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4/06 17:17:44
Name 하나둘셋
Subject [질문] 유부님들 생활비 다들 어떻게 하시는지요....... 경제관리를 남편이 하는 경우
아내와 이 주제로 신혼초부터 7년차인 지금까지 계속 다투고  또 사소한 외식비 문제로 싸우다 집을나가서 하소연할겸 씁니다

상황
1. 저혼자 버는 외벌이이고 연봉은 세전 6500정도입니다. 올해는 줄겠네요...    전반적인 관리나 재테크등은 제가햡니다
2. 집이 자가이나 담보대출 풀에 신용대출도 있고..  매월 이자만도 100정도 나갑니다
3. 아이는 6세 4세 남아 둘,  저희부부는 30대중반입니다
4. 해외여행은 그냥 안갑니다   신혼이후 안갔네요
5. 결혼할때는 거의 저와 저희집 돈으로 결혼 시작 했습니다


6. 생활비는 매월 160만원 입금합니다
아내의 지출 범위: 전반적인 생활비/식비/의류비/본인 핸드폰/ 본인 실비보험  /  대략 5만원 안넘어가는 소모성 비용 (대충 마트에서 사는것들)

아내 지출범위가 아닌것:   유치원/어린이집비용 / 학원비 / 아파트관리비 / 연금보험 /  각종 병원비/약값   /  책값  /  대략 5만원 넘어가는 가구or 기기 구매비     /   다른가족과 먹게될때 외식비



아내의 입장은 160은 적다인데    저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면서 평행선인거 같습니다

어제는 짜장면 /탕수육 시켜먹자 -> 식비니까 생활비에서 해라 -> 니가사라 하다가 감정싸움하고 애들데리고 처가갔네요


하루 지나서 생각해보니   사회생활하면서는  밥도 잘 사고 하는데    아내한테도 쏜다고 생각하면서 살껄   하늗생각도 들고,     반대쪽에서는    아니 160 생활비 준지가 언젠데 밥을또 나한테 사라해?  정한건 정한대로 해야지   라는 생각도 들고  참 어렵네요


물론 싸운이유가 이것만은 아닙니다만..    다른사람 의견 들을수있는게 이거밖에 없어서 넊두리겸 써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4/06 17:24
수정 아이콘
개인 용돈을 따로 떼시고,
생활비를 공통으로 사용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생활비에 보험이나 통신사 같은거 다 포함시키시구요.

두분이 각자 쓰시는 돈이 모두 용돈과 생활비 영역을 포함하고 있네요. 그러면 당연히 싸웁니다.
興盡悲來
20/04/06 17:27
수정 아이콘
마누라 혼자 쓰는 돈은 니 알아서해라 하고 애들이 껴있는 지출은(뻔히 보이는 인질극(?)이라고 해도) 그냥 제가 생활비 범위 밖에서 지출합니다.
20/04/06 17:29
수정 아이콘
뭐, 이해는 합니다만... 가족끼리 먹을걸로 서운해지는건 별로 좋지않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외식이나 배달음식 횟수를 정해놓고 별도범위로 잡는게 낫지, 저걸 생활비니 식비니 이런걸로 싸우면 좀;;;
(이건 원칙의 문제라기 보단 감정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일단 적어주신걸로는, 지출문제가 '심각한 액수'로 싸움이 되는건 아니신것 같은데..
그렇다면 감정적으로 부딪힐 요소를 줄이는게 맞는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탄산맨
20/04/06 17:30
수정 아이콘
저희는 맞벌이라 상황은 다르겠지만...
저희부부같은 경우엔 수입이 다 와이프에게 들어가고, 저는 월 30만원 받아서 생활합니다.
통신비, 유류대는 다 생활비로 해결하구요,
제 용돈은 순수하게 제가 쓰는 돈입니다.(친구들이랑 밥값, 커피값, 담뱃값 등...)
아껴서 하루에 1,500원씩 적금도 붓고... 나름 잘쓰고있어요.
조폭블루
20/04/06 17:31
수정 아이콘
탐랑님 말씀처럼 개인 용돈 따로 떼고 생활비를 공통으로 사용하시는게 나을꺼 같아요

