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3/02 17:03:52
Name 실천
Subject [질문] 천만원 정도 여윳돈이 생겼습니다. 이걸 어떻게 굴려야 할까요
30대 초반(이라 우기고 슬슬 중반으로 OTL) 미혼 연애 그게 뭔가요 먹는 건가요
얼마 전 퇴사한 백수입니다.

주식에 천만 원 들어가 있고
2년 정도 개인적으로 할 일이 있어 취직을 안 할=돈을 안 벌 생각인데
생활비로 쓸 현금은 넉넉한 상황입니다. 사실 부모님께 묻어가는 처지라 별로 돈 들어갈 게 없네요.

퇴직금 나온거 + p2p 투자금 회수받은 거 해서
뼈 빼고 따구 빼고 부모님 좀 드리고 해서
천만 원이 남았습니다.

시국이 시국인지라 주식 추매하기도 무섭고... (삼성전자랑 카카오 들어가 있습니다)
펀드, ETF 등등 예전에 이 게시판에서 추천 받았습니다만 결국 안 들어갔습니다 -_-;
토스 연계된 p2p는 몇 번 연체를 당해보니 이건 아니다 싶네요.

만만한 게 카카오뱅크라 적금 금리 확인해보니 연리 1.5%대더라고요.
이거보다는 좀 높게 투자금 받을 수 있는 게 어디 없을까 싶네요.

2년 동안 처박아놓고 안 볼 자신 있습니다.

재테크고수님들 추천해 주실 게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3/02 17: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올웨더 포트폴리오를 추천드리나 리밸런싱 하기도 귀찮으시면 AOR 매수 추천드립니다.

https://badass-finance.tistory.com/entry/ETF-iShare-Core-Growth-Allocation-ETF-AOR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ynameisdj&logNo=221572291597&referrerCode=0&searchKeyword=AOR

