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11/26 22:55:57
Name 잘생김용현
Subject [질문] 웹프로그래밍(php/java) 독학 커리큘럼을 알려주세요.
1. 현재 제 상태
저는 공대 학부를 졸업했으며, 조선해양공학과라서 학부 1/2학년을 제외하면 프로그래밍쪽을 다루지는 않았습니다.
C++ 한 학기,  JSP 한 학기를 배웠는데 잘 기억도 안나구요....
머리는 자신있습니다. 뼈속까지 공대생이고 공부도 잘합니다.
백수가 아니라서 돈은 써도 되는데 학원갈 시간은 딱히 내기가 어렵습니다. (주말 학원이라면 문제없습니다)


2. 목적
이번에 본격적으로 프로그래밍에 대해 배워보려고 하는데요,
스펙업 쪽으로는 정보처리기사도 딸 겸, 개발자 역량도 늘릴 겸, 최종적으로 (여건과 조건이 좋다면) 개발로 밥벌어먹고 살고자 하는 목적을,
취미 쪽으로는 여기저기 쏟아내는 내 포스팅을 일원화하는 개인 홈페이지를 구축하겠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3. 알고 있는 내용
회사에서 기획을 하다보니 프론트엔드는 기획-디자인-퍼블리싱(html, 마크업? 코딩?)-웹프로그래밍(php, java?, python?)이라는 것, 백엔드는 서버-db 등이 있다는 플로우 정도만 알고 있습니다.



4. 구체적인 질문 정리

1) "웹사이트/홈페이지"가 움직이는 전체 구조를 알고, 하나씩 직접 만들 수 있는 역량을 가지려고 합니다. 얕게 훑다 보면 제 적성을 알게 될 것이고, 그쪽을 더 깊게 파고자 합니다.
이를 위한 전체 개요를 설명하는 서적이나, 강의를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실제로는 취미쪽 목적과 부합하는 웹프로그래밍 언어가 가장 궁금합니다. 저는 php, java, python정도만 알고 있는데, 이 중 하나를 정해서, 기본서나 강의를 추천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조미운
18/11/26 23:00
수정 아이콘
제일 처음은 여기서 시작하시면 될것 같구요. 취미 수준이면 여기 있는 내용으로도 충분합니다.
https://opentutorials.org/course/3083

조금 더 전문적인 학습 로드맵은 이걸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https://github.com/kamranahmedse/developer-roadmap
명란이
18/11/26 23:39
수정 아이콘
유튜브 강좌한번 쭉 보시고 결정하시면 좋습니다.
세크리
18/11/26 23:44
수정 아이콘
웹은 파이썬도 좋습니다. PHP나 Java도 많이 쓰지만 (사실 훨씬 더 많이 쓰지만), 파이썬 특유의 장점때문에 간단하게 페이지를 만들고자 하면 파이썬 기반 프레임워크인 Django나 Flask를 익히는걸 더 추천드립니다. Java기반 프레임워크(Spring등)는 대규모 프로젝트에 더 적합하고 PHP는 언어 자체가 좀 지저분해서요.
웹서버-클라이언트 작동원리는 실제 프로그램 짜다 보면 어느정도는 알 수 있습니다. 그보다 깊게 HTTP프로토콜의 원리를 이해한다던지 하는건 사실 웹 개발이랑 별로 상관 없고요. Ajax(요즘은 이런단어 거의 안쓰긴 하는데)나 HTML5 기반으로 작동하는 웹앱 한번 만들어 보시면 뭐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아실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네파리안
18/11/26 23: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작년부터 올해초까지 취업성공 패키지를 통해 국비지원교육 받고 웹개발자가 되었는데 왠만하면 이렇게 돈까지 받으면서 교육을 받을수도 있으니 정말 개발자가 되고싶다면 제대로 6개월 정도는 배워보는게 좋습니다.
저는 현재 전자정부프레임워크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회사에서 근무중이고 보통 국비지원교육에선 스프링 프레임워크로 교육을 받습니다.
일단 스프링쪽은 확실히 취업하기 쉽다 느낄만큼 일자리는 많은 편이구요. IOT관련 업체는 파이썬도 사용하던데 비전은 있다는 말들이 많으나 아직 그렇게 일자리가 많아보이지는 않더군요. node.js도 요즘 핫하다고 들은거 같은데 실제로 웹프로그래머로 검색할 떄 일자리가 적습니다.
PHP같은 경우 규모가 작은 홈페이지 개발이 용이해서 큰돈이 되는 프로젝트가 아니라고 강사님이 권하지 않던데 실제로 그런지 저도 잘 모르겠내요.
제가 배운 스프링으로 혼자 홈페이지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HTML,CSS,jsvascript,jquery,DB(oracle,mysql 등), JAVA, JSP, SPRING이 기본적으로 어느정도 알고 있어야 합니다. 거기다 로컬환경이 아닌 호스팅 서버에서라도 띄울려면 기본적인 리눅스 사용과 putty나 FileZilla같은 프로그램 사용도 익숙해져야 합니다.
독학이야 교재보면서 예제 따라해보고 연습문제 풀면서 해도 가능은한데 솔직히 저도 공부하려고 이것저것 사놓고 공부하기 버거워서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 각잡고 국비교육이라도 받으실거 아니면 남는시간엔 힘들지 않을까 싶어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스프링 교재로는 토비의 스프링이라는 책이 가장 유명한데 이 책을 이해하려면 위에 언급한 모든것을 알고있어야 해서 구매해야할 책이 한두가지가 아닙니다.
만약 제가 취미로 홈페이지 개발해볼까 하고 공부한다면 node.js, angular.js, React.js, Vue.js쪽을 공부해보고 싶고 DB는 nosql인 MongoDB를 해보고 싶내요. 그리고 어떤걸 공부하든 HTML,CSS,jsvascript,jquery는 기본이라 선행되어야 합니다.
추가로 HTML,CSS,jsvascript,jquery는 https://www.w3schools.com/ 참고해서 학습할수도 있겠내요. 기억안나는게 있을 때 저도 자주들어가는 사이트입니다.
그리고 교재선택은 C언어나 JAVA같이 기본은 어떤책을 써도 상관없겠지만 나머지는 왠만하면 최신 기술이 담긴 최근나온책을 보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칸나바롱
18/11/27 01:41
수정 아이콘
제이쿼리는 굳이 안하셔도 됩니다. 요즘은 다 걷어내는 추세라서...

