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2/08 00:20:09
Name 김치찌개
File #1 1.jpg (433.7 KB), Download : 196
출처 이종격투기
Subject [유머] 문과 전문직 8대장.jpg


문과 전문직 8대장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오타니
25/02/08 00:52
수정 아이콘
건축사는 안끼워주나용
25/02/08 01:22
수정 아이콘
건축공학이라서 이과죠
에이치블루
25/02/08 10:59
수정 아이콘
공돌이입니다 흐흐흐
티오 플라토
25/02/08 00:57
수정 아이콘
변리사는 이과라 봐야 하지 않을까요 크크
25/02/08 01:28
수정 아이콘
진지먹자면 사람들이 편의상 '문과전문직'이라고 표현하고 이것이 대중화된건데 정확하게는 국가자격은 국가전문자격과 국가기술자격으로 분류되고 둘의 차이는 특정 분야의 전문가(국가전문자격)이냐 특정 산업기술의 전문가(국가기술자격)로 나뉩니다. 그래서 기술사, 기사는 국가기술자격이지만(특정 산업별로 자격증 세분화), 변리사는 산업기술의 전문자격 개념이 아니라서 국가전문자격이죠. 참고로 그런 의사도 국가기술자격이 아니라 국가전문자격입니다.
이카리 신지
25/02/08 10:00
수정 아이콘
과목을 기준으로 한 것 같네요. 변리사는 1차 자연과학개론과 2차 선택과목 중 일부(회로이론, 분자생물학 등) 외에는 모두 법학과목임.
25/02/08 10:47
수정 아이콘
저도 그게 맞는거 같은데 2차가 문과과목이라서 크크
줏어들은거지만 이공계출신도 2차 선택을 자기전공 버리고 법쪽으로 친다고 하더라고요
기술적트레이더
25/02/08 01:12
수정 아이콘
치킨제조사는 문과인가요 이과인가요
터치터치
25/02/08 02:54
수정 아이콘
노벨평화과죠
25/02/08 03:31
수정 아이콘
.목사 자격증을 좀 강화해야...
타카이
25/02/08 06:26
수정 아이콘
진지먹자면 해당직엔 필요 자격 요건이 없습니다...
No.99 AaronJudge
25/02/08 09:14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개신교가 가톨릭마냥 중앙집권체제가 아니다 보니까…(그거 싫다고 나간 거니 만들기도 뭐하고요) 자격요건같은거 만들기 참 어렵죠
록타이트
25/02/08 10:15
수정 아이콘
사실 자격은 성경에 써 있는데 거의 제대로 지키질 않죠.
"자기 자식 잘 키운 사람"입니다. 물론 여기서의 잘 키운 것의 기준은 성경입니다.
설탕물
25/02/08 11:28
수정 아이콘
성경에 그런 구절이 있었나요? 혹시 어디에 나오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록타이트
25/02/08 14: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생각하기에 제일 무시되고 있는 부분이라 자녀 부분만 적었지만 사실 구체적으로 많긴 합니다.

그러므로 감독은, 책망할 것이 없으며, 한 아내의 남편이며, 절제하며, 신중하며, 단정하며, 나그네를 대접하며, 가르치기를 잘하며, 술을 즐기지 아니하며, 난폭하지 아니하고 너그러우며, 다투지 아니하며, 돈을 사랑하지 아니하며, [자기 가정을 잘 다스리며, 언제나 위엄을 가지고 자녀들을 순종하게 하는 사람]이라야 합니다. (자기 가정을 다스릴 줄 모르는 사람이 어떻게 하나님의 교회를 돌볼 수 있겠습니까?) (디모데전서3:1-5, 새번역)

