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12/07 14:38:35
Name nexon
Subject [질문] 다른 선진국은 한국보다 생활물가가 싼지요...?

안녕하세요..

일본,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선진국에도 잘 사는 사람과 못 사는 사람이 있는데요

다른 선진국 사람들이 접하는 이른바 생활물가는 한국보다 싼지요 아니면 비싼지요...?


예컨대 보통 생활물가는 아래와 같이 분류될 텐데요


셔츠, 바지, 외투 등 의류비
치약, 칫솔, 비누 등 생필품비

월세, 집값 등 주거비
전기료, 수도료 등 공과금

쌀, 과일, 채소, 고기, 생수 등 식료품
빵, 과자, 장난감 등 부식비
외식비

버스비, 택시비, 철도비 등 대중교통비
차값, 보험료, 기름값 등 개별교통비

대학등록금, 초중고 의무교육비
미술학원, 피아노학원 등 사교육비

병원, 의원 등 의료비
보일러, 기계 등 수리비/as비


이런 비용이 낮을수록 좋을 텐데 잘사는 선진국은 어떤지 궁금해서요... @@


보통 미국의 경우 식자재 자체는 엄청 싸지만 식당에서 사먹는 것은 엄청 비싸다고 하고

일본의 경우 주거비용도 엄청 비싸고 과일값도 비싸고 교통비도 엄청 비싸다고 하고



우리나라는 중간유통상들이 폭리를 취한다는 의견도 있는데

한국보다 소득이 높아도 물가 역시 높다면 생활수준은 비슷한 건지 아니면 다른 점에서 한국보다 나은 점은 어떤 게 있을지 해서요..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밤의멜로디
19/12/07 14:52
수정 아이콘
음... 일단 기본적으로 사람의 서비스가 들어가면 가격이 확 뛴다는 느낌입니다. 외식비, 교통비, as비 등이 해당되겠네요.
주거비는... 지역따라 천차만별인데 런던, 뉴욕, 샌프란시스코같은데는 서울은 아무것도 아닌 느낌이고요, 외곽으로 가면 빈 땅이 널렸고요.
파핀폐인
19/12/07 14:55
수정 아이콘
서울이랑 비교한다면 해외도 대도시로 비교해야 할텐데, 한국이 쌌으면 쌌지, 더 하지는 않습니다. 특히 윗분 말씀대로 서비스 분야에서는 한국 서비스 가성비가 훌륭한 편이라고 봅니다.
19/12/07 20:49
수정 아이콘
@@ 감사합니다.. 혹시 소득수준을 감안하면 체감물가는 어떨까요...?
19/12/07 15:13
수정 아이콘
식료품비를 제외하면 다른데보단 싼거 같습니다
HA클러스터
19/12/07 16:14
수정 아이콘
일본 거주자 입장에서 본다면 한국은 사람 인력이 들어가는 서비스가 싸고 장보기 물가는 비싼 편인 것 같습니다.
근데 한국에서 불편했던건 물가보다도 물건의 종류, 다양성이 너무 부족했어요. 잘팔리는 것만 갖다 놓음.
샤르미에티미
19/12/07 16:51
수정 아이콘
한국의 최대 단점은 그냥 끼니 때울 정도의 식료품은 비싸지 않은데 품질 중간 이상인 가공 식품은 비싸고 또 디저트나 간식에 해당되는 것들이 아주 비싼 편이죠. 그리고 과일...잘 안 먹지만 진짜 음청 비싸다고 생각합니다.
강미나
19/12/07 16:58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자영소농 위주라 식료품비가 엄청 높죠. 대신 대중교통 등 사회간접자본 이용료나 사람 쓰는 비용은 싸고요.
19/12/07 20:49
수정 아이콘
@@ 감사합니다...!
BibGourmand
19/12/08 08:51
수정 아이콘
캐나다 / 영국 거주 경험이 있습니다.

