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2/08 15:00:19
Name 여기
File #1 1495f8fea4337530eeadf305b1bc74a2.jpg (38.4 KB), Download : 21
출처 없어요
Subject [스포츠] 한국이 황금맴버로 무관이라 화난다고?


여기는 더 화딱지나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무냐고
24/02/08 15:09
수정 아이콘
뻥..
카즈하
24/02/08 15:11
수정 아이콘
와... 멤버 보소;;;;
24/02/08 15:13
수정 아이콘
역시 축구는 감독빨
에바 그린
24/02/08 17:39
수정 아이콘
감독빨 이야기 나오는 사례는 아니죠
내부 파벌이나 포지션 중복이 문제인 사례지
도뿔이
24/02/08 15:13
수정 아이콘
다른 팀까지 고려하면 지금 잉글국대가 더 강한 팀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시절엔 연도마다 조금씩 다르긴 하겠지만 스페인, 독일, 프랑스 같은 팀들이 멤버도 더 화려했가 팀으로서도 더 강했다고 생각해요.
내설수
24/02/08 15:25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잉글도 강팀이었지만 다른 팀이 더 셌죠
전반전0대0
24/02/08 17:14
수정 아이콘
잉글랜드는 해리케인의 전성기가 지나기 전이면서 벨링엄이 중원에 있을 때 트로피 하나 들고 싶긴 할 것 같아요.
마구마구
24/02/08 15:32
수정 아이콘
?? 테리 퍼디난드 제라드 ?? 람파드
루니 베컴 네빌 ?? 콜

저같은 축알못 라이트팬이 얼굴만 보고도 반 이상 이름을 아는 정도면.. 네임밸류는 죽이네요
진아린롱
24/02/08 15:39
수정 아이콘
로빈슨 - ----- 하그리브스
조콜- 애슐리콜
이렇게 인것같네요 빈칸채우기 본능이 발동했습니다.
흑태자
24/02/08 15:38
수정 아이콘
EPL위주의 국내 해축 시청층이 형성되면서 네임밸류만 고평가된 팀이라고 봐야죠
구마라습
24/02/08 15:45
수정 아이콘
이쪽은 EPL 중계도 중계인데 위닝의 영향이 크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사비알론소
24/02/08 23:44
수정 아이콘
위닝에서 epl이 좋았나요? 유베 인테르가 강팀이었던걸로 기억합니다
구마라습
24/02/09 10:22
수정 아이콘
위닝에서 잉글국대는 항상 강팀이었습니다. 전통적으로 브라질, 아르헨, 잉글, 이탈리아 정도가 최상위였고, 체코, 나이지리아, 카메룬 정도가 숨은 강팀이었던 기억이 납니다. 저는 셰브첸코 원툴 우크라이나를 좋아했습니다.

인테르는 아들탄 나오면서 강해졌고, 유베는 카모라네시가 이상하리만큼 능력치를 잘받았고 유베보단 밀란이 더 좋았습니다 epl은 맨유, 리버풀, 아스날, 첼시 괜찮았죠. 하지만 레알, 바르샤가 항상 최상위였습니다. 저는 호아킨 원툴의 레알 베티스를...
무냐고
24/02/08 16:11
수정 아이콘
해버지가 EPL이셔서..
정유미
24/02/08 15:40
수정 아이콘
다 아는 사람들이구만
아카데미
24/02/08 15:45
수정 아이콘
위닝에서는 정말 좋았는데
파쿠만사
24/02/08 15:48
수정 아이콘
N극과S극.. 아아..
이혜리
24/02/08 15:51
수정 아이콘
각 팀의 에이스만 잔뜩 모아 놨으니, 기대감은 뿜뿜.
근데 위에도 언급되어있지만 지금 잉국이 더 강합니다.
주변 상황 생각하면, 더더욱.
포국, 잉국, 프국 세 나라가 제일 쎄요.
24/02/08 15:52
수정 아이콘
여긴 유명하기만 한 명단이라는 느낌이라.. 개인적으로는 벨기에가 황금세대때 성과를 못낸게 좀 아쉽긴 하더라구요.
꼬마산적
24/02/08 16:04
수정 아이콘
2002 포루투갈 멤버도 많많치는 않았죠
다만 털렷죠 크크크
전반전0대0
24/02/08 17:16
수정 아이콘
카타르 월드컵 전까지 가장 재밌게 봤던 국가대항전이 유로2000었던 사람으로

