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7/21 19:59:33
Name 유머
File #1 Screenshot_20250721_200042_Samsung_Internet.jpg (714.1 KB), Download : 548
File #2 Screenshot_20250721_200054_Samsung_Internet.jpg (301.8 KB), Download : 551
출처 스레드
Subject [유머] 초딩때 한심했던 군무원 삼촌 (수정됨)




삼춘은 왜 다커서 결혼도 못하고 방구석에서 게임만 할까
-> 29살에 결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묻고 더블로 가!
25/07/21 20:07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옛날엔 서른쯤만 되어도 노총각 노처녀 딱지 달긴 했었죠
25/07/21 20:12
수정 아이콘
김삼순 : 노처녀라구요? 제가요? 왜요? (28세)
아이군
25/07/21 20:25
수정 아이콘
지금 김삼순 나이에 결혼하면 엄청나게 일찍 결혼하는 거.....
투전승불
25/07/21 20:38
수정 아이콘
늙은 거 맞는데 인정 좀 하고 살지...
우상향
25/07/21 20:40
수정 아이콘
초딩 때 본 드라마였는데 여주인공이 친구랑 수다떠는 장면에서, "우리는 공부하고 일만 하느라 좋은 남자 다 놓치고 폭싹 늙었고 놀러만 다닌 날나리 애들은 좋은 남자 만나서 빨리 결혼했다 억울해~!"라고 한탄하는 장면이 있었죠. 그때 그분들 극중 나이 27~28살.
살려야한다
25/07/21 20:55
수정 아이콘
625 전에 태어나서 30 넘어서 겨우 결혼한 우리 아버지는 대체 얼마나 노총각이었던걸까
에스콘필드
25/07/21 21:01
수정 아이콘
시대상이 변했네요~
25/07/21 21:05
수정 아이콘
나혼자 밥먹고 살기도 힘들고 이자도 근그이 내는데 믄 남의집 귀하게 자란 처자 힘들게 할일 있나 싶슴셈슴
TempestKim
25/07/21 21:14
수정 아이콘
근데 트렌드가 늦게 결혼하는 것도 아니고 안하는 시대가 오니...
25/07/21 21:25
수정 아이콘
예전엔 둘이 합쳐 50넘으면 소개팅 아니고 선이라 했었죠..
지니팅커벨여행
25/07/21 22:31
수정 아이콘
제가 누나를 친구 형이랑 소개팅 시켜 줬을 때 나왔던 얘기입니다.
그때 24살 28살이었거든요.
생각해보니 참 어렸겠구나 하다가도 한살이라도 더 어릴 때 결혼하는 게 좋구나 하는 생각도 드네요.
구급킹
25/07/21 23:08
수정 아이콘
인도인구의 65프로가 30세 미만이라는데.. 그런 나라에서 20대 중반이면 완전 어른이죠. 한국도 그런시절이 있었고
No.99 AaronJudge
25/07/22 01:34
수정 아이콘
하긴 지금 중위연령이 45살..
쵸젠뇽밍
25/07/21 23:16
수정 아이콘
자주 이야기하는데 삼순이 방영 당시에도 서른이 무슨 노처녀냐는 말은 많이 나왔습니다.
실제로 김삼순이 방영된 2005년에 초혼평균연령은 27.7세로, 우리나이로 스물 아홉이죠.
Far Niente
25/07/21 23:21
수정 아이콘
라고 쓰레드만 했다고 한다
No.99 AaronJudge
25/07/22 01:33
수정 아이콘
handrake
25/07/22 09:07
수정 아이콘
유튜브에 과거 80년대 단막극 해주는거 가끔 보는데 거기 첫째딸(주인공) 시집보낼려고 중매쟁이에게 엄마가 사정하던게 생각나네요.
정확히 기억안나지만 첫째딸 나이가 28~9살이었는데 중매쟁이가 엄마에게 대놓고 재취자리나 알아보라고 면박을 주고,
둘째딸(23살)이나 선보라고 이야기하더군요.