공산품 계열은 한국과 비슷합니다. 환율이 센 나라에서 그 나라 화폐로 월급을 받는 것이 공산품을 가장 싸게 사는 방법일 겁니다.
집과 관련된 비용은 한국에 전세가 있기 때문에 한국이 넘사로 저렴합니다. 월세를 내더라도 집값대비 월세로 계산하면 한국이 확실히 저렴합니다.
신선식품은 전반적으로 한국이 더 비쌉니다.
공과금은 기본 요율 기준으로는 한국이 저렴하지만, (특히 전기) 누진세 쳐맞기 시작하면 한국이 훨씬 비쌉니다.
과자류는 영국은 저렴한 편이고 캐나다는 비싼 편입니다.
빵은 단순비교하기는 좀 그런 것이, 외국은 그게 밥이지만 우리에게는 간식이지요. 대체로 한국 빵이 더 비싼 편입니다.
대중교통비는 한국이 넘사로 쌉니다. 대신 기름값은 한국이 더 비쌉니다. 보험은 한국이 좀 더 저렴한 편입니다.
초중고는 무상이나, 대학 등록금은 노답입니다. 외국인 가격은 따로 있어서 노답 오브 노답입니다.
외국에서 사교육이 한국처럼 만연하지 않아 잘 모르겠습니다. 방과후교실 같은 것이 많이 활성화돼 있는데 그건 한국보다 비쌉니다.
의료비는 영국, 캐나다 모두 무료입니다. 단, 중병을 제외하면 내 돈 내더라도 한국 의료가 좋습니다.
사람 손 타는 서비스 비용... 한 번 사람 불러 보시면 DIY를 외치게 됩니다.

소득수준은 세후가 중요합니다. 고소득일 경우에는 한국이나 외국이나 어차피 세율이 세고, 경우에 따라 한국 최고세율이 더 높은 경우도 있어 대체로 (캐나다 33% 미국 39.6%, 한국 42%) 외국이 낫습니다. 그런데 하위 중산층 수준이면 한국은 거의 면세에 가까운데 외국에서는 소득세를 뜯어가기 때문에 세전연봉이 같다면 외국에서 일하는 것이 더 손해입니다. 특히나 대도시에서 월세를 낸다? 전세가 주거안정에 얼마나 큰 도움이 되는 것인지를 알게 됩니다.
19/12/14 13:01
수정 아이콘
@.@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1552 [질문]  브실골플다로 대표되는 게임 내 티어제는 어느 게임이 시초인가요? [10] 시그마4305 20/01/25 4305
141501 [질문] 영화 남산의 부장들 보고 질문입니다(10.26 에 대한질문) [4] 키류4276 20/01/22 4276
141282 [질문] 올해 말에 미국 자동차 횡단 여행 예정입니다! (미국 여행 전반적인 질문 다수 함유) [24] 에픽하이3396 20/01/15 3396
141190 [질문] 정치드라마 볼만한거 뭐 없을까요? [4] 아기다리고기다리3113 20/01/12 3113
141115 [질문] 미국 입국 거부 질문입니다. [6] 미숙한 S씨4364 20/01/08 4364
141103 [질문] 미국군 vs 전세계연합군 전쟁시 질문드립니다. [13] 삭제됨3940 20/01/08 3940
141070 [질문] 스탑오버 항공권 구매방법은? [6] 서쪽으로가자3587 20/01/07 3587
141059 [질문] 배당주 투자관련 공부질문입니다 [3] 안희정3289 20/01/06 3289
140950 [질문] 무릎인공관절 국내 제품과 외국제품의 품질 차이 [3] 마커3460 20/01/02 3460
140915 [질문] 주식 투자 질문..(미국주식 등) [13] moqq4708 20/01/01 4708
140868 [질문] 해외에서 밴드오브브라더스 볼 수 있는 방법 있을까요? [15] 이름짓기어렵쏘3413 19/12/30 3413
140787 [질문] 미국에서 귀국할 때 환승질문. [3] 너는나의헛개수3132 19/12/27 3132
140697 [질문] 자동차 옵션 구매할까요? [8] 하나4109 19/12/24 4109
140667 [질문] 만일 신대륙이 발견되지 않았다면 [3] paramita2652 19/12/24 2652
140531 [질문] 아이패드 월드 워런티 되나요? [1] 단수3896 19/12/19 3896
140463 [질문] pgr 글 중에, '미국' '평균수명'과 관련된 글을 찾습니다. [2] Stylish3040 19/12/16 3040
140378 [질문] 아시아나 마일리지 적립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인왕2242 19/12/13 2242
140372 [질문] 10여년 전에 미국 비자 신청 날짜를 알 수 있나요? [5] F.Nietzsche3453 19/12/12 3453
140235 [질문] 미국 워싱턴에서 책상 의자 구입 질문 [6] 소사이어티게임3605 19/12/07 3605
140224 [질문] 다른 선진국은 한국보다 생활물가가 싼지요...? [10] nexon4541 19/12/07 4541
140012 [질문] 예전에 나왔던 게임 질문입니다. [2] 한국화약주식회사2711 19/12/01 2711
139953 [질문] 그래픽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4] Mindow2796 19/11/29 2796
139877 [질문] 외국인 친구가 삼겹살을 좋아하려나요 [25] 이름짓기어렵쏘5067 19/11/27 506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