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4/16 22:58:14
Name nexon
Subject [질문] (주식) 미국 주식시장에는 왜 오래된 기업들이 많은지요...?

안녕하세요.. @@

주식초보여서 책도 보고 유튜브도 보면서 공부하다보니

미국 주식시장은 수십년 이상된 기업들이 많아서 장기적 가치투자하기에 좋지만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불과 몇년만에 상장폐지되는 기업도 많고 수십년 동안 꾸준히 기업이 성장하는 경우도 많지 않아서 장기적 가치투자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설명을 들어서요..


그것이 사실이라면 왜 미국에는 수십년 이상 꾸준히 성장하는 기업들이 많고 한국에는 그런 기업들이 적은 것인지요...?

그리고 유럽이나 일본도 수십년 이상 꾸준히 성장하는 기업이 많은지요 아니면 우리나라처럼 그런 기업들은 오히려 적은지요...?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유라
20/04/16 23:00
수정 아이콘
한국은 코스피가 만들어진지 얼마 안됐거니와, 보편적인 기업의 개념이 생긴지 아직 100년도 안됐기 때문이죠.
주식과 기업의 개념이 생기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제국주의인데 한국은 제국주의의 선두라기보다는 피해자 포지션에 가깝죠.
20/04/17 00: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우리나라는 기업하기 어려운 나라죠. 수출 잘하거나(삼전이라던가..) 탄탄한 내수가 받쳐주는 기업(skt라던가..)이 아니면 버틸수가 없는 나라입니다. 반기업정서도 엄청난데다가 고용안정성이 너무 높아서 경쟁력 높이기도 힘듭니다. 돈있는 사람 입장에서도 기업하기보다는 부동산하는게 나은 나라기도 하구요.
반면에 미국은 내수도 탄탄하고, 수출도 쉬운편이고, 기업친화정책이고, 해고가 자유로우니 기업이 오래가기 쉬운편이죠.
루트에리노
20/04/17 00:47
수정 아이콘
???
그냥 미국이 자본주의 한지 더 오래돼서죠 이게 무슨 말도 안되는 소린지
20/04/17 01: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자본주의한지 오래되면 오래된 기업이 많아지나요?
그럼 우리나라도 자본주의한지 오래되면 오래된 기업이 많아지겠군요.
50년전에 있던 기업중에 아직도 있는 기업 몇개나 되는지 찾아보시죠.
이 문제는 이미 여러번 지적된 문제고 상속세 낮춰줘야 장수기업이 늘어날거라는 지적도 나온 상태입니다.
루트에리노
20/04/17 01:37
수정 아이콘
삼성전자, 엘지전자, 현대자동 전부 50년 됐어요
20/04/17 01:39
수정 아이콘
네 480여개 있습니다. 그리고 480여개가 우리나라 경제규모에 비해 적다는게 일반론입니다.
'장수기업'으로 기사한번 검색해보시죠.
루트에리노
20/04/17 01:39
수정 아이콘
신자유주의자들이 꼭 그런 얘기 하던데, 그럼 고용안정성이 지극히 높은 유럽은 오래된 기업이 없겠네요?
20/04/17 01:4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왜 고용안정성만 물고 늘어지시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제가 신자유주의자도 아니고 이 분야 전문가도 아닌데요...) 여하튼 제 답변은 '장수기업'으로 검색하시면 다 나오니까 기사 20개정도만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기레기가 쓴거라 못믿겠다고 하시면 할 수 없구요. 그리고 유럽기업에 대해 환상을 갖고 계신분들이 많은것 같은데 개인적으로 유럽회사에서도 일해보고 유럽회사 다수와 거래하는 입장인데 그다지 행복한 세상은 아닙니다. IKEA같은데는 악덕기업으로 유명하죠
루트에리노
20/04/17 01:50
수정 아이콘
저는 외신을 봤는데요, SnP 상장기업의 평균수명이 20년이 안된다는 기사가 있네요.
https://www.cnbc.com/2017/08/24/technology-killing-off-corporations-average-lifespan-of-company-under-20-years.html

더 최근 기사입니다. 2016년 기준으로 12년 정도가 기대수명이라고 합니다.
https://www.ngpf.org/blog/index-funds/chart-of-the-week-company-lifespan-on-the-sp-500/

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우리나라 기업의 평균 수명은 23.8년입니다. 2018년 기사에요.
http://m.sh-news.com/a.html?uid=22310

뭐 이유야 여러가지 있겠지만 미국기업이 오래간다는것 자체가 잘못된 사실인듯 합니다.
미국은 말씀대로 고용자유도가 높고 창업도 많이 하고 망하기도 많이 망하죠. 하지만 이건 S&P니까요.