위 블로그 글에서 global 60/40이 AOR과 유사한데, 인플레까지 제외하면 연수익률 5~8%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20/03/02 17:2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재알못이라 모두 처음 듣는 말씀들입니다만^^; 잘 파악해 보겠습니다. 성투하셔요!
20/03/02 17:30
수정 아이콘
올웨더 포트폴리오 설명 눈돌아가게 재미지네요 크크크크크 대공황까지 백데이터 넣고 돌렸다니...... 덕분에 정말 재밌는 글 찾게 되어 감사드립니다. 해외주식은 제 깜냥에 안 맞다 생각해서 아예 안 보고 있었는데, AOR 자료 보니 군침이 도네요. 거듭 고맙습니다.
20/03/02 19:14
수정 아이콘
쉔님 댓글 추천합니다.
저도 좋은 정보 얻어갑니다.
20/03/02 17:15
수정 아이콘
이 때야말로 주식 추매 아닐까요 크크
20/03/02 17:24
수정 아이콘
사실 이게 제일 땡기기는 한데, 3월 내내 미국이니 유럽이니 영향 받아서 더 떨어질 수도 있지 않을까 싶네요 ㅠㅠ
하르피온
20/03/02 17:20
수정 아이콘
새마을금고 정기예금 2.5 퍼는 나올떄가있고
저는 이용하지않지만 저축은행쪽은 가끔 더줄때도있다고 합니다
20/03/02 17:24
수정 아이콘
아 새마을금고~ 감사합니다 주변 지점 금리 확인해봐야겠네요.
회전목마
20/03/02 17:20
수정 아이콘
토스 P2P 투자도 연체가 많나요?
20/03/02 17:23
수정 아이콘
부동산 p2p 있고 그 에잇퍼센트 쪽 p2p있는데 부동산에서 두 건, 에잇퍼센트도 연체됐었습니다.
대략 천만 원 남짓 묶였었는데, 다행히 부동산 연체는 오래 걸리지는 않았어요. 그래도 처음에 연체 보고 회사에 전화해 보니 '두 달은 걸릴 거 같습니다 죄송합니다, 별다른 방법이 없습니다' 라는 담당자 답변 듣고 딥빡쳤던 게 생생해서 -_-; 더는 안 넣으려고요.
회전목마
20/03/02 17:25
수정 아이콘
방법이 없다라...
무지 난감하네요;;;
20/03/02 17:31
수정 아이콘
근데 결론적으로 두 달 묶이지는 않았습니다. 중간에 채권매각인가 뭔가 통해서 빨리 마무리하더라고요. 원래 받아야 할 시점에서 대략 보름~2주 정도 묶였습니다.
Liverpool FC
20/03/02 17:21
수정 아이콘
지금 주식 들어가는건 떨어지는 칼날을 잡는 격인가요?
20/03/02 17:25
수정 아이콘
솔직한 마음으로는 추매각인데...... 지금 샀다간 3월 내내 외국발 악재가 더 터져나오지않을까 싶어서 쫄아 있는 상태입니다
마술사
20/03/02 17:22
수정 아이콘
지금 주식 들어가야죠!
20/03/02 17:25
수정 아이콘
끄으으으... 윗 댓글들로 갈음합니다... 아프지마 코스피 코스닥아 ㅠㅠ
20/03/02 17:31
수정 아이콘
저는 신협 지점들 중 제일 이율이 높은 곳에 예탁하곤 합니다.
20/03/02 17:32
수정 아이콘
고맙습니다. 잊고 있었던 채널들이 여기저기 있네요.
하이아빠
20/03/02 17:32
수정 아이콘
대출끌어서 2억 이하 갭투자는 어떠세요?
20/03/02 17:34
수정 아이콘
처박아놓고 안 본다, 외에도 '투자에 필요한 공부량을 최소한으로 한다' 라는 개인적인 조건이 더 있어서요 ㅠㅠ 깊게 공부해야 하는 투자법은 피하려 합니다.
돈마이벌자
20/03/02 17:33
수정 아이콘
삼성 주식 사야죠.
20/03/02 17:35
수정 아이콘
구미공장 확진자 이슈 있던데.. 이번 주까지 보고 뾰족한 수 없으면 추매할 것 같긴 합니다 ^^;
20/03/02 18:43
수정 아이콘
윗분말대로 삼전 주식 or 예끔중에는 sbi저축은행 사이다뱅크앱으로 만드는 계좌 괜찮습니다. 이자율 2%
20/03/02 19:12
수정 아이콘
로우리스크 안전빵으로 가기로 결정하면 그쪽으로 고려해봐야겠네요. 고맙습니다.
VictoryFood
20/03/02 19:04
수정 아이콘
무조건 현금으로 가지고 계십시오.
이자 많이 주는 쉽게 뺄 수 있는 곳에 넣어두면 됩니다.
현재 상황이 더 나빠지면 10년 위기설이 실현될 가능성이 높고 위기는 곧 기회니까 그 기회를 잡을 실탄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20/03/02 19: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자 많이 주면서도 쉽게 뺄 수 있는 곳의 예시를 여쭤봐도 될까요? 10년 위기설은 들어봤던 터라 ... 현금보유도 일리가 있는 말씀이네요
VictoryFood
20/03/02 19:39
수정 아이콘
CMA같은 증권계좌에 현금을 넣어두시면 시중 은행보다 높은 이자에 원할 때 돈을 뺄 수도 있습니다.
은행의 경우 카카오뱅크같은 경우 1천만원까지 1% 이자를 주면서 언제나 뺄 수 있습니다.
20/03/02 20:01
수정 아이콘
고맙습니다^^!
아르네트
20/03/02 19:04
수정 아이콘
겨우2 년정도 투자라면... 리스크 질거면 주식 혹은 ELS정도요....
20/03/02 19:15
수정 아이콘
ELS는 이름만 들어봤지 거의 모르는 종목이었네요. 찾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03/02 19:48
수정 아이콘
2년 처박아둘거면 ,
오히려 지금이 추매 들어갈때 아니에요?
일단 현금 보유하다가 코스피 1800정도
깨진다 싶으면 분할로 추매하고,
아니면 다른거 하고.
2년안에는 복구될거 같은데.
20/03/03 10:40
수정 아이콘
2년 기한이니 우상향을 믿어야겠지요? 흐흐 답변 감사합니다.
이혜리
20/03/02 19:48
수정 아이콘
배당주 배당주
케이티앤지 주식
20/03/03 10:41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많이 떨어진 알짜주식이라고 하더라고요. 조언 감사합니다.
아스미타
20/03/02 20:55
수정 아이콘
3천까지는 2금융권 정기예금 비과세 될거예요

그래도 저같으면 주식 추매할 거 같네요
20/03/03 10:41
수정 아이콘
^^; 주식 추매가 대세네요. 의견 보태주셔서 고맙습니다.
20/03/02 23:27
수정 아이콘
비트코인 몰빵 가시고 2년뒤에 열어보시죠
20/03/03 10:41
수정 아이콘
이미 많~이 날려봐서... 코인은 이제 naver... OTL
2021반드시합격
21/04/05 21:30
수정 아이콘
성지순례 왔습니다 크크크크크
말씀을 들었어야 했다...
21/04/05 21:36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이때 제가 살껄 크크 물려서 이때도강제존버 지금도강제존버 크크
20/03/03 01:29
수정 아이콘
진짜 연리 1.5%이상이 목표세요?
그럼 그냥 지금 주식 아무거나 사세요.
2년동안 한 달에 한두번 들어가서 내 돈이 3%올랐나? 확인해보시고 올랐으면 팔고 2년 되는날까지 내비두시면 됩니다.

