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8/28 02:13:09
Name morncafe
Subject [질문] 장례식 절차 (미국에서 입국 예정)
장인 어른이 위독하셔서 조만간 가족 모두가 한국으로 입국해야 할 듯 합니다.
대략 일주일 정도 머무를 예정이구요.
이런 경우에 입국시 검사 와 자가 격리 그리고 장례식이 어떻게 이루어 지는지
절차를 알고 싶은데요.

현재 미국 거주 중이고, 가족 모두는 건강한 상태입니다.

혹시 참고할 만한 웹사이트나 본인의 경험을 얘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줄리엣
20/08/28 02:39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입국자들은 입국시 유증상이면 검사후 2주격리 조치, 무증상이어도 검사후 2주격리 조치 합니다.

다만 장례식등의 이유로 입국하게 되는경우, 입국 전에 미리 신청하는게 있을겁니다.
제 기억으로는, 그럴 경우에는 미리 신청이 잘 되었고, 입국시 무증상이고, 입국시 검사에서 음성이 나올경우 장례식 참가가 가능했던것 같습니다.
아마 장례식 끝난후에는, 입국후2주가 되는 시점까지 격리를 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박원순씨 아들이 이러한 사항으로 입국후 박원순씨 장례식에 참여했던걸로 기억합니다. 장례식 참여시 방호복을 입는 여부는 잘 모르겠고, 신청할때 자세히 알아보시면 될듯합니다.
20/08/28 10:35
수정 아이콘
미국에 있는 제 친구가 5월에 모친상을 당하여 입국한 적이 있는데,
영사관을 통하여 미리 얘기하고 인천공항에 입국하여 검사 후 음성 나오자마자 장례식장으로 왔었습니다.

이미 장례를 치르는 중에 급히 귀국한 상주였기에 조금 다른 케이스이긴 하지만,
직계가족 정도라면 검사 후 격리기간 없이 바로 장례에 참석할 수 있게 하지 않을까 합니다.

정확한 건 영사관에 직접 문의해보시는게 좋을 겁니다.
Je ne sais quoi
20/08/28 12:13
수정 아이콘
일단 정확한 건 대사관에 문의해야 합니다. 두 달 전 장인어른이 위독하시다는 연락을 받고 바로 입국했었는데, 이걸로는 당연히 자가격리 면제가 안 됩니다. 기본적으로 자가격리를 해야 하고, 제 경우 2주 자가격리 기간 중에 돌아가셔서 담당 공무원, 보건소 연락해서 다시 검사 받고 다음 날 결과 나온 후 장례식장에 도착해서 레벨 D 방호복(전신 방호복)을 입고 입관식에만 잠시 참여하고 바로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간단히 하면, 돌아가시지 않은 한 자가격리 면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 입국자와 동일하게 가고, 단 자가격리기간 중 돌아가시는 경우 연락해서 해당 보건소 안내에 따르시면 됩니다. 현재는 두 달 전보다 상황이 안 좋아서 또 다를 수 있음을 참고하세요.
morncafe
20/08/28 22:32
수정 아이콘
답변 주신 분들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9111 [질문] 미국에서 잠깐 한국에 온 여동생 선물은 뭐가좋을까요? [12] 열혈둥이5409 20/10/07 5409
148910 [질문] 미국에 계신 분들 유튜브 tv 다른 지역 사람들이랑 공유할 수 있나요? [1] 몽키.D.루피4365 20/10/01 4365
148889 [질문] 영화를 찾고 있습니다 [2] 열혈근성노력4463 20/09/30 4463
148884 [질문] 미국 코메디 영화 추천 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20] galax5856 20/09/30 5856
148772 [질문] 국내에서 미국 은행계좌 만드는법이 있을까요? [4] Golden15576 20/09/25 15576
148676 [질문] 미국식 피자(?)에 가장 가까운 피자가 어디일까요? [11] galax6288 20/09/22 6288
148595 [질문] 컴퓨터 부품을 미국에서 한국으로 배송할 때 관세 질문 [4] SQA6108 20/09/19 6108
148558 [질문] 미국에서 애플케어플러스 가입해도 괜찮을까요? [2] 삭제됨4829 20/09/18 4829
148537 [질문] PS5도SSD 교체가능할까요? [8] 이바라쿠7139 20/09/17 7139
148166 [질문] 나이키 vs 코카콜라 [9] 똥꼬쪼으기6262 20/09/03 6262
148142 [질문] 주식 토론.. [16] 맨발의단타6148 20/09/02 6148
148115 [질문] [주식] 테슬라 주가 어떻게 보시나요? [29] 공부맨8684 20/09/01 8684
147988 [질문] 장례식 절차 (미국에서 입국 예정) [4] morncafe5216 20/08/28 5216
147945 [질문] 외국 연구분야 패거리 문화는 어떤지 아시는 분 있으십니까 혹시 ㅠ [3] 차라리꽉눌러붙을6434 20/08/27 6434
147924 [질문] 미국 세법에서 한국의 개인사업자는 Individual인가요 Entity 인가요? [2] 서쪽으로가자4264 20/08/26 4264
147824 [질문] 복수국적자 미국투자 가능한가요? [3] 큐브큐브5452 20/08/23 5452
147508 [질문] 예전에 보던 만화인데, 혹시 정발본이 있나해서 여쭤봅니다. [8] 라그나문4837 20/08/12 4837
147270 [질문] 미국 주식 양도소득세 문제 [2] 파르티타4203 20/08/04 4203
147181 [질문] 갭투자와 미국 서프프라임 모기지 사태 ?질문 [8] Ragamuffin5368 20/08/01 5368
147098 [질문]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한 좋은 글 추천 부탁드립니다. [1] 아웅이4010 20/07/29 4010
147092 [질문] 한국에서 영어 네이티브 스피커를 만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6] 이름짓기어렵쏘4074 20/07/29 4074
147011 [질문] 인비저블게스트 같은 영화 추천해주세요. [3] HYNN'S Ryan4601 20/07/26 4601
146777 [질문] 주식(ETF) 관련 서적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Albert Camus5381 20/07/18 538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