [질문] 고개를 앞으로 숙이면 머리가 아픕니다 [3] 대학생이잘못하면5780 20/11/10 5780
150092 [질문] Semi-Quarter Final이라는 표현에 대해 [6] 복합우루사6556 20/11/10 6556
149976 [질문] 간단한 영어 문법 질문 [7] 정연5711 20/11/06 5711
149923 [질문] 가정이지만, 미국 대선 불복 시나리오는 어떻게 예상되나요? [6] SaiNT6898 20/11/04 6898
149915 [질문] 미국대선 버지니아 주, 왜 지는데 이기나요? [4] 스토리북7626 20/11/04 7626
149900 [질문] 해외선물 하시는분들 계신가요? [7] 여의도클라쓰5844 20/11/03 5844
149896 [질문] 미국 대선 누가 되는 게 우리나라에 유리한가요? [4] 실제상황입니다4938 20/11/03 4938
149718 [질문] 영화를 찾습니다. [2] 딱총새우5109 20/10/28 5109
149689 [질문] 미드 보다가 궁금한 점 ! (미국 음주운전??) [14] gkrk8542 20/10/27 8542
149585 [질문] 미국에서 쓰는 키보드를 그대로 우리나라에서 쓰면 [11] ArcanumToss5505 20/10/23 5505
149492 [질문] 미국 배심원 관련 질문 [1] 앗흥5132 20/10/20 5132
149478 [질문] 요새는 수학 지수에서 '승'이라는 표현안쓰잖아요 [19] 종이컵8709 20/10/19 8709
149217 [질문] 미국에서 입국해 자가격리중인 친척분에게 선불폰 개통해드리는 방법? [1] 코시엔5353 20/10/11 535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