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3/20 08:47:12
Name 하나둘셋
Subject [질문] 이런 상황에서 퇴직금 DC형 vs DB형
주변에 다 DB만 있고  DC에 대해 잘 아는사람이 없어   글써봅니다
관심을 가지게돈건 최근 주가가 많이 떨어져서 투자를 하고 싶은데  현금이 없는 그지라 그렇습니다


제 연봉은 현재 대략 6~7천이고  만 7년 회사 다녔고 대략 13년은 더 다닐거라 생각합니다      
퇴사시점의 제 연봉은 8천~9천 정도를 예상합니다  (대기업이긴 하나 워낙 상승이 없는회사고 업계도 불황이고..)


수중에 현찰은 1도 없고 주식같은걸 사고싶은데 방법이 없어서요

누군가는  안정적인 회사면 DB가 낫다는데   안정적이긴 하고요..
대신 제가 돈이없어서 이기회에 투자를 안하면 안될거같고 그렇습니다

DB는 퇴사시점의 연봉 x기간으로 알고있는데   DC로가면 퇴사시점의 연봉은 안중요해지는건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3/20 08:51
수정 아이콘
dc는 월급의 1/12를 적립해 주는 제도 입니다
현재까지의 금액은 최근 3개월간 평균 월급 X 근속연수로 DC 계좌로 납입해주고 이후로의 월급 및 상여금은
1/12만큼 퇴직연금 계좌로 꽂아줍니다

DB는 퇴사 시점을 기준으로 3개월 평균 월급 X 근속연수로 지급 됩니다

DB에서 DC로 퇴직연금 전환은 가능하나 DC에서 DB로는 불가능 합니다

만약 내 평균 임금 상승률이 4프로라면 퇴직연금 수익률도 편하게 4%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DC로 퇴직연금을 운용해서 내 임금 상승률보다 높게 갈 수 있다면 DC 아니면 DB로 가야 되나
대부분의 직장인이 임금 피크제를 지난 시니어가 아닌 이상 수익률이 임금 상승률을 넘기 힘들지 싶습니다
회색사과
20/03/20 10:18
수정 아이콘
BTK 님이 잘 설명해 주셨지만

DB 는 퇴직 시점의 기준 월급 * 근속 연수로 몰아주는 거고
DC 는 해마다 그 해 기준 월급으로 정산해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운용에 대한 책임과 주체는 받는 분께 있는 거구요.

연봉이 안정적으로 오른다 or 인상률 이상 잘 굴릴 자신 없다 —> DB 하시면 됩니다.
20/03/20 11:46
수정 아이콘
사회 초년생의 경우 승진 & 연봉이 오를일이 많기 때문에 무리해서 DC로 하지 않아도 될 것 입니다.
하지만, 어느정도 직책이 있고 승진과 연봉이 오를일이 크지 않을 경우에는 DC의 변환도 고려해볼 필요는 있습니다.

저도 주변에 물어보면 사회 초년생일 경우에는 DB로 한 다음에 경험을 쌓아서 DC로 전환을 권유하기는 합니다.

만약 DC로 전환하고 싶다면, 일희일비 하지 마시고, 길게 생각하시길 바랍니다.
퇴직연금 관리하는 은행 담당자에게 연락해서(회사에서 물어보면 알려줍니다.) 최근 추천 포트 폴리오 받으신 다음에, 결정해보시길 바랍니다.
김소현
20/03/20 14:26
수정 아이콘
연봉인상률이 연 2프로만 넘어도 몇년간은 무조건 DB라고 봅니다.
(시중금리 2프로이상은 몇년간 없을것 같다는 예상입니다.)
설마 DC형으로 직접 굴리셔서 연봉인상률 이상의 돈을 복리로 불릴 자신이 있으시다면 DC고요.
DC형으로 직접 굴리지 않고 예금만 해놓는다면
현재 우리나라의 모든 은행은 퇴직금을 받아서 그냥 정기예금에 부어놓고 방치해놓는 현실입니다. 그래놓고 운용수수료 떼가죠..
왜 그렇게 하냐고 물어보니 대다수 근로자들이 신경도 안쓰는데다가, 원금손실 안나는 방법이라고 하죠.
20/03/20 15:37
수정 아이콘
DC는 매년 정산받기떄문에 퇴사시점의 연봉은 별로 중요하지 않죠..

