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7/10 02:13:50
Name 뉴욕커
Subject [질문] 한국 개발자 연봉 및 안정성
안녕하세요. 현재 미국에서 개발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미래에 한국으로 돌아갈 경우를 생각하다 몇가지 질문이 생겨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1. 평균 연봉이 다른 업에 비해 잘 주는 편인가요? 그리고 대충 어느정도인가요?
2. 미국에서 일한 경력이 +가 많이 되는 편인가요? (웹쪽 최신 기술은 거의 다 만져봤습니다. GCP, AWS, Rails, React, Vue, Graphql etc.)
3. 사이즈 좀 작은 테크 기업 vs. 대기업 중 선택한다면 어느쪽이 더 좋은것 같나요?

한국에 업계에 대해서 아예 정보가 0이라.. 답변 미리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두딸아빠
20/07/10 03:29
수정 아이콘
제가 아는바로는 개발자 대우는 한국이 미국보다 낮은 편입니다. 세금과 물가의 차이로 일단 단순비교는 힘들지만 어느정도 받고 계셨다면 체감상 연봉이 많이 깍이는 느낌이실겁니다.
회사는 대기업이 무조건 우선이십니다. 어디 스타트업에 도전해 보실게 아니라면 처우 복지면에서 대기업이 넘사벽입니다.
20/07/10 03:57
수정 아이콘
주변 얘기들을 들어보니 미국에서의 살인적 생존비용을 감안할때
깎이는 연봉 대비하면 생존비용도 거진 또이또이로 줄어드실겁니다
물론 이 모든건 대기업으로 가실 때를 말합니다.
스타트업은 자본 버퍼가 쌓인 상태로 도전하시는게 아니라면 비추합니다
브라이언
20/07/10 06:42
수정 아이콘
안정성은 글쎄요...
대기업 프로젝트들 보면 일정 어거지로 맞추며 야근하는게 많다보니..
나이좀 차면 관리직 해야하고요.
그 이후에는 은퇴고민
부기영화
20/07/10 08:11
수정 아이콘
대기업보다는 스타트업에서 시작해서 이미 성장했고 더 성장이 가능한 회사로 가시는 게 나을 거 같습니다. 최소 시리즈C 투자유치 단계 정도까지 간 회사요. 그 정도 되면 경력있고 개발자 대우 잘 해줄 겁니다. 해외 서비스까지 고려하는 회사면 더욱 더 좋을 거고요.
다만 도전보다는 안정성이 우선이라면 대기업이 낫겠죠.
아스트랄
20/07/10 09:44
수정 아이콘
1. 개발자 대우는 개인별 회사별 천지차입니다 2500만에서 1억+까지 다양합니다
2. 하기나름입니다만 기대치는 좀 더 높긴 합니다.
3. 작성해주신거 보면 프론트개발자로 보이는데 해당 직군을 따로 뽑는 곳은 적습니다. 대기업 IT 서비스쪽을 추천드립니다.
레페리온
20/07/10 11:09
수정 아이콘
네xx페x FE쪽 관심있으면 쪽지 주세요.
(나중에 펑 예정)
20/07/10 13:53
수정 아이콘
힘드시더라도 미국에서 버티시길 추천드립니다. 한국은 오시는 순간에 몸값과 경력은 그냥 날리시는거라고 보면 됩니다.
네이버나 카카오중에 대형 계열사나 5대 대기업이라면 한번쯤 고민해보셔도 좋겠습니다만, 그게 아니면 그냥 미국에서 버티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20/07/10 16:51
수정 아이콘
업무 특성상 외국 개발자들(미국,유럽,중국,인도)과 자주 커뮤니케이션을 하는데...
저라면 그냥 미국에서 커리어 하이까지 있을 것 같습니다.

- 그냥 단도직입적으로, 현재 전세계 개발 메타(?) 중에 한국이 선도하는게 없습니다...
과거엔 온라인 게임이라도 선도한다는 느낌이 있었는데, 그것도 이젠 뭐...