피구가 그렇게 송종국한테 털릴 거라고는 0.1g도 생각 못했습니다. 크크
블래스트 도저
24/02/08 17:42
수정 아이콘
크크 유로 끝나고 금방 조추첨 해서 포르투칼 나올땨 다들 좌절한 기억이
버트런드 러셀
24/02/08 16:07
수정 아이콘
다른 클럽끼리 밥도 따로 먹었다고 할 정도로 조화가 안되기도 했죠. 포지션도 겹쳤고
이웃집개발자
24/02/08 16:14
수정 아이콘
와 저당시 멤버 한명만 줘봐요 진짜 잘쓸듯;; 앗 하그리브스랑 로빈슨은 빼구요
24/02/08 16:35
수정 아이콘
하그리브스는 그야말로 유령선수고.. 폴 로빈슨은 다른 능력치는 평범했는데 킥력이 끝내줬어서 요즘 축구 메타에는 생각보다 괜찮았을것 같아요
24/02/08 16:47
수정 아이콘
2002년이 잉국이 우승적기였는데 외계인에게 침공 당해서
8강만 이겼어도 우승 가능했는데 말이죠
24/02/08 16:57
수정 아이콘
호나우딩요의 침공 시맨의 만세
양현종
24/02/08 17:00
수정 아이콘
잉글랜드의 고질적인 문제점은 비슷한 유형의 선수가 많다는 점(ex. 투박한 박투박, 주력만 빠른 윙어 등)... 볼을 예쁘게 차는 선수도 별로 없구요.
24/02/08 17:20
수정 아이콘
저때도 잉글국대 네임밸류에 비해 실력적으로 거품이라는거는 축구팬들 대부분 공유하는 인식이었어요. 게임으로만 축구를 접한 사람들이나 고평가 했었지....
쿼터파운더치즈
24/02/08 18: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EPL이 박지성 붐 + 피파온라인 붐 타고 가치 이후 지나치게 고평가된건 맞는데, 저 당시 저 라인업 선수들은 실제로도 선수 평가 높던 시기였습니다 8강에서 진것도 포르투갈에게 승부차기가서 진거고 그전 경기에선 무패였어요
오히려 게임이나 축구 겉으로 보고 나중에 일부 축구 유튜브 말하는거 보신 분들이 선수들 거품이라고 까는거지 저때 해외 우승 배당 잉글랜드가 전체 2위였고 유럽전문가에서도 잉글랜드 이번엔 진짜 우승이 적기다 소리 나왔습니다 전력상 앞서는 팀으로 평가받은건 절정의 호나우지뉴 카카에 호나우두 아드리아누 황금4중주 들고있다는 브라질정도였구요
그 사람들 다 축알못 게임폐인 치부하신다면 뭐 할말없구요
그냥 경기력이 이름값에 비해 너무 씹구려서 문제였죠
그건 요즘 국대경기력 개판난 독일국대나 브라질국대에도 동일한건데 비니시우스 키미히 B급선수 이렇게 말하실분 없잖아요?
닭강정
24/02/08 18:43
수정 아이콘
솔직히 테리난드, 애쉴리 콜, 개리 네빌 수비진에 제라드 램파드 베컴 하그리브스 미들진에 8번 시절 루니, 오웬, 조콜 등의 공격진......
EPL 많이 봐서 아는 이름이라 해도 순수 이름값과 각 팀에서의 실력까지 진짜 최상이었죠.
24/02/09 12:46
수정 아이콘
우승배당이 덧없는게, 요번 아시안컵 우승 배당만 봐도....
딱총새우
24/02/08 18:25
수정 아이콘
키퍼, 풀백 무게감 좀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5097 [유머] 진정한 의미의 치킨게임을 선포했다는 곳 [26] 무딜링호흡머신11483 24/02/12 11483
495096 [연예인] 딸꾹질이 멈추지 않는 호노카 [6] 묻고 더블로 가!9149 24/02/12 9149
495095 [LOL] 요즘 솔랭에 대한 앰비션의 생각 feat 강찬밥 [28] TAEYEON9361 24/02/12 9361
495094 [기타] 탈북 만화가가 그린 만화로 알아보는 북한인들 성향.jpg [126] 캬라14210 24/02/12 14210
495093 [음식] 8천원짜리 고기국수집 [19] 길갈13137 24/02/12 13137
495091 [유머] 탈북자들이 돈에 대한 집착이 심한 이유.jpg [46] 궤변15056 24/02/12 15056
495090 [유머] 귀여운 3살 드러머 [8] 김삼관10450 24/02/12 10450
495089 [서브컬쳐] 미생_근황.jpeg [26] roqur12231 24/02/12 12231
495088 [서브컬쳐] 데드풀 & 울버린 슈퍼볼 트레일러 [35] 껌정8943 24/02/12 8943
495086 [게임] [스타2] 그 매치업 [24] SKY928653 24/02/12 8653
495085 [기타] 광장시장가서 떡볶이,순대 사먹을 때 주의하세요.ytb [63] VictoryFood15234 24/02/12 15234
495084 [게임] 요즘 마인 크레프트 근황 [3] 물맛이좋아요8506 24/02/12 8506
495082 [유머] 오늘 직장인들 근황 [27] 우미만멘미15282 24/02/12 15282
495081 [유머] 업계 2위를 달성한 현대카드 [38] Leeka15043 24/02/12 15043
495080 [기타] 고세구 방송으로 인해 터져버린 뷰어쉽 사이트.. [6] 물맛이좋아요10027 24/02/12 10027
495079 [서브컬쳐] [아프리카] 본점과 분점 [20] 데갠10688 24/02/11 10688
495078 [유머] 그 사람의 진짜 성격이 드러나는 순간.jpg [44] Myoi Mina 14414 24/02/11 14414
495077 [서브컬쳐] 아프리카TV 첫 방송 이전에 즐겨찾기 10만명 달성한 고세구 [15] 물맛이좋아요9768 24/02/11 9768
495076 [기타] 피지알러들이 에베레스트 갈 때 필수인 것 [9] 서귀포스포츠클럽9479 24/02/11 9479
495075 [기타] ??? : 아.. 나는 휴먼이 아니었구나... [13] 닉넴길이제한8자9354 24/02/11 9354
495074 [게임] 디아4 복사버그가 터진 후 블자의 역대급 대응방식 [19] 롤격발매기원9334 24/02/11 9334
495073 [게임] 스타필드 이용자수 97% 감소 [22] 묻고 더블로 가!10714 24/02/11 10714
495072 [기타] 층간소음 항의후 윗집에서 보내온 쪽지 [23] 서귀포스포츠클럽11648 24/02/11 1164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