저랑 와이프도 순수 용돈 각각 15만원 하고 나머지는 공통으로 지출합니다

보험, 통신비, 적금 등등등
하나둘셋
20/04/06 17:37
수정 아이콘
아.. 위에 더 자세히 적었어야했는데 원래는 제통장에서 공통으로 쓰다가 내역에 대해 제가 알게되는걸 와이프가 스트레스 받아해서 월 정액을 입금하게 되었습니다..
조폭블루
20/04/06 18:49
수정 아이콘
순수용돈은 서로내역에 관심을 끄고
공통으로 쓰는건 생활비인데 내역에 대해 왜 스트레스를
받아하는거죠?
저희는 대출이자. 적금. 보험. 통신비 등등 고정지출 정해놓고 나머지 금액으로 용돈을 제외한 생활비 즉 식대(외식등)나 문화생활 등을 함께하는데 그 내역이 스트레스 받을 일인지 조금 이해가 안가네요;;
기쁨평안
20/04/06 17:38
수정 아이콘
외벌이인 상황에서 아내분은 어쩔수없이 눈치를 보게 되어있습니다. 돈을 받는 입장이니까요.
그런데 가정에서도 '을'같은 기분을 계속 느끼는 건 바람직한 부부관계는 아닌 것 같아요.

크게 보면 이 이야기와 관계가 적은 5번을 언급하신 마음의 내면에는
혹시 가정 내에서 '갑'같은 뉘앙스가 들어가 있는 건 아닌가요..? (너무 넘겨짚는 건 아닌가 모르겠습니다만)

그리고 대출이자만 100만원이 나가는 상황이시라면, [사회생활하면서 밥을 잘 사시면] 안될 것 같은데요.
크게 사치하는 것도 아닌 것 같고 짜장면 탕수육 가지고 싸우셨다고 하는데

'내가 집도 해오고 결혼도 내 돈으로 다 했는데, 더 아껴쓰진 못할망정 이게 뭐야'
라는 마음보다는 같은 운명공동체이니 그 안에서 모두가 최대한 힘들지 않게 잘 지내는 방향을 생각해보시면 어떨까요?