장로는 흠잡을 데가 없어야 하며, 한 아내의 남편이라야 하며, [그 자녀가 신자라야 하며, 방탕하다거나 순종하지 않는다는 비난을 받지 않아야 합니다.] 감독은 하나님의 청지기로서, 흠잡을 데가 없으며, 자기 고집대로 하지 아니하며, 쉽게 성내지 아니하며, 술을 즐기지 아니하며, 폭행하지 아니하며, 부정한 이득을 탐하지 아니하는 사람이라야 합니다. 오히려 그는 손님을 잘 대접하며, 선행을 좋아하며, 신중하며, 의로우며, 경건하며, 자제력이 있으며, 신실한 말씀의 가르침을 굳게 지키는 사람이라야 합니다. 그래야 그는 건전한 교훈으로 권면하고, 반대자들을 반박할 수 있을 것입니다. (디도서1:6-9, 새번역)
설탕물
25/02/08 21:19
수정 아이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큐알론
25/02/08 06:12
수정 아이콘
이 중에 가장 워라벨이 좋은 직업은 뭘까요?
설탕물
25/02/08 11:29
수정 아이콘
전문직은 자기 선택이죠 대체로 자기 몸 갈아가며 일하겠다 하면 그렇게 일할 곳이 있고 워라벨 챙기겠다해도 그럴 곳이 있고. 전문직 친구 중에 주 4일 오전만 일하는 친구도 있습니다 크크
냠냠주세오
25/02/08 18:42
수정 아이콘
워라벨 생각하면 전문직이 아닌 다른직업 찾으셔야함.
No.99 AaronJudge
25/02/08 09:13
수정 아이콘
관세사 하고싶..
이카리 신지
25/02/08 09:58
수정 아이콘
시험운영이 개판이라네요. 특정 학원 모의고사를 그대로 출제해서(학원 원장과 대학교수가 선후배 사이) 소송까지 가고 그랬음.
25/02/08 09:28
수정 아이콘
암베사는 무과인가요?
으촌스러
25/02/08 10:26
수정 아이콘
공인중개사는 왜 없지..
알라딘
25/02/08 11:24
수정 아이콘
누구나 볼 수 있어서?
preeminence
25/02/09 00:38
수정 아이콘
컨설턴트가 없다니ㅠ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1877 [기타] 눈길에서의 다마스 [22] 유머9001 25/02/12 9001
511876 [기타] 30, 40대 남자들에게 불호 별로 없을 것 같은 음식 [50] a-ha10483 25/02/12 10483
511875 [기타] 고양이를 점빵에 들이면 좋은 이유 [12] Lord Be Goja9687 25/02/12 9687
511874 [기타] 요즘 핫한 그래픽카드 근황 [17] Lord Be Goja9451 25/02/12 9451
511873 [유머] 어제자 온라인 판매 시작한 드래곤볼 40주년 굿즈.jpg [12] 고쿠7525 25/02/12 7525
511872 [게임] 스피커의 중요성 [79] Lord Be Goja10607 25/02/12 10607
511871 [유머] 영하 5도에서 먹는 라면 [35] 길갈10122 25/02/12 10122
511870 [기타] ott와 영화관의 역할이 바뀐 것 같다는 주장 [23] a-ha8557 25/02/12 8557
511869 [유머] 세대별로 갈린다는 하트 하는 법 [23] INTJ8271 25/02/12 8271
511868 [유머] 애플워치를 발목에 차는 사람이 있다? [23] INTJ8149 25/02/12 8149
511867 [유머] 오디오 동호회 가입한 유부녀.jpg [3] Myoi Mina 9470 25/02/12 9470
511866 [기타] 입술로 유혹하기 대결 [10] 묻고 더블로 가!8352 25/02/12 8352
511865 [기타] 쥬라기공원 영화 새로운 시작 [14] 김삼관8800 25/02/12 8800
511864 [연예인] 비싼 옷 입지 마세요. [35] 김삼관13288 25/02/12 13288
511863 [유머] 고속도로에서 짜증나는 상황.jpg [16] 김치찌개10069 25/02/12 10069
511862 [유머] 5가지 예시중 택 1 하시오.jpg [43] 김치찌개7962 25/02/12 7962
511861 [유머] 칼국수 취향.jpg [25] 김치찌개8121 25/02/12 8121
511860 [유머] 50대50으로 갈린다는 주4일제 밸런스 게임.jpg [17] 김치찌개8043 25/02/12 8043
511859 [유머] 어떻게 읽으시나요?.jpg [26] 김치찌개6729 25/02/12 6729
511858 [기타] (스압) 중국에 경제폭망이 오고 결국 배달라이더가 된 가장의 이야기 [36] 홈스위트홈9819 25/02/12 9819
511857 [유머] 열심히 제설을 하지만 생색은 내지 않겠습니다 [7] VictoryFood8309 25/02/12 8309
511856 [기타] 연금복권 당첨자 인터뷰 [4] VictoryFood7893 25/02/12 7893
511855 [기타] 예일대학교 근황 (feat 한국어, 한국 문화) [7] a-ha7830 25/02/11 78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