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7/20 14:35:37
Name 김삼관
출처 해당유튜브
Link #2 https://pgr21.com/humor/517107
Subject [기타] 자동차 관리법 개정 관련 비슷한 영상


https://pgr21.co.kr/humor/517107
차알못인데 비슷한 영상이 올라와서 공유 차원에서 하나 더 올려봐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설레발
25/07/20 14:47
수정 아이콘
이미 본 영상인데 이거 진짜 문제가 좀 심각한 것 같습니다..
김삼관
25/07/20 15:17
수정 아이콘
진짜라면 그런 거 같습니다... 보험료 저렴해 지더라도 자동차 부품 교체를 더 자주하게 된다면 장기적으로 그리고 안전적으로 고객에게 손해가 아닌가 싶구요..
25/07/20 14:48
수정 아이콘
이거 놀랍도록 조용한거 같아요
25/07/20 14:55
수정 아이콘
보험사가 이윤확보에 눈이멀어 소비자 분쟁을 조장하는 꼴이군요.
무슨무슨 통계 가져와서 안전에는 이상없다고 주장하겠죠
25/07/20 15:29
수정 아이콘
이게 특히 분쟁거리가 많아지는게 정비소 입장에선 수리할때 애프터보단 정품이 말이 없어요. 어차피 보험처리할건데 좀더 비싸도 고객이 뭐라고 하는게 아니면 정품으로 수리하고 뒷말 없는게 훨씬 낫죠. 애프터 부품 확보 문제도 있고요. 정품이 괜히 정품이 아니라 안정성을 제조사에서
보증해 주기에 정품인데 애프터 써서 고장나면 제조사에선 정품 안썼으니 니네 탓이다 할것인데 그렇다고 거기에 대해 보험사가 다시 배상해주는
약관을 추가할리도 없을거같고요.
25/07/20 15:39
수정 아이콘
그나마 영상에서 나온 보쉬 렘포더 급 회사들은
최소한의 브랜드 신뢰도가 있다쳐도
중국회사가 택갈이 하는 경우도 부지기수라
독일차들은 사고나면 중국제품 도배되겠군요..
카오루
25/07/20 15:28
수정 아이콘
사고 피해자가 한번되면 그다음 부터는 제조사 보증이 다 날라가버리는 기적, (제조사가 미쳤다고 타사 부품으로 수리한 차의 고장을 보증해주겠나요.)
토끼공듀
25/07/20 15:48
수정 아이콘
외제차 일부 메이커는 정품 써도 사설에서 수리하면 보증 날아가는데 부품 자체를 애프터 쓰라는건 진짜 미친 소리죠.

만약에 이렇게 해서 날아간 보증을 보험사에서 대신 이어가주겠다고 하면 고민할까말까 싶은데 절대 해줄리 없구요.
25/07/20 15:33
수정 아이콘
100:0 사고 당해도 정품으로 수리하려면 내 돈을 더 주고 수리를 해야 된다는 얘기군요. 세상에나...
25/07/20 15:49
수정 아이콘
중혐 제조 법안 되겠는데요 이거
라이엇
25/07/20 16:13
수정 아이콘
중국 농가...아니 공장을 살리기 위해....
Dear Again
25/07/20 16:21
수정 아이콘
제조사 공식센터로 입고시켜야할까요
김삼관
25/07/20 17:27
수정 아이콘
pgr 링크 글에 영상을 따르면 거기서도 정품으로 해주더라도 보험 지급되는 거 보다 더 많은 돈을 자기가 지불하고(피해차량이더라도) 수리하는 구조로 보인다고 하더군요 
동구밖과수원
25/07/20 18:46
수정 아이콘
공식 센터에서 정품을 쓰더라도 보험사들이 자기들이 책정한 가격 이상 안주겠단 소립니다.
25/07/20 16:23
수정 아이콘
중국산 부품을 수입해서 우리 돈으로 시험하고 인증해주는 건가요? 거기다 중국산 부품이 기준이 되어서 정품 수리 하려면 돈을 더 내야 하는거고..?