w3schools.com는 잘못된 정보가 많아서 https://developer.mozilla.org/ 을 추천합니다아..
네파리안
18/11/27 06:58
수정 아이콘
제이쿼리 안쓰면 그냥 자바스크립트 쓰나요? 유행하는 다른게 생긴건가요?
아스트랄
18/11/27 07:13
수정 아이콘
react + redux 가 요새 프론트 대세입니다.
거기에 babel 이니 type script 니 이것저것 붙여서요.
저는 서버 개발자라 자세히는 모르는데 팀의 프론트 개발자들이 짜 놓은 소스들 보면 다 저런거더군요.
칸나바롱
18/11/27 07:16
수정 아이콘
제이쿼리 자체가 호환성을 간편하게 맞추기 위한 과거의 유물이기 때문에, 요즘 새로 들어가는 프로젝트에서는 쓰이지 않습니다.

간단하게 이유를 말하자면 요즘 웹 프론트엔드가 SPA로 제작되고 있습니다. SPA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경우 프론트 코드가 복잡해지기 때문에 리액트, 앵귤러, 뷰와 같은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서 코딩합니다. 이러한 프레임 워크에서 대부분 제이쿼리 사용을 다양한 이유에서 지양합니다.

또한 예전에는 제이쿼리만 지원하던 기능도 요즘에는 네이티브도 대부분 지원하고, 호환성도 걍 바벨 돌려서 맞추기 때문에... 간단한 이벤트 몇줄만 사용할꺼 아니면 제이쿼리 쓸일이 없습니다.
18/11/27 07:51
수정 아이콘
저는 몇년 서버 개발만 하다가 최근이 다시 풀스택으로 돌아왔는데 react + redux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이쿼리가 런타임으로 하던 일을 이제는 Babel이 컴파일/빌드 타임에 다 해줘서 더이상 제이쿼리처럼 필요 없는 라이브러리를 로딩해서 웹페이지를 느리게 만들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네파리안
18/11/27 09:10
수정 아이콘
답변주신 분들 감사드려요.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서 그런가 과거(?) 기술들을 많이 사용하는가 싶기도 한데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교재에서도 못본 내용들이라 사용해도 될런지는 몰라도 한번 공부해 봐야겠내요.
칸나바롱
18/11/27 02:08
수정 아이콘
국비지원보다는 차라리 비싼돈 내더라도 패스트컴패스 같은 학원 다녀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일단 주말반 부터 시작하시면서 시작해보세요.
하늘이어두워
18/11/29 00:24
수정 아이콘
혹시 패스트컴패스가 뭔가요?? 검색해봐도 나오질않아서ㅠㅠ
공도리도리
19/03/13 14:19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저도 웹공부를 해보고 싶어서 여쭤봅니다. 국비지원의 경우 수업료무료+일정 보조금을 주는 것으로 아는데요, 사설학원의 경우 돈을 내고 하면서라도 시간과 실력을 더 향상 시킬 수 있는 메리트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칸나바롱
19/03/13 17:12
수정 아이콘
대충 설명을 들어보면 사설학원이 더 나은 거 같기 합니다. 아무래도 유행하는 기술을 배우니까요.
아스트랄
18/11/27 07:21
수정 아이콘
웹개발자로 먹고 살려면 자바를 추천하고
취미라면 php나 파이썬이 쉽지 않을가 합니다. ( 저는 비전공자 자바 개발자라 잘 모르는데 옆의 전공자들 얘기 들어보면 이게 쉽고 간단하데요 )