그거 보면서 요즘에 대입하면 첫째딸 나이면 40? 둘째딸은 30정도로 봐야되나 싶은데 우리나라가 많이 늙긴했어요.
네오스
25/07/22 09: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마치 엄청 옛날인 것처럼 느껴지는데 따지고 보면 2010년대 초반만 해도 서른 전에 결혼해야 한다는 인식이었죠. 결혼 나이 늦어진 거 얼마 안 돼죠. 2010년대 중반 넘어서면서 급격히 늦어진 거죠.
쵸젠뇽밍
25/07/22 09:22
수정 아이콘
01년부터
26.78
27.01
27.27
27.52
27.72
27.79
28.09
28.32
28.71
28.91
29.14
29.41
29.59
29.81
29.96
30.11
30.24
30.40
30.59
30.78
31.08
31.26
31.45
31.55
말씀과 달리 초혼연령상승은 꾸준하게 상승한 편입니다. 굳이굳이 따져도 2010년대 들어서 늦어지는 속도가 조금 늦춰졌고요.
네오스
25/07/22 12:12
수정 아이콘
실제 결혼 연령이라기 보다 당시 사회적 분위기가 그랬다는 거죠. 실제 결혼 연령이야 당연히 늦어졌으니 높은 거고요. 2000년대만 하더라도 20대 후반 결혼 많았죠. 자료에도 2010년 결혼 연령이 28세 잖아요.
쵸젠뇽밍
25/07/22 12:18
수정 아이콘
위에도 적었는데, 05년에 김삼순 방영 될 때도 서른이 무슨 노처녀냐는 말 많았습니다.
적어도 말씀하신대로 2010년대 초반만해도 서른 전에 결혼해야한다는 인식이 사회 전반적인 인식이 아니었습니다. 어르신들은 그런 분들 있었지만, 그 때 그런 소리했으면 어르신이라 세상 잘 모른다는 말 나왔을 시기죠.
25/07/22 10:53
수정 아이콘
애석하게도 아닙니다.
2010년에 제가 딱 30이었던 것 같은데, 또래의 남자들 중 결혼한 사람 15% 미만이었습니다.

그리고, 30살 전에 결혼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도 없었구요
네오스
25/07/22 12:08
수정 아이콘
본인 주변이 아니라 당시 사회적 인식을 얘기하는 거죠. 2010년에 저도 30무렵이었는데, 제 동생이 먼저 결혼했는데 사정이 되는 사람들은 그 나이때 결혼했거나 결혼하는게 맞다고 봤죠. 20대 후반이 결혼 적령기로 봤죠.벌써 결혼한 분들도 꽤 있었고요. 어르신들은 당연히 그런 인식이었고요. 저도 제가 늦었다고 생각했고 30대 중반에 결혼할 때 엄청 늦은 줄 알았었죠. 근데 생각보다 일찍 결혼한 분들도 많아요.
25/07/23 07:13
수정 아이콘
당시의 60대 어르신들은 모르겠지만, 제 주변 뿐 아니라 사회적 분위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남자가 30전에 결혼해야한다는 생각은 오히려 네오스님 주변이 그랬던 것 아닐까요 ?

https://blog.naver.com/inlyh86/223809153576
이미 2000년대 초반부터 남자의 평균 초혼 연령은 30이 넘었습니다.
님께서 말씀하신 2010년대 초반의 평균 초혼 연령은 31~32세였구요.

30세에 나가 본, 초등 동창회, 중등 동창회, 고등 동창회, 대딩 동창회 어디를 가도 미혼자가 압도적으로 높았고, 그걸 늦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없었드랬죠
네오스
25/07/23 13:25
수정 아이콘
글쎄요. 윗 댓글에 통계 안 보이시나요? 01년 초혼 연령이 26세라고 나와있는데요;
+ 25/07/23 15:58
수정 아이콘
그 댓글은 유리한 것만 보시나요 ?
[2010년대 들어서 늦어지는 속도가 조금 늦춰졌고요]는 안보이시나요;;

제가 링크 따온 블로그의 초혼연령표는 통계청의 자료입니다. 보지도 않고 말씀하신 것은 아니겠죠.

아래는 챗gpt에 물어본 결과입니다.

2002, 30.5
2005, 31.0
2010, 32.2
2020, 33.2
2022, 33.7
2023, 34.0
2024, 33.9

- 2002~2022: 통계청의 [Marriage and Divorce Statistics in 2022] 보고서에 따르면, 남성의 초혼 평균 연령이 2002년 이후 꾸준히 상승해 2022년에 33.7세로 증가했습니다
- 2020: 위키피디아의 “Marriage in Korea” 문서에 따르면, 2020년 남성의 초혼 평균은 33.2세였습니다
- 2010: TIME 뉴스는 2023년 평균 34.0세는 2013년 당시 32.2세에서 올랐다고 언급하며, 본래 2010년 자료로부터 유사한 값을 유추할 수 있는 점을 지적합니다
- 2023: 2023년 남성 초혼 평균 34.0세는 The Korea Herald, Donga, MK 등 여러 보도가 일치

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1504241038517076643_1/article.html
2015년 기사입니다. 1993년의 초혼연령이 평균 28.5세 / 2013년의 초혼연령이 32.6세라고 하네요 (서울)

당시(2010년쯤)의 사회적 인식은 30세 이전에 결혼해야 한다는 말씀을 계속 하실건가요?
제 주변만 저랬다고 말씀하실 건가요 ?
+ 25/07/23 16:14
수정 아이콘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83A09&conn_path=I2
말 나온김에 통계청에서 배포한 자료도 첨부합니다.

저 자료에 따르면
2000년부터 5년 씩 끊어, 초혼연령 평균 상승치를 뽑으면
2000-2004 : 0.318
2005~2009 : 0.194
2010~2014 : 0.146
2015~2019 : 0.132
2020~2024 : 0.157
로 네오스님께서 주장하신 2010년대 중반 이 후 급격히 늦어었단 말도 사실이 아닙니다.
오히려 2010년 중반이후는 근 25년 간의 초혼 연령 상승치의 가장 최하위권 입니다.