김삼관
25/07/20 17:28
수정 아이콘
일단 중국산 부품이더라도 검증기관에서 인정을 해주면 그렇게 되나봅니다 
25/07/20 16: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게 처음 들었을 때는 보험사 로비의 결과물이 아닐까 생각했는데, 사고 확률이 올라가면 오히려 장기적으로는 보험사 입장에서도 손실일 수도 있지 않을까요?

결국 [확정적으로] 이득 보는 쪽은 누구인가?
1. 애프터마켓 부품 제조사
2. 부품들과 제조사를 심사하는 '사단법인'
3. 그 사단법인을 선정하는 '더 위'의 누군가?
흠......
25/07/20 16:44
수정 아이콘
딱 이거 정치인들이 해먹는 구조중 하난데..
심사라는 권력을 가지고있는 자리에서 해먹을건덕지가 너무 많아서..
타시터스킬고어
25/07/20 16:45
수정 아이콘
허... 이건 좀
토끼공듀
25/07/20 17:01
수정 아이콘
이게 국회 발의 법안이 아니고 지금은 짤린 금융감독원 원장 이복현(22.06~25.06)이 23년에 발의 된 행정 명령으로 시행된 법이라고 하네요.
김삼관
25/07/20 17:29
수정 아이콘
보험쪽이라 금융감독원 행정명령으로 되는건가보군요?
25/07/20 17:29
수정 아이콘
외제차 비율이 너무 높아지니 일종의 비관세장벽세우기 같아요. 국산차야 부품수급이 쉬우니 인증도 정품위주로 돌아가게 할텐데 외제차는 뭐 지들맘대로 하겠죠.
내연기관도 이제 국산이나 독삼사나 가격차이가 크게 없어서 할인까지 감안해서 많이 넘어가는 편인데 전기차는 완전히 심각합니다. 6월 국내전기차 판매량 다합쳐도 모델y단일차종에 밀려요. 보조금 차이 엄청 나고 보험료도 차이 많이 나는데도 불구하고요.
제 감상은 안되니까 하다하다 별 짓을 다한다 입니다.
큐알론
25/07/20 18:36
수정 아이콘
그렇게나 차이가 나는군요. 국산 전기차도 꽤 좋은데 왜 이렇게 안 팔리지...
25/07/20 18:38
수정 아이콘
비슷한 생각입니다. 정비 편의성 제외하면 국산차 가격 경쟁력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죠
김삼관
25/07/20 18:53
수정 아이콘
궁금해졌는데 르노 자동차 같은 경우는 어느쪽인가요? 국산부품일까요 
25/07/20 19:15
수정 아이콘
자세히 알 수는 없어도 그 간의 정책으로 볼 때 확실한 건 국내기업으로 간주하는 곳은 최대한 피해가 안가게 한다입니다. 그동안 한국이 전세계 유례없는 자국차 비율을 가지게 된건 한국차가 세계제일이라서 그런것도 아니고 엄청난 애국심때문도 아니고 그렇게 될 수 밖에 없게 만든거라고 생각해서요.
자동차산업에 한해서는 여야를 가리지 않고 엄청난 밀어주기가 있었던게 사실입니다. 이번에 값싼 중국제품 얘기 나온다고 중국도와주기나 그런것은 전혀 아니고요, 중국차 산업의 한국진출도 정치성향 좌우 가릴거 없이 기를 쓰고 막아내고 있습니다. 중국산 배터리 보조금의 심한차별이라던가 byd한국인증 질질끌기 같은거로요. 이재명대통령도 중국산에 보조금 들어간거 일갈한 바 있고요.
그러니까 중요한건 정품 아닌 제품의 인증 여부인데
이게 완전 자유자재로 주무를 수 있는 치트키라 국산차산업보호에 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김삼관
25/07/20 20:23
수정 아이콘
확실히 보험끼고도 정품부품을 사용하는 유지관리비가 올라버리면 외제차 타는 사람들은 곤란해지겠네요

일본도 3년 5년 연식찰수록  자동차세가 늘어서 그냥 신차사버리는 사람도 있다고하니 이번 자동차보험도 비슷한 밀어주기 정책으로 볼 수도 있겠군요
25/07/20 20:42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극단적으로 생각하면 그냥 부품 비싼 외제차에는 잔뜩 대체부품 인증 때려버리고 국산차는 대체부품 인증을 거의 안해주게 되면 그냥 외제차만 손해보게 되는거죠. 그정도까지야 하겠냐만은 방향성은 맞을거에요.
