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10/30 10:33:04
Name
Subject [질문] (컴알못 주의)게이밍 노트북 중고로 사는건 별로인가요?
안녕하세요. 컴알못이 피지알 컴퓨터 고수분들께 질문드립니다.
14년도 그램으로 하스스톤 정도의 게임 정도 밖에 안하다가,
최근 들어서 하스스톤이 질리고 롤이나 배그 같은 3d 게임을 집에서 하고 싶어서 컴퓨터 구매 욕구가 생겼습니다.
집안 공간 특성상 데스크탑은 부담스러워서 게이밍 노트북을 사는 것으로 정했습니다.

예산은 100만원 이내로 타협했습니다. 흑.

조사를 해 보니까 배그 정도의 게임을 옵션 타협하더라도 부드러운 프레임으로 즐기려면 그래픽 카드가 어느 정도 뒷받침 되야 하는 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그래픽 카드 기준을 gtx1060 정도로 잡고 검색해봤습니다.

1) 1060 그래픽카드가 달려 있고 100만원 이내인 노트북 신품은 램이 8gb거나 ssd가 128gb과 같이 어느 정도 타협이 된 제품들이 많은 것 같았습니다.

2) 중고나라에서 봤을 때는 예산을 만족하면서 옵션도 괜찮을 제품(16기가 램, 256gb ssd, 윈도우 설치 등)들이 많았는데 1~2년 정도 사용된 노트북이었습니다.

  옵션을 타협하더라도 안전하게 신품을 사는 선택과 고장 리스크(?)를 감안하더라도 중고로 가는 선택 중에서 어떤 것이 합리적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tondColdSaidSo
19/10/30 10:37
수정 아이콘
싸구려 사시는거면 몰라도 꽤 투자하시는데 중고를 굳이 사실 필요가 있을까요

새것에도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어도 조금이라도 생각과 다른 증상이 나타났을 때 그 때의 짜증스러움은 말할 수도 없을 것 같습니다

저라면 싼것은 싼맛에 중고 비싼것은 새제품 살 것 같아요 램이나 스스디는 나중에라도 업글하면 되니까요
Lord Be Goja
19/10/30 10: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는 채굴그래픽카드도 별 꺼리김없이 사는편인데 중고 게이밍노트북은 정말 말리고 싶군요.

1.a/s가 더러움
게이밍 노트북이 중국회사제품 그대로 때다쓴느 한성과 대만업체위주 시장인데,게이밍노트북의 고난도 빌드에 비해, 국내서비사들의 수준이 만족스럽지가 못합니다.대강 돌아가기만하면 아무리 제성능이 안 나와도 불량판정 잘 안해주기도하고 ,무상기간끝나면 부품교체가격이 엄청쌔요.방문 a/s는 서울 아니면 거의 불가능.

2.수명
기존사용자분의 패턴에 따라 수명이 정말 다이나믹하게 변합니다
주기판,배터리,디스플레이등..
19/10/30 10:44
수정 아이콘
소위말해 게이밍노트북 이라는 것이 최고급이 아니라면 워낙 만듬새가 부실해서 새것도 별로 비추인데... 중고라면 더욱더 정말 비추 입니다.
랜슬롯
19/10/30 10: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게이밍 노트북 중고로 한 7~8번 이상 사본 입장에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일단 중고라도 전 살만하다고 생각합니다. 단! (당연히 단! 이 붙게되죠) 뭘 봐야하는지 정확하게 알아야합니다. 제가 중고 노트북 8번이상 사면서 느낀점은, 항상 이렇게 안보이는 문제들이 있을때가 정말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제가 만나서 간단하게 테스트해보는건 키보드/부팅/모니터/게임 해보기 등등 여러가지인데, 그런걸 다해도 나중에 보니까 문제가 생길때가 많아요. 예를 들어서, 모니터를 쭉 올리면 괜찮은데 중간정도로 놔두면 모니터가 깨진다는지 (아마 떨어트려서 생긴 문제겠지요), 다 잘되는데 포맷하는 디스크가 문제가 생겨서 포맷을 못한다는지, 뭐 그런 잡다한 문제점들이지요.

따라서, 내가 컴퓨터에서 뭘 봐야할지 알고, 혹은 파는 사람이 정말 정직하게 파는 사람인걸 아는게 아니라면 중고 노트북은 안사시는게 맞습니다. 그 두가지에 합당되시면 사도 괜찮으시구요. 중고 노트북이라고 해도 정말 짧게 사용하고 파는 사람들도 많기때문에 정말 좋은 제품들 굉장히 싸게 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면 대박치는거구요.

만약 중고를 사실꺼라면 충분히 다 찾아보시고, 만약에 고장났을때 그것을 수리할 수있는 방법과 견적또한 계산 하시고 사시는걸 추천합니다.
그런거 걱정안하실려면 그냥 새 제품 사시구요.

다만 요새 노트북 성능이 년도마다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서 100만원이면 어느정도 준수한 게이밍 노트북 새거로 사실 수 있을 것같은데, 일단 그거부터 찾아보시는거 추천합니다.