유럽에 오래된 기업 없냐고 여쭤봤는데 환상 얘기는 왜 나오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악덕 기업이면 금방 망하나요?
20/04/17 02: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무슨 말씀하시고 싶으신지는 잘 알겠습니다만, S&P500기업의 수명이란건 S&P500기업에 진입한 시기부터 S&P500에서 쫏겨난 시기까지를 lifespan으로 잡을거라서 적절한 근거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글에 해당기준은 안나오네요.
유럽얘기는 애초에 님께서 '고용안정성'만 갖고 갑툭튀하시길래 저도 갑툭튀해봤습니다. 저는 우리나라가 기업하기 어려운 환경이라는걸 여러가지 요인으로 말씀드렸는데 왜 고용안정성만 갖고 얘기하셨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다 떠나서 왜 질문답변란에서 님과 이런 쓸데없는 논쟁을 해야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말씀드릴 내용은 '장수기업'기사 읽어보시면 좋겠구요. 만일 그 기사가 잘못되었다면 기자분들하고 싸우시는게 맞을것 같네요. 제 판단 근거는 그 기사들이니까요. 그리고 이런 논쟁은 자게나 선게에서 하시죠. 어차피 전 추가적으로 논쟁할 의사가 없으니 여기서 마무리 하겠습니다.
20/04/17 09:2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과객A님 말에 상당히 공감합니다.
우리나라가 기업하기 좋다는 말은 우리나라를 헬조선으로 칭하는 것과 아이러니하게 똑같이 틀린말이죠.
아르네트
20/04/17 12:58
수정 아이콘
과객A님 글이 거의 정론입니다.
반기업+수출위주+제조업의 한계.
위원장
20/04/17 15:00
수정 아이콘
맞는 이야기이긴 한데 이게 기업이 오래가는거랑은 별 상관 없는거 같습니다. 말씀하신 단점으로 기업이 오래가거든요.
興盡悲來
20/04/17 00:38
수정 아이콘
이리저리 인수되고 갈라지고 해서 그렇지... CJ대한통운(조선운수회사), 조흥은행, 상업은행, 한진해운(대한해운공사), 한진중공업(조선중공업), 제일은행(한국저축은행) 등은 1950년대 한국증권거래소 설립 당시부터 이어져오는 원년멤버들입니다... 한국에도 수십년 이상 꾸준히 성장하는 기업은 많아요... 다만 그 상승폭이 좀 적죠....
민트초코우유
20/04/17 08:24
수정 아이콘
한국에도 많아요.
콩사탕
20/04/17 08:34
수정 아이콘
대한민국보다 역사가 기니까요. 게다가 본토에서 전쟁이 한번도 없었으니
11시30분
20/04/17 11:53
수정 아이콘
새로 생기는 대기업이 경제규모에 비해 적다고 보입니다. 대부분 계열사 분리등으로 생기죠.
20/04/17 20:20
수정 아이콘
@@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5305 [질문] 초고속 카메라? [4] Part.34051 20/05/27 4051
145261 [질문] 워터픽 VS 아쿠아픽? [11] 클로로루실후르5868 20/05/26 5868
145083 [질문] 경제음모론을 비판적으로 보기위한 공부를 하려합니다. [7] 문문문무4707 20/05/19 4707
145025 [질문] 한국 야구 올타임 넘버원은 누구일까요? [33] 마스터충달6152 20/05/17 6152
144938 [질문] 현 시점에서의 리쇼어링 추세에 대한 질문입니다. [1] 타케우치 미유3838 20/05/14 3838
144931 [질문] 미국 30살 자산관리 및 부모님 용돈 [16] Dekay5732 20/05/14 5732
144884 [질문] 워렌버핏 말처럼 s&p500 에 꾸준히 투자하면 [13] 비타에듀4915 20/05/12 4915
144883 [질문] 미국 코로나가 안잡히는 이유는... [13] 마르키아르4980 20/05/12 4980
144587 [질문] 미국주식 관련해서 읽으시는 경제보고서나 종목보고서도 있는지요...? [2] nexon4644 20/05/02 4644
144542 [질문] 미국유튜버추천해주세요 [12] 불같은호날두5337 20/05/01 5337
144526 [질문] 만약 미국에서 한옥을 짓는다고 하면 단가가 얼마나 더 올라갈까요? [2] 에셔5533 20/04/30 5533
144509 [질문] 달러 etf사는것도 달러 모으는거라고 볼수있을까요? [2] 비타에듀4170 20/04/30 4170
144501 [질문] 미국Etf관련 질문입니다 [4] 숴비4949 20/04/29 4949
144390 [질문] 일회용 마스크 해외반출? [5] 거북왕5088 20/04/25 5088
144342 [질문] 아이폰 se2를 사고싶은데...호구라 걱정.. [44] Janzisuka7394 20/04/23 7394
144258 [질문] 미국 매릴랜드나 메사추세츠주는 가장 리버럴한데 주지사는 왜 공화당이죠? [18] 1024237 20/04/21 4237
144159 [질문] (주식) 미국 주식시장에는 왜 오래된 기업들이 많은지요...? [18] nexon6408 20/04/16 6408
144066 [질문] 한만두보다 경신하기 어려운 메이져 스포츠 기록이 있을까요? [28] 아오이소라카4822 20/04/14 4822
144026 [질문] 유대인이 세계를 지배한다고 생각하시는지요...? [10] nexon6217 20/04/12 6217
144016 [질문] 미국의 치안에 대한 궁금증.... [5] 마르키아르4252 20/04/12 4252
143992 [질문] 영화 제목이 기억나지 않습니다.. [8] 총사령관4272 20/04/11 4272
143957 [질문] 요즘 WWE 반응 어떤가요? (코로나 사태 이후) [4] 샤르미에티미4706 20/04/10 4706
143786 [질문] 미국의 마스크 부족에 대한 궁금증... [7] 마르키아르4798 20/04/05 47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