자바를 추천하는 이유는 수요가 많고 웹이 없어지지 않으면 안 망할거 같고 (패러다임이 바뀌면 망할 수 있음, 요새 오라클이 라이센스 비 받겠다고 설치고 있어서 불안함) 워라벨도 나쁘지 않은 곳이 많다.
입니다.
시장 전체적으로 수준낮은 개발자가 워낙 많아서 조금만 두각을 나타내면 (머리는 자신있다고 하셨으니) 상당히 많은 연봉(억대 연봉)도 받을 수 있습니다.
전 우리나라에서 꽤 괜찮은 직군이라고 생각합니다.
공도리도리
19/03/13 14:20
수정 아이콘
억대 연봉의 직군은 보통 프론트엔드보다 백엔드 분야인지요?
아스트랄
19/03/13 21:57
수정 아이콘
보통 시장에서 백엔드가 좀 더 높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백엔드 개발자 수나 수요가 훨씬 더 많기도 하고요.
조지영
18/11/27 11:12
수정 아이콘
PHP 할 줄 아시면 최근 시들하던 PHP에 호흡기를 완전 제대로 붙여준 Lalavel(라라벨) 한 번 공부해 보시는거 추천해드립니다. 웹용 프레임워크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3564 [질문] 혼술 할 때 보기 좋은 영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23] CastorPollux5905 19/05/19 5905
132707 [질문] 채용공고 계속 올리는 회사 [2] 마제스티3986 19/04/25 3986
131836 [질문] 첫회사...이정도면 어떤지 알고싶습니다 [32] 백수갓수5062 19/03/30 5062
130926 [질문] 한국 최고의 배우는? [68] whenever5303 19/03/04 5303
130461 [질문] 28살 무직 백수에서 시작할 수 있나요?? [22] 나이스데이5942 19/02/18 5942
130080 [질문] 전문대졸 전형인데 대졸이 지원해도 되나요?? [2] 마제스티3649 19/02/07 3649
129519 [질문] 나이 30 대졸자 적정연봉 [7] 마제스티4851 19/01/22 4851
128011 [질문] 친구가 회사에 꽂아줬다면?? [20] 레너블4076 18/12/11 4076
127480 [질문] 웹프로그래밍(php/java) 독학 커리큘럼을 알려주세요. [18] 잘생김용현6251 18/11/26 6251
126853 [질문] 무역영어 및 이메일 영어 [1] 마제스티1796 18/11/10 1796
126235 [질문] 낮밤이 완전히 뒤바뀌었는데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 [34] St.Johan7739 18/10/25 7739
123666 [질문] 유럽여행 숙소 관련 질문입니다. [6] 정휘인1460 18/08/17 1460
123344 [질문] 동남아 여행 관련 조언 구합니다. [19] 후라이도2804 18/08/09 2804
123200 [질문] 자취하시는분 건보료 재산점수 얼마나오셨나요? [2] 여섯넷백2361 18/08/06 2361
123193 [삭제예정] 누나 및 여자친구 생일선물 질문드립니다. [16] 루체른8054 18/08/06 8054
122815 [질문] 책 추천 부탁 드립니다!! [7] 사신아리1738 18/07/26 1738
122346 [질문] 국민연금 미납액이 엄청 밀려있습니다. [5] 펩시콜라3985 18/07/14 3985
122127 [질문] 직딩 퇴근이후 삶을 찾아주세요... [4] 이명헌3090 18/07/08 3090
121611 [질문] 하고싶은 직업을 할 수 있다면 어느직업을 고르실건가요? [28] Tyler Durden3289 18/06/25 3289
120876 [질문] 스타워즈 정주행 질문이요 [20] 마른남자3032 18/06/05 3032
120869 [질문] 소개 후 첫만남은 보통 어디서 하나요? [11] 유아린3758 18/06/05 3758
119997 [질문] 월급 130 백수 vs 월급 250 직장인 [41] 삭제됨6344 18/05/15 6344
119710 [질문] 취업하게되면 예비군 몇일인가요? [15] 가가겨거6499 18/05/08 649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