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6/25 12:32:17
Name Leeka
출처 딤토
Subject [기타] UN군이 전쟁에 참여한 역사상 유일한 전쟁. 6.25 전쟁 (수정됨)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 줄여서 안보리. 

- 안보리의 경우 현 시점 기준 '상임이사국 5개' + 비상임이사국 10개' 로 구성됨

* 상임이사국 : 미국 / 영국 / 프랑스 / 중국 / 러시아.  5개 국가  (무제한 임기)

* 비상임이사국 : 10개 국가가 계속 바뀜 (임기가 정해져 있음) 



- 유엔군 파병을 위한 조건
은 다음과 같음

1. 안보리 국가중 60% 이상 찬성 

2. 상임이사국 5개 국가 중 '아무도 반대하지 않아야 함' 



- 그럼 6.25 전쟁때 유엔군은 어떻게 파병이 되었을까?

당시 상임이사국은 대만 (1971년부터 중국으로 바뀜) / 소련 (소련 붕괴 후 러시아로 바뀜)
즉 미국 + 영국 + 프랑스 + 대만은 유엔군 파병에 찬성. 
유일한 변수는 '소련' 이였는데
'소련은 안보리에 불참한 상태였고'
그것을 미국이 '거부권 행사를 포기' 한 것으로 간주해서 통과시켰음.

이후 소련은 안보리에 꼬박꼬박 참석해서 거부권을 사용함. 
(썰로는 소련에서도 의도적으로 불참한거라는 말도 있는데 이건 해석이 나뉘는 부분)



- 현실에서는 최근 몇 년만 살펴봐도

이스라엘 vs 팔레스타인만 해도
안보리 통과가 안된 이유
> 미국이 거부권을 사용해서

최근 러시아 vs 우크라이나 전쟁만 해도
안보리 통과가 안된 이유
> 러시아가 거부권을 사용해서


기 때문에 6.25 전쟁이 유엔군의 처음이자 마지막이 될 확률이 매우 높다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jjohny=쿠마
24/06/25 12:34
수정 아이콘
하긴... UN군의 참여가 필요할 만큼 중량감 있는 전쟁에는 어떤 형태로든 안보리 이사국이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겠네요.
승률대폭상승!
24/06/25 13:21
수정 아이콘
지구연합군개간지
동년배
24/06/25 13:28
수정 아이콘
49년 중국이 공산화되고 대전이 끝나지 얼마 안된 상황이라 평화 분위기에 취하지 않았고 바로 옆 일본에 대규모 미군이 있었고 등등 외적 조건이 좋긴 했습니다만... 진짜 운이 좋았죠
꼬마산적
24/06/25 14:05
수정 아이콘
일본에 있던 미군은 전투력이 하아!!
겨울삼각형
24/06/25 13:39
수정 아이콘
안보리에서 러시아가 빠질수도
24/06/25 14:34
수정 아이콘
1. UN헌장을 개정하는 방법: 상임이사국 전원 + 회원국 2/3 이상 찬성 필요 --> 러시아 찬성 필요하므로 사실상 불가능