주식이 실패하는 이유는 욕심이 끝이 없기 때문입니다. 남들은 대박 났다더라 초대박이더라.
이러다가 찔끔찔끔 딴거 한번에 몰빵하고 그래서 한번에 쫙 잃고. 그것도 인정안해서 다른 자금 끌어와서 본전 생각에 또 싹 날리고 하는거죠.
검검검
20/03/03 02:33
수정 아이콘
아무거나는 좀그렇고 대장주같은거를 넣으셔야 크크
정말 아무거나넣으면 큰일나요
20/03/03 10:43
수정 아이콘
주식이 실패하는 이유는 욕심이 끝이 없기 때문입니다. 남들은 대박 났다더라 초대박이더라,

볼때마다 매번 마음 깊숙한 곳을 푹찍 찌르는 말씀이네요. 감사합니다.
검검검님 말씀대로 KODEX 200 안에서 땡기는 종목 골라서 재무제표 한 번씩은 들여다보고 사야겠습니다.
온리진
20/03/03 13:38
수정 아이콘
대부업체에 맡기세요, 연 10~15% 정도 달마다 줍니다
20/03/03 15:16
수정 아이콘
예금이 되나요? 업체 한 곳만 소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검색해봐도 대부업체는 대출밖에 안보이네요 ㅠㅠ
지니어스
20/03/04 13:17
수정 아이콘
저는 지금 하고 있는 부동산 펀드 투자할 거 같아요~
2년 38% 정도 되겠네요
20/03/04 13:28
수정 아이콘
어마어마하네요. 그런 상품은 어디서 찾을 수 있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3853 [질문] 다이어트 4일차, 무엇이든 조언 구합니다 [60] 2021반드시합격8217 21/03/25 8217
152390 [질문] 연말정산 간단 질문드려요 [3] 트와이스정연5698 21/01/26 5698
152078 [질문] 옛날 만화를 찾고 있습니다. (가칭: 보더 이야기) [4] 천마도사5051 21/01/15 5051
150446 [질문] 제주도 여행 문의드립니다 [8] 백수갓수7016 20/11/23 7016
148954 [질문] 공무원 최합했는데도 이상한 우울강박증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23] 외계소년9547 20/10/02 9547
148082 [질문] 취업 확정되고 일 시작전까지 뭐 하셨나요? [22] vigorian 5580 20/09/01 5580
147101 [질문] 서울 강북권에서 주차가능한 카페 추천 부탁드립니다! [2] 트와이스정연4564 20/07/29 4564
145479 [질문] 다이어트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23] 모챠렐라5927 20/06/02 5927
144470 [질문] 일본 영화제목 [5] 이재5043 20/04/28 5043
144272 [질문] 인생 처음이자 마지막 와우를 위한 컴퓨터. 이륙 질문 드립니다 [8] 은둔은둔해5108 20/04/21 5108
144149 [질문] 청년 정치인들 재선 실패하면 어떻게 되나요? [20] 이리떼6427 20/04/16 6427
142689 [질문] 천만원 정도 여윳돈이 생겼습니다. 이걸 어떻게 굴려야 할까요 [47] 실천7129 20/03/02 7129
142649 [질문] 요즘 생활 패턴이 어떻게 되시나요? [8] 드워프는뚜벅뚜벅4169 20/03/01 4169
140721 [질문] 폭행 관련해서 문의드립니다 [6] 백수갓수3706 19/12/26 3706
139354 [질문] 만들기 쉬운 반찬같은거 추천 부탁드립니다 [19] 포이리에3094 19/11/10 3094
139068 [질문] 이거 파워 터진거(?) 맞을까요 [10] 백수갓수3121 19/11/02 3121
138634 [질문] 내일 가로수길 배러댄비프 갈건데 웨이팅 심할까요? [2] 짱짱걸제시카2450 19/10/18 2450
138535 [질문] 이직 연봉협상이 난관이에요 질문드립니다. [14] 트루메이커10653 19/10/15 10653
137275 [질문] 1종대형면허 장내주행 사고냈습니다 [22] 빈지노의곶감6647 19/09/06 6647
136964 [질문] 유튜브 채널 추천 부탁드려요! [12] 기억의습작4179 19/08/28 4179
136636 [질문] 취준 올인 vs. 인턴+취준... (예비) 사회초년생에게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14] 남산도서관6408 19/08/19 6408
135202 [질문] 7월~8월초 사이에 혼자 여행 [7] Magicien3406 19/07/07 3406
133609 [질문] 월수입 100만원 백수 vs 월수입 1000만원 직장인 [56] Lifer7555 19/05/21 755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