- 미국의 고용 안정성이 한국과 비교해 떨어져 보이는 느낌은 있지만 (한국은 해고가 워낙 어렵기에)
반대로 동일 포트폴리오라고 할 때, 경력자의 취업은 또 미국이 더 쉽다고 생각합니다.

- 마찬가지로 페이롤도 미국이 더 높은 편이고, 다만 위에 말씀주신데로 연봉이 높지만 생활 물가가 높다는 문제가 있긴 한데
한국도 좋은 직장이 위치한 좋은 지역의 생활 물가가 낮은 곳은 아닙니다.

미국에서 커리어 하이를 찍으시고 국내로 리턴하셔도 전혀 지장이 없습니다.
오히려 그게 더 대우받는 방법 일 수 있구요.
그리고 웹쪽 최신 기술을 많이 만져보셨어도, 대기업기준으로 별로 실제 적용되는게 몇개 없습니다.
저라면 그냥 미국에서 쭉 지낼 것 같아요.
뉴욕커
20/07/10 20:25
수정 아이콘
좋은 답변 다들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6676 [질문] 닌텐도 스위치게임 딱 하나만 추천해주세요(야숨제외) [21] 이디어트6700 20/07/14 6700
146604 [질문] 키움증권으로 미국주식중인데요. 똑같이 다른계좌를 하나 더 만들수 있나요? [8] Gra4764 20/07/12 4764
146573 [질문] 미국(서양) 코미디언 잘 아시는 분들 계신가요? [8] 샤르미에티미5281 20/07/10 5281
146556 [질문] 조립 (커스텀) 컴퓨터 미국에서 구입 [8] 쭈니7667 20/07/10 7667
146547 [질문] 한국 개발자 연봉 및 안정성 [9] 뉴욕커5556 20/07/10 5556
146533 [질문] 예전에 PGR 및 다른 사이트에서 인기 썰로 올라왔던 글 아시는 분? [2] 시라노 번스타인3870 20/07/09 3870
146471 [질문] 미국 대선 선거인단제도 궁금합니다. [3] 熙煜㷂樂4464 20/07/07 4464
146453 [질문] 교통과 물류의 정치사회경제적 영향에 관한 책이 있을까요? [4] 므라노4400 20/07/06 4400
146208 [질문] 방탄소년단의 위상이 궁금해요 [1] StondColdSaidSo6806 20/06/28 6806
146195 [질문] 사형제도 질문입니다 [3] 키류4238 20/06/27 4238
146187 [질문] 미국에서 아이폰 싸게 사는법 있나요? [12] 보름달이뜨는밤에9536 20/06/27 9536
146093 [질문] 지금 미국 증시 어떻게 보시나요? [9] 매일매일4852 20/06/23 4852
146065 [질문] 앞으로 성장할 국가 및 지역은 어디가 될까요? [10] BTK4527 20/06/22 4527
146039 [질문] 왜 한국사람이나 아시안의 영어 발음이 더 잘 들리는 걸까요? [10] 트와이스정연5114 20/06/22 5114
145939 [질문] 런천미트 (스팸)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기다리다똥된다5483 20/06/17 5483
145767 [질문] 약간 어지러운 증상이 있는데, 혹시 비슷한 경험 있으신분.. [8] 허니띠4728 20/06/11 4728
145730 [질문] 자신이 죽인 사람을 또 죽인 죄로 처벌 받을 수 있는가? [11] 트린다미어6464 20/06/09 6464
145526 [질문] 미국 주식 어떻게 보시나요? [6] EY4388 20/06/03 4388
145519 [질문] 귀국시 신생아 이중국적 관련 질문입니다. (미국) [2] 하늘의이름3963 20/06/03 3963
145455 [질문] 러시아의 소유즈는 로켓이름인가요? [2] 칙칙폭폭4671 20/06/01 4671
145378 [질문] 미국주식 종합소득세 신고 관련 스트레스는 없나요? [2] 넛츠4055 20/05/29 4055
145316 [질문] 미중 무역전쟁에 관하여 [2] InoriLee2911 20/05/27 2911
145308 [질문] 박찬호 선수는 선수시절 어느정도 위치였나요? [27] 우와5325 20/05/27 532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