스트레스 받고 지지고 볶으면서 생활비 160에 맞추는 것보다
단란한 가정 분위기 유지하시는게 아이들 정서 발달에도 더 큰 효용을 줄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돈도 더 아끼는 길이 될 것이고요.
srwmania
20/04/06 17:40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에 한표 던집니다.
마니에르
20/04/07 13:17
수정 아이콘
닉네임 인정합니다.
20/04/06 17:45
수정 아이콘
급여 와이프 한테 다 주고 제가 쓰는 건 알아서 마음대로 씁니다.(한도를 안정했다는거지 뭐 낭비하는건 아닙니다..)
처음에는 그냥 와이프 한테 생활비 주다가 돈 관리도 귀찮고 와이프도 돈 쓸때 제 눈치 보는거 같아서
그냥 알아서 쓰라고 다 줘버렸더니 전 편하던데...제가 이상한건지도 모르겠네요..음...
너도그렇게생각하지?
20/04/06 17:48
수정 아이콘
학원비 / 아파트관리비 / 연금보험 이것만해도 100만원에 육박하지 않나요? 그럼160이면 좀 작다는생각도 드네요
네이버후드
20/04/06 17:52
수정 아이콘
그거는 160에 안들어간다고
너도그렇게생각하지?
20/04/06 17:56
수정 아이콘
아...죄송요
20/04/06 18:07
수정 아이콘
저의 경우에는 용돈빼고 다 와이프한테 줍니다. 그리고 와이프에게 넘겨버려요.
저는 와이프에게 알아서 관리해라라고 해버려서;;
대신 돈이 모자르다라는 말만 하지말라고 못박았어요
20/04/06 18:13
수정 아이콘
아내분에게 돈을 아낄 동기부여가 안될것 같습니다. 필수항목 말고 돈쓰는 즐거움이 있는항목도 아내한테 주셔야할것 같습니다.
글쓴이께서 가지고 계시는 부분을 외식+여행으로 카테고라이징해서 따로 때놓는게 어떨까요?
20/04/06 18:30
수정 아이콘
지출 분담을 나눠서 해서 의견차이가 난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제가 외벌이고 제가 관리하는데 아내랑 나이차이가 커서
불안한게 조금 있어서 시작부터 모든 지출 전부다 제가 합니다
생활비는 카드로 쓰라고 하구요 160이라고 정해서 주니까 내돈 나가는 느낌 들어서 의견차이가 날수밖에 없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한도없는 카드 주듯 이걸로 생활비해라 하고 줘도 160까지 안나갑니다 똑같이 아이는 둘이고 나이는 2살 어리긴한데 2년차까지 똑같네요
비슷한상황이다보니 개인적인 견해로 보면 160이라고 정해주니 아내분은 내가 쓸수있는돈 160에서 사소한거라도 나가는게 아쉬운거고
글쓴이분 입장에선 160이면 내가 아무리 생각해도 아내지출범위가 아닌부분(작성하신 부분)을 감당하고있으니까 생활비 충분할텐데 왜 그런가 싶고에서 의견차이가 난다고 보는데 160밖에 못쓴다는 압박안받게 그냥 줘보세요 알아서 쓰라고 줄면 줄었지 늘어날리는 없다고 보고
만약 크게 나갈일있으면 알아서 연락해서 상의합니다
걷자집앞이야
20/04/06 18:30
수정 아이콘
한달 실수령이 어떻게 되세요
160 생활비 + 100 집값 하고 나머지 금액이 어느정도인지 정확히 지출과 수익을 알아야할것같아요
연봉 6500이 상여 포함이라면 두 아이 키우기에 빠듯할것같은데 160으로 최대한 해결하려고 해야할것같은데요.
브라이언
20/04/06 18:31
수정 아이콘
식모같은 느낌이 들어서일거에요..
마음을 알아주고 보듬어주는게 우선일것 같습니다
20/04/06 18:35
수정 아이콘
저도 기쁨평안님 말씀에 한표요
기본적으로 외벌이 하게 되면 나머지 배우자는 눈치볼 수 밖에 없어요(보통의 부부라면요)
그런 상황에 짜장, 탕수육 갖고 줄다리기 하면 배우자 입장에서는 자괴감 들 것 같긴 해요

배우자분께 160 이상을 주기 어려울 만큼 실제 여건이 빡빡하다면 모든 지출내역을 오픈하고 실 상황을 공유하는게 어떨까 싶고
그리 어려운 여건은 아니라면 배우자분이 눈치 덜 보게끔 배려해주심이 어떨까 싶네요
20/04/06 19:16
수정 아이콘
이래서 와이프한테 용돈받아 쓰는구나... 깨달음 얻고 갑니다 엄청 골치 아프시겠네요
하나둘셋
20/04/06 19:19
수정 아이콘
위에 쭉 읽어보면서 그냥 월급 다 주고 관리 알아서하라하고 용돈받을까 생각중입니다..
20/04/06 20:26
수정 아이콘
3자의 말과 기준으로 문제가 해결될 만한 일이면 부부싸움 자체가 잘 안 난다고 생각합니다.
돈 액수나 범위나 이런 모든 것들은 가정 분위기와 가치관에 따라 다 달라서.. 인터넷의 기준은 그다지 도움 안 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을 적자면 가계부를 안 적으시는 거 같은데 돈 문제에서 마찰이 자꾸 생기면 가계부 적는 게 가장 큰 도움이 됩니다.
사용내역 오픈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건 용돈으로 대신하고요.
20/04/06 20:32
수정 아이콘
와이프 지출 범위를 넓히고 금액을 늘리는걸 추천
경제권은 넘기면 안됩니다...
20/04/06 21: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결혼생활해보니까 경제권이라는건 허구에요.
어차피 서로 합의하에 돈사용시에는 경제권이라는건 어디에 있든지 상관없습니다.
뭐 저희집이 맞벌이니까 그럴수도 있겠지만..
서로 고정지출(재테크하는것도 포함-저희집은 다 투명하게 터놓습니다)
빼놓고는 서로 용돈만 남기고 공용 자금으로 사용하시는게 나을것 같네요.
제 짐작이지만 사회생활명목으로 하나둘셋님은 따로 용돈금액 정해놓고 쓰시진 않을것 같아서요.
용돈을 받아봐야 그 금액안에서 치사해질수 있구나하는걸 느끼게됩니다.

