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8/06 14:06:00
Name 류지나
Subject [질문] 왜 한국은 임의탈퇴 제도를 쓰고 있나요?


고유민 선수 자살건 이후로, 친모가 고유민 선수는 악플러의 영향보다는 구단의 괴롭힘이 더 직접적인 이유라고 밝혔는데

그 괴롭힘 사유 중 하나가 바로 임의탈퇴입니다.



원론적으로는, 구단에 해를 끼친 선수에게 징계성 묶어두기 처분 비스무리하다고 알고 있는데

현실적으로는 그냥 구단에서 남주기 싫은 선수, 죄가 없지만 구단이 싫어하는 선수도 묶어버리는 경우가 흔하구요.

야구에서도 내가 쓰기는 싫지만 풀어주면 부메랑 맞는 외국인 선수들에게도 씁니다.


선수 본인이 동의해야만 가능한 절차인데도,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구단이 선수 이동하는 것을 마음대로 제한하는 악법같은 느낌인데요.


이런 제도를 대체 왜 만들고 왜 유지하고 있나요? 그리고 선수 권익을 보호해야 하는 선수협들은 이런 제도를 왜 그냥 가만히 보고 있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orschach
20/08/06 14:10
수정 아이콘
계약기간이 남은 선수가 은퇴한다고 나갔다가 다른 팀이랑 계약이 가능해지니까요.
저걸 '징계성' 으로 쓰는 자체가 문제입니다.
류지나
20/08/06 14:17
수정 아이콘
은퇴 번복같은 경우, FA 계약 등에다가 은퇴를 번복할 경우 선수 보유권은 은퇴전 구단으로 한다고만 정해두면 굳이 저런 번거로운 제도가 필요가 없을텐데 굳이 임의탈퇴가 필요할까요?
Rorschach
20/08/06 14:23
수정 아이콘
사실 별로 번거로운건 아니예요.
선수 : 저 은퇴할게요.
구단 : 그래. 그런데 너의 의사로 은퇴하는거니 임의탈퇴로 처리할게.
선수 : 네 동의합니다.

이렇게 쓰라고 있는걸 징계성으로 써서 문제인거죠. 말씀하신대로 규정을 만들어둬도 구단이 징계성으로 강제 은퇴를 시키면 동일하게 '잘못' 쓰이는건 마찬가지입니다.
문앞의늑대
20/08/06 14:27
수정 아이콘
현실적으로 구단이 갑질하는데 쓰고 있고 없어져야 할 제도라고 봅니다. 임의탈퇴 악법이야기는 예전부터 종목불문하고 많이 나왔었구요.
근데 우리나라 프로스포츠 시장이 애초에 모기업의 마케팅 수단정도고 선수협이라는게 허울뿐인 상황이라 구단에게 유리한 제도가 쉽게 바뀌지 않습니다.
정지연
20/08/06 15: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딴데는 모르겠는데 프로야구의 경우 임의탈퇴는 선수의 동의가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선수가 뛸 의지가 있는데 팀에서 보복성으로 우리 리그에서는 어디서도 못 뛰어란 의도로 사용은 못합니다.
징계목적으로 쓰는 경우는 대개 선수가 잘못했으니 동의해주는 경우가 많아서 임탈 = 징계로 생각하는경우가 많았는데 요즘은 임탈 안 걸고 자체 출장정지를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외국인선수에 대해 [내가 쓰기는 싫지만 풀어주면 부메랑 맞는 외국인 선수들에게도 씁니다.]는 요즘은 그렇게는 안합니다.
일반적으론 팀은 쓰고 싶은데 선수가 계약을 거부했을 경우에 임탈을 걸 수 있습니다.
물론 팀입장에선 보류권 유지하는데 비용이 드는게 없기 때문에 쓸 생각은 없어도 계속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제도적으로 보완이 안되고 있기 때문에 여론으로 악용하는걸 막고 있는 중이기는 하죠..
외국인 선수를 처음 데려올때 계약맺은 년수만큼 뛰고 끝나는 계약이 아니라 보류권을 팀이 가지는 계약이기 떄문이죠..
국내 선수는 서비스타임을 채우면 FA가 되지만 외국인 선수에 대해서는 FA규정이 없다보니 한번 국내팀과 계약하면 팀에서 풀어줄때까지 그 팀에서 그 선수를 보유할 수 있습니다..
외국인 선수에게 임탈은 우리 리그에서 안 뛰겠다는 조건으로 자유계약 선수로 풀어주는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정재
20/08/06 21:28
수정 아이콘
요즘도 외국인선수에게 그런식으로 계속 사용하고있습니다 대표적인게 몇달전 화제가 되었던 LG 페게로 보류권 사건이죠