개인적으로 퇴직금 자체가 투자목적으로 만들어진게 아니기 때문에 정산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애초에 중도퇴직금 정산 받는거 자체가 특정사유 아님 허가되지 않을꺼에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9513 [질문] 제가 비정상이겠죠? [27] 하나의꿈6892 20/10/21 6892
149496 [질문] 비전공자 코딩 공부와 관련한 주절주절 질문 [13] 하나둘셋7887 20/10/20 7887
148957 [질문] [견적질문]롤 정도 무난히 굴리려면 여기서 무엇을 업그레이드해야하나요? [11] 하나4546 20/10/02 4546
148860 [질문] 인터넷방송 알못입니다.. 스포때문에 검색을 못하겠는데 ASL 시청방법이나, 이영호나오는 경기 순서대로 보려면 어떻게 해야되는지 등.. [3] 하나둘셋4954 20/09/29 4954
148504 [질문] 컴퓨터가 그냥 툭 꺼지는 현상.... [22] 하나둘셋9028 20/09/16 9028
148066 [질문] 게임추천 디비니티 오리지널신 vs 디스코 엘리시움 [21] 하나둘셋6930 20/08/31 6930
147745 [질문] PC 게임 잘 아시는분.. 언뜻 지나가면서 본건데 못찾겠네요 ㅠ [9] 하나둘셋5322 20/08/20 5322
147413 [질문] 이것만 보고 이 태블릿의 충전기 규격이 무엇인지 찾을수 있을까요? [5] 하나둘셋3682 20/08/09 3682
146781 [질문] 흔해보이는.. 이 나무는 무슨 나무일지 궁금합니다. [3] 하나4420 20/07/18 4420
145208 [질문] 이 음악의 제목이 궁금합니다. [4] 하나4380 20/05/24 4380
145181 [질문] 양양에서 서울오는길 유아둘 데리고 가볼만한곳? [2] 하나둘셋3660 20/05/23 3660
144107 [질문] 노트5보다 약간 좋으면서 펜이 없는 기종 있나요? [4] 하나둘셋3493 20/04/15 3493
143829 [질문] 유부님들 생활비 다들 어떻게 하시는지요....... 경제관리를 남편이 하는 경우 [25] 하나둘셋5874 20/04/06 5874
143272 [질문] 이런 상황에서 퇴직금 DC형 vs DB형 [5] 하나둘셋3629 20/03/20 3629
143172 [질문] 대출받으려는데 금리 떨어진다하니 나중에 받는게 나으려나요? [2] 하나둘셋3656 20/03/17 3656
142243 [질문] 빙판길 밀림 관련 [4] 하나둘셋3281 20/02/17 3281
141998 [질문] 투자경험0 주식경험0 입문자 사이트나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8] 하나의꿈3085 20/02/09 3085
141363 [질문] 공룡이름 잘 아시는 분..!? [10] 하나둘셋3394 20/01/18 3394
141351 [질문] 아내가 돌잔치를 대비하여 딸 사진을 영상으로 만들라는 미션을 주었습니다. [26] 하나4130 20/01/17 4130
141175 [질문] (사진추가)샤시 창문 빼는법.....ㅠ [2] 하나둘셋4178 20/01/11 4178
141093 [질문] (사진추가)창문 어떻게 해야될지... 조언구합니다 (feat 가스건조기 연통) [15] 하나둘셋3895 20/01/08 3895
141034 [질문] 부양자(아내 아들) 매월 지난달 의료비 조회하는법? [2] 하나둘셋2748 20/01/06 2748
140926 [질문] 수도꼭지 셀프교체중 파이프렌치안돌아갈때.. [2] 하나둘셋3552 20/01/02 355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