하나둘셋님이 나쁘다는게 아니라 저도 용돈받는게 뭐 어떻다고? 하다가
용돈안에서 써보니까
똑같이 쓰는 돈인데도 스트레스 받더군요.
그렇다고 전보다 돈을 더쓰는것도 아닌데요;;

용돈전 35-45지출(변동적) -> 용돈받고 한달 40지출로 바뀌었는데 체감이 좀 크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9513 [질문] 제가 비정상이겠죠? [27] 하나의꿈6892 20/10/21 6892
149496 [질문] 비전공자 코딩 공부와 관련한 주절주절 질문 [13] 하나둘셋7887 20/10/20 7887
148957 [질문] [견적질문]롤 정도 무난히 굴리려면 여기서 무엇을 업그레이드해야하나요? [11] 하나4546 20/10/02 4546
148860 [질문] 인터넷방송 알못입니다.. 스포때문에 검색을 못하겠는데 ASL 시청방법이나, 이영호나오는 경기 순서대로 보려면 어떻게 해야되는지 등.. [3] 하나둘셋4954 20/09/29 4954
148504 [질문] 컴퓨터가 그냥 툭 꺼지는 현상.... [22] 하나둘셋9028 20/09/16 9028
148066 [질문] 게임추천 디비니티 오리지널신 vs 디스코 엘리시움 [21] 하나둘셋6930 20/08/31 6930
147745 [질문] PC 게임 잘 아시는분.. 언뜻 지나가면서 본건데 못찾겠네요 ㅠ [9] 하나둘셋5322 20/08/20 5322
147413 [질문] 이것만 보고 이 태블릿의 충전기 규격이 무엇인지 찾을수 있을까요? [5] 하나둘셋3681 20/08/09 3681
146781 [질문] 흔해보이는.. 이 나무는 무슨 나무일지 궁금합니다. [3] 하나4420 20/07/18 4420
145208 [질문] 이 음악의 제목이 궁금합니다. [4] 하나4380 20/05/24 4380
145181 [질문] 양양에서 서울오는길 유아둘 데리고 가볼만한곳? [2] 하나둘셋3660 20/05/23 3660
144107 [질문] 노트5보다 약간 좋으면서 펜이 없는 기종 있나요? [4] 하나둘셋3492 20/04/15 3492
143829 [질문] 유부님들 생활비 다들 어떻게 하시는지요....... 경제관리를 남편이 하는 경우 [25] 하나둘셋5874 20/04/06 5874
143272 [질문] 이런 상황에서 퇴직금 DC형 vs DB형 [5] 하나둘셋3628 20/03/20 3628
143172 [질문] 대출받으려는데 금리 떨어진다하니 나중에 받는게 나으려나요? [2] 하나둘셋3656 20/03/17 3656
142243 [질문] 빙판길 밀림 관련 [4] 하나둘셋3281 20/02/17 3281
141998 [질문] 투자경험0 주식경험0 입문자 사이트나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8] 하나의꿈3085 20/02/09 3085
141363 [질문] 공룡이름 잘 아시는 분..!? [10] 하나둘셋3394 20/01/18 3394
141351 [질문] 아내가 돌잔치를 대비하여 딸 사진을 영상으로 만들라는 미션을 주었습니다. [26] 하나4130 20/01/17 4130
141175 [질문] (사진추가)샤시 창문 빼는법.....ㅠ [2] 하나둘셋4178 20/01/11 4178
141093 [질문] (사진추가)창문 어떻게 해야될지... 조언구합니다 (feat 가스건조기 연통) [15] 하나둘셋3895 20/01/08 3895
141034 [질문] 부양자(아내 아들) 매월 지난달 의료비 조회하는법? [2] 하나둘셋2748 20/01/06 2748
140926 [질문] 수도꼭지 셀프교체중 파이프렌치안돌아갈때.. [2] 하나둘셋3552 20/01/02 355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