독삼사나 테슬라 국내에 as용이하고 수리 어렵지 않게 해놔서 기반잡아놨더니 뒷통수 한 번 더 때리는거죠 뭐
25/07/20 18:38
수정 아이콘
이간 무조건 막아야죠
김삼관
25/07/20 18:54
수정 아이콘
일단 시행은 확정이고
단통법도 도서정가제도 10년은 넘게 갔으니 이것도 어찌될지는 모르겠네요 …
VictoryFood
25/07/20 19:44
수정 아이콘
??? : 수리시 정품부품 수리 특약에 가입하세요.
졸립다
25/07/20 21:08
수정 아이콘
이건 보험회사에서 검은돈을 먹인 정치인들의 작품인가요?
그렇구만
+ 25/07/20 22:57
수정 아이콘
정품 수리 특약 생기고 보험료 더 비싸진다에 한표요.
근데 정품 부품 만드는 현기쪽도 피해가 클텐데 로비에서 진건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7475 [텍스트] 이번 일본 참의원(상원) 선거에서 대승한 참정당의 개헌안 / 공약 [49] 유머3260 25/07/20 3260
517474 [유머] 면도할 때 조심해야 하는 이유 [1] 길갈2803 25/07/20 2803
517473 [게임] (약후?) 가슴이 웅장해지는 블아 신규 스킨 [17] 묻고 더블로 가!3453 25/07/20 3453
517472 [기타] 회사 생활 [8] 퍼블레인3505 25/07/20 3505
517471 [유머] 한섭에서 중국어 쓰라는 채팅에 바로 급발진.mp4 [2] Myoi Mina 3027 25/07/20 3027
517470 [방송] 아동극하다가 연기의 벽을 느낀 윤경호 [6] 명탐정코난2728 25/07/20 2728
517469 [기타] 넘사벽으로 벌어진 TSMC와 삼성파운드리의 격차 [24] Heretic4421 25/07/20 4421
517468 [유머] 방울토마토 올라간 케이크.jpg [8] 핑크솔져3775 25/07/20 3775
517467 [기타] 디카페인커피라고 방심하면 안되는게 [16] Lord Be Goja4932 25/07/20 4932
517466 [유머] 가족여행 금지어 [12] Croove4163 25/07/20 4163
517465 [기타] 지붕위라고 곰을 함부로 놀리면 안되는 이유.mp4 [19] insane4131 25/07/20 4131
517464 [기타] 자동차 관리법 개정 관련 비슷한 영상 [33] 김삼관5052 25/07/20 5052
517463 [유머] 환타광고도 이젠 디지털시대 [5] 김삼관3588 25/07/20 3588
517462 [텍스트] (517458관련) 요즘 유행이라는. 알고리즘. 저도 한번 사봤읍니다. ^^;; [6] 마포구 보안관2926 25/07/20 2926
517461 [게임] 스파6 Blink Respawn Top8 [3] STEAM1706 25/07/20 1706
517460 [유머] 복잡다난했던 키위의 개명사 [21] 어강됴리7284 25/07/20 7284
517459 [게임] 요즘 게임들 설명문 특 [14] STEAM6326 25/07/20 6326
517458 [유머] 요즘. 데몬헌터?가 유행이라고 하더니 참 어이업읍니다 [23] 매일7949 25/07/20 7949
517457 [LOL] EWC 쵸비 펜타킬 [9] 하이퍼나이프4989 25/07/20 4989
517456 [유머] 오늘자 로또 대박.jpg [28] 김유라9664 25/07/19 9664
517455 [기타] 호랑이가 담배피던 시절 [20] 퍼블레인5601 25/07/19 5601
517453 [유머] 상상으로 보는 미국의 항복 선언 [2] 두드리짱6842 25/07/19 6842
517452 [유머] 의외로 카레에 들어가면 안되는 재료 [62] 퍼블레인7957 25/07/19 79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