2. UN총회의 결의에 의한 방법: 러시아에 내란이 발생하고 푸틴 반대파를 정통정부로 승인하는 내용의 결의를 하는 방법. 안보리 동의 불필요. 대만이 쫓겨나고 중공이 상임이사국이 된 방식. --> 회원국 2/3 이상 찬성 필요하므로 통과여부 미지수
가만히 손을 잡으
24/06/25 13:46
수정 아이콘
참. 하늘이 도왔다 싶네요.
안군시대
24/06/25 14:08
수정 아이콘
한반도를 둘러싼 근대사 흐름을 보면 진짜 천운이다 싶은 순간들이 여럿 있는데, 그중 하나죠. 유엔군이 아니더라도 다국적국 스타일로 블루팀이 참전했을 것 같긴 한데, 그렇다쳐도 그게 좀더 늦어지거나 했으면 한반도도 베트남이나 캄보디아 꼴이 나지 않았으리란 법이 없다 봅니다. 아니면 티벳 엔딩이던지..
거믄별
24/06/25 15: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 때 스탈린의 선택이 대한민국을 살렸죠.
역전다방에서도 이 부분을 꽤 자세하게 다뤘는데 그것도 편지등을 통한 추정이라...
왜 소련이 불참하는 선택을 했을지는 스탈린만 알지 않을까요.
가위바위보
24/06/25 17:57
수정 아이콘
당시 화장실이 급해서 미뤄뒀지 않았을까...
퀀텀리프
24/06/25 16:09
수정 아이콘
프로 불참러의 원조
24/06/25 16:38
수정 아이콘
울나라 어르신들이 반기문을 젊은사람들이 이해 못할 정도로 높게보는 이유죠.
Energy Poor
24/06/25 18:40
수정 아이콘
예전에 얼핏 들은 얘기로는 당시 소련 대표가 유엔안보리 참석하러가는 길에 차에 무슨 문제가 생겨서 정시에 도착못했다고 했는데 사실인지는 모르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2048 [기타] 알리, 테무 근황 [57] 로켓9586 24/06/27 9586
501935 [기타] UN군이 전쟁에 참여한 역사상 유일한 전쟁. 6.25 전쟁 [13] Leeka4755 24/06/25 4755
501893 [기타] 해냉은..서비스 종료다 [38] Lord Be Goja8284 24/06/24 8284
501517 [기타] 한국에 팔고 싶은 중국상인들의 섬세함 근황 [11] Lord Be Goja10292 24/06/14 10292
501502 [기타] 의문의 중국 최대 소고기 수입업체 (루머로 밝혀져) [34] Lord Be Goja8054 24/06/14 8054
500888 [기타] 주요 아시아 국가 국민들 1주일 당 독서 시간 [61] 우주전쟁8199 24/06/03 8199
500738 [기타] BYD, 한번에 2100km 갈 수 있는 PHEV 출시 [45] 크레토스6962 24/05/30 6962
500604 [기타] 방금 전 NHK가 촬영한 북한 로켓 발사 영상 [15] 매번같은8755 24/05/27 8755
500385 [기타] 중국군이 새로 들인 반려견 [18] Lord Be Goja7380 24/05/24 7380
500309 [기타] 미국과 중국은 입지의 차이가 정말 크네요 [81] 우주전쟁9935 24/05/22 9935
500268 [기타] 소리소문없이 부활한 차종 [27] nearby9502 24/05/21 9502
500099 [기타] 중국에서 소개한 신병기의 컨셉영상 [13] Lord Be Goja5333 24/05/18 5333
500081 [기타] 중국 쇼핑몰 사장님의 센스 [14] 물맛이좋아요7904 24/05/18 7904
500043 [기타] 사람 대신 로봇이 전쟁하는 시대 [25] 크레토스5790 24/05/17 5790
499907 [기타] 최근 중국군 기계화부대에 제식장비로 포함된것 [12] Lord Be Goja6158 24/05/15 6158
499776 [기타] 2024년 1분기 인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6] Heretic6066 24/05/12 6066
499629 [기타] 중국같지 않은 중국남방여행 [28] Lord Be Goja8330 24/05/09 8330
499617 [기타] 2023년 주요국 GDP 대비 국방비 지출 [28] 베라히8558 24/05/09 8558
499561 [기타] 검열 당했다는 중국 웹툰 [16] 묻고 더블로 가!10550 24/05/07 10550
499497 [기타] 밑에 상하이 월세관련 글을 보고 찾아서 올려보는 중국 대도시 현실에 대한 영상 [32] 보리야밥먹자8572 24/05/06 8572
499312 [기타] [펌] 현직 꽃집 사장이 까발려주는 꽃 사기 팁 [30] VictoryFood12300 24/05/01 12300
499279 [기타] K국의 볶음밥에 찾아온 위기 [30] 퀀텀리프9160 24/05/01 9160
499164 [기타] ???: 머스크 게 섯거라 [11] Lord Be Goja5491 24/04/29 54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