다만 예전과 달라진점이라면 급수가 높은선수는 처음 들어올때 보류권 걸지 못하게 계약서를 쓰고 옵니다
손금불산입
20/08/06 15:20
수정 아이콘
누구 하나 총대메고 법정에서 딴지걸면 없어질 수도 있을겁니다. 그 대신에 법정싸움하느라 선수생활을 못하겠죠.
신류진
20/08/06 15:25
수정 아이콘
저도 궁금했는데 잘배워 갑니다.
20/08/06 16:17
수정 아이콘
원래 임의탈퇴는 FA가 아닌 선수가 팀에서 계약 의사가 있는데 계약을 거부하거나 은퇴한 후에 번복하고 다른 팀과 계약하는걸 막는 용도로 있습니다.
특히나 배구는 2군이 없다보니 엔트리가 부족해서 보통 1년 이상의 장기부상 중인 선수나 이른 나이에 은퇴하는 선수에게 씁니다.
또 최근에는 프로에서 실업으로 옮기는 선수들에게도 많이 쓰입니다.
작년 한국전력 구본승이나 우리카드 김은섭처럼 자의로 "나 배구 안 해!" 하고 뛰쳐나간 선수에게 쓰거나요.
예를 들어 현재 기업은행에서 세터코치하는 김사니 코치가 해설위원 시절에 방송에서 "공식적으로 전 임의탈퇴 선수지 은퇴선수가 아니다."라고
이야기 했었죠. 물론 이 때는 나이도 있고 몸 상태도 안 좋은데 그냥 은퇴처리 해주지라는 의미로 한 말이지만요.

물론 악용되는 경우도 있고 이 경우가 비정상이라고 생각합니다.
20/08/06 17:43
수정 아이콘
최악의 악법 중 하나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8612 [질문] 신지드 영상보는데 요즘은 E평 일부러 안쓰나요 [7] 나데시코5513 20/09/20 5513
147334 [질문] 왜 한국은 임의탈퇴 제도를 쓰고 있나요? [10] 류지나5848 20/08/06 5848
146220 [질문] 웹소설 추천 부탁드립니다. [14] 커티삭4133 20/06/28 4133
145263 [삭제예정] 정신과 치료 잘 아는 분 계시는지요?(약물 자살시도자 정신치료 관련) [20] 삭제됨5100 20/05/26 5100
144821 [질문] (스포유)드라마 인간수업 완결까지 보신 분들께 질문 있습니다. [6] 보로미어4150 20/05/10 4150
144470 [질문] 일본 영화제목 [5] 이재5009 20/04/28 5009
139492 [질문] 불면증이 심해서 부작용이 적은 수면제를 먹고 싶습니다. [13] ArcanumToss3924 19/11/14 3924
136234 [질문] 드라마 60일지정생존자 원작미드보신분들 궁금한게 있습니다(스포) [21] 애플5021 19/08/06 5021
135625 [질문] 한일 위안부문제 합의문제 그리고 도쿄올림픽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0] Demi2997 19/07/18 2997
132752 [질문] 연끊은 부모님 빚 정산 관련, 부모자식간 절연 관련 질문입니다. [6] 유연정10458 19/04/25 10458
131515 [질문] 서른에 다시 돌아온 한국, 뭘해야할까요 [7] 빈지노의곶감4087 19/03/21 4087
129268 [질문] 내일 에버랜드 가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5] 미카엘1933 19/01/15 1933
127486 [질문] 물리 잘 아시는 분 계십니까? feat.수능국어문제 [15] 칙칙폭폭3232 18/11/27 3232
127165 [질문] 형을 돕고 싶어요. [6] 잠보2762 18/11/19 2762
127156 [질문] 02수능 자살자수가 67명? [17] 나른한오후3110 18/11/19 3110
125421 [질문] [강력스포주의]어제자 손 더게스트 보고 이해안가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3] 파쿠만사1905 18/10/04 1905
122589 [질문] 헌법소원 개인이 할수 있을까요.. [16] 김아무개2749 18/07/21 2749
120145 [질문] [버닝 ■스포■ 관람자만 읽기] 내용 해석 부탁합니다. [4] Healing6711 18/05/18 6711
120142 [삭제예정] 납골당 비용 [12] 아즐4231 18/05/18 4231
119004 [질문] 의견이 다른 아버지와의 정치적 대화.. 어떻게 대처하십니까? [28] 맛있는사이다3203 18/04/23 3203
118880 [질문] 궁지에 몰린 멘탈을 회복하기 힘든 순간 [7] 나이스데이2719 18/04/19 2719
118806 [질문] 영화 이끼 질문입니다. [6] 완성형폭풍저그2573 18/04/18 2573
118106 [질문] 어떻게 해야 좀 나아질까요. [8] Total2679 18/04/02 267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