결국은 저더러 "님 주변만 그랬음"이라고 하셨지만, 사실은 네오스님 주변 분들이 결혼을 일찍 하셨던 게 아닐까요 ?
네오스
+ 25/07/23 17:05
수정 아이콘
뭐에 긁힌 건지 모르겠는데, 2010년 까지만 해도 20대에 결혼 많이 했고 30대 안 넘긴다는 얘기 많이 했어요. 더 일찍 결혼한 친구도 많았죠.

제가 처음에 단 댓글보니 제 생각했던 것과 다르게 쓰여진게 있네요. 2010년대중반이 아니라 2010년대 초반이라고 해야 겠네요.
+ 25/07/23 17:18
수정 아이콘
지금 쓰신 댓글 "2010년 까지만 해도......."
이건 그냥 네오스님 주변만 그랬던 거죠.
님께서 말씀하신 사회적 분위기는 아니 사회적 인식은 30 전에 결혼해야 한다는 인식이 아니었구요.

더 일찍 결혼한 친구도 많았다라는 것도.... 네오스님 주변만 그럴 수 있다는 겁니다.

제 주변과 네오스님 주변의 분위기 많이 다르지만,
통계를 보면 제 주변이 사회적 분위기에 근접한 걸 알 수 있죠
하카세
25/07/22 09:35
수정 아이콘
나이가 올라가면서 초혼 연령이 같이 따라 올라가면 아무튼 노총각 아님.(아님)
썬콜and아델
25/07/22 09:52
수정 아이콘
??? : 서른이 넘기 전에 결혼은 할런지 (2013년)
새벽두시
25/07/22 10:07
수정 아이콘
중위연령 전체 남자 여자
1980 21.8 21.2 22.4
1990 27.0 26.3 27.7
2000 31.8 30.8 32.7
2010 37.9 36.9 39.0
2020 43.7 42.3 45.1
2025 46.7 45.3 48.2
샤워후목욕
25/07/22 11:20
수정 아이콘
삼촌이 저랑 10살차이 나는데 32살까지 결혼 못하고 있을때
할머니에 한숨과 결혼 압박이 장난 아니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7558 [LOL] 우지 근황.JPG insane125 25/07/23 125
517556 [방송] 중국의 흑백요리사.jpg [14] insane1301 25/07/23 1301
517555 [LOL] 도파) 쵸비를 칭찬해도 시청자들은 몰라 씨맥) 체감 못해 도파) 형도 몰라.mp4 [3] insane1101 25/07/23 1101
517554 [서브컬쳐] 무한성으로 갈 시간 [4] 로켓2418 25/07/23 2418
517553 [기타] [속보]14년 만에 '5월 출생아 수' 최대 증가…혼인도 4.0% 급증 [36] 아롱이다롱이4211 25/07/23 4211
517552 [유머] 한국에서 물샀다가 빡친 유명 외국 유튜버 [20] 독서상품권3895 25/07/23 3895
517551 [스포츠] 유도 흰띠 ~ 노랑띠 ~ 주황띠 [1] Croove1528 25/07/23 1528
517549 [방송] 나는솔로가 대본이 아닌 이유 [34] 페이커755217 25/07/23 5217
517548 [동물&귀욤] 요즘 모기가 없는 이유 [16] Croove3396 25/07/23 3396
517547 [서브컬쳐] 현재까지 전독시 선발대의 반응 정리 [45] EnergyFlow4139 25/07/23 4139
517545 [게임] 스파6 사가트 테마 [1] STEAM1049 25/07/23 1049
517544 [유머] 민생지원금 받은 다음날 풍경 [7] 제논5418 25/07/23 5418
517543 [기타] 킹론상의 수익율을 실현 완료 [13] Lord Be Goja3733 25/07/23 3733
517542 [LOL] 큰거온다...! [18] 김삼관2736 25/07/23 2736
517541 [LOL] 빡빡이 쓰지 마라 [17] 두드리짱2680 25/07/23 2680
517540 [기타] 장사할때 중요한것 [22] 로즈마리3586 25/07/23 3586
517539 [기타] (약후?) 캐비넷 문이 튼튼해야하는 이유 [11] 묻고 더블로 가!3932 25/07/23 3932
517538 [게임] 롤격 바이 트레일러 [17] STEAM2259 25/07/23 2259
517537 [유머] 일본 기온.jpg [40] 핑크솔져5986 25/07/23 5986
517536 [방송] 새로운 기록을 세운 진격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 [40] 카루오스5157 25/07/23 5157
517535 [기타] 드디어 저주를 깨버린 판타스틱 4 [44] 롤격발매기원6119 25/07/23 6119
517534 [스포츠] 한화이글스 때문에 해외여행 가능한 상황 [17] 최강한화7151 25/07/22 7151
517533 [기타] 이번 갤럭시 폴더블 사전예구량 최초로 폴드가 플립 추월 [52] Heretic7570 25/07/22 757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