추가: 사실 중고 게이밍 노트북의 어려움은 , 대부분 노트북의 문제점은 발열 쪽인 경우가 가장 많은데, 발열은 게임을 해보고 정말 그래픽 카드를 사용해봐야 드러나거든요. 근데 이건 만나서 자리에서 테스트를 해보기가 힘듭니다. 한 각잡고 1주일정도 써봐야아는데.. 아무튼, 참고하시기바랍니다!
19/10/30 11:01
수정 아이콘
다들 답변 감사합니다! 일단 최대한 새 제품으로 알아보고 만족하는 것이 없으면 중고 쪽으로 방향을 잡겠습니다.
클로로루실후르
19/10/30 11:52
수정 아이콘
스펙상 나름 괜찮은 노트북 새거로 샀는데도(gtx1060), 롤 렉 걸립니다.

다른 게임들은 발열과 소음 때문에 돌리지도 못 합니다.

하드게이머인 저는, 다시는 노트북 살 일 없을 거 같네요.
R.Oswalt
19/10/30 12:15
수정 아이콘
게임 용도로 노트북 쓰다보면 데스크탑보다 공간 효율면에서 더 안 좋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책상에 노트북 놓고 쓰다보면 눈높이 낮고 쿨러부스트 켜도 발열 신경쓰여서 쿨링패드도 놓게 되고, 노트북 키보드 불편해서 별도로 키보드 새로 놓고, usb 허브 달고 하다보면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지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그래도 게이밍 노트북을 구매하실 생각이시면 무조건 신품... 한 번 센터 갈 때마다 15만원은 기본으로 깔고 가셔야 되니, 중고 리스크가 워낙 커요. 게이밍 노트북이 워낙 하드한 조건에서 혹사당하는 물건이기도 하고...
19/10/30 12:32
수정 아이콘
비추천합니다. 배그 용도로 100만원이하 게이밍 노트북을 사는것 자체도 비추인데, 중고로 구입한다면 더더욱이죠.
구디구디
19/10/30 15:45
수정 아이콘
Rog strix 사용자입니다.
1060 달려있구요. 게이밍노트북은
난 데스크톱, 랩톱 둘다 필요한데 좀 불만 있어도 좋으니까 두가지 용도 다 쓰고 싶다. 라고 생각하셔야 효율 나옵니다.
19/10/30 15:55
수정 아이콘
글쓴이 입니다. 모두 답변 감사드립니다. 좀 더 시간 투자해서 조사해볼게요!
톨톨이
21/06/14 00: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벌점없음), 광고성 댓글입니다. (영구강등처리함)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9020 [질문] 롤 프레스티지 스킨 질문입니다. [8] 대통령4002 19/10/31 4002
139019 [질문] 프로포즈용 호텔 추천 받습니다. [18] 싸이유니6923 19/10/31 6923
139017 [질문] 포트와인 추천좀해주세요 [7] 불대가리6122 19/10/31 6122
139016 [질문] 회사직원 결혼식 불참시 축의금 전달 질문입니다. [13] 삭제됨11589 19/10/31 11589
139015 [질문] 혹시 소장에 가스 차는 증상에 대해서 아시는 분 계신가요? [2] 10년째학부생2370 19/10/31 2370
139014 [질문] 삭제 예정인 글들을 삭제 해야 할까요? [10] 붉은종이달3575 19/10/31 3575
139013 [질문] 닌텐도 스위치를 구매 했습니다.(주변기기& 게임타이틀 추천드립니다.) [17] 나를찾아서5012 19/10/31 5012
139012 [질문] 페이스북에서 자꾸 계정복구 코드 메일이 날라옵니다. [3] 光海5639 19/10/31 5639
139011 [질문] 신챔프 세나에 대한 의견 한번.. [7] Knightmare2913 19/10/31 2913
139010 [질문] 육아휴직, 출산휴가라는 용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71] 마약남생이4662 19/10/31 4662
139009 [질문] 공유기 관련 질문입니다. [6] 블루데이2643 19/10/31 2643
139008 [질문] 대전 대흥동 황소집의 원조는 어디일까요? [5] 하나2816 19/10/31 2816
139007 [질문] PC 본체 견적 문의입니다 [10] 스컬로매니아3793 19/10/31 3793
139006 [삭제예정] 이별 상담.. 스압입니다. + 불면증상.. 넋두리 주의 [32] 삭제됨6738 19/10/31 6738
139005 [질문] 헬스 처음 할려는 이십대 후반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13] 삭제됨3055 19/10/31 3055
139004 [질문] 원단에다 인쇄를 하고 싶습니다 짐승먹이2488 19/10/31 2488
139003 [질문] 이 사양에 QHD를 태워?? [12] 69눈바디6541 19/10/31 6541
139002 [질문] 냉동 닭갈비를 며칠째 냉장 보관 중인데 먹어도 되나요? [4] FRONTIER SETTER7067 19/10/30 7067
139001 [질문] 안녕하세요, 제주도 여행 질문남겨 봅니다. [10] 율리우스카이사르3140 19/10/30 3140
139000 [삭제예정] 코딩용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20] 삭제됨11735 19/10/30 11735
138999 [질문] IF) 무리뉴가 아스날에서 업적을 이뤘을때 평가가 어느정도가 될까요? [14] 삭제됨5330 19/10/30 5330
138998 [질문] 영어 회화 공부 문의 [1] 맥주귀신2573 19/10/30 2573
138997 [질문] 40대 친구들 서울 하루 관광 코스 [3] 영혼의공원4009 19/10/30 400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