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2/04 21:27:31
Name VictoryFood
File #1 1.png (2.43 MB), Download : 20
출처 사물궁이
Subject [기타] 한국에만 있다는 전세 제도는 언제 시작된 걸까?


한국전쟁 후 경제발전시기에 특수성으로 시작된 제도인가 했는데 이미 구한말부터 확립된 제도였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시린비
24/02/04 21:32
수정 아이콘
신기방기신기전
동년배
24/02/04 21:39
수정 아이콘
'전세'라고 표현한 최초의 기록이 조선관습조사보고서 라는 거고 전세와 비슷한 제도 자체는 조선왕조 시기에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대개의 제도가 그렇듯이 왜 그런 제도가 생겼는지 이유가 불분명한데 저는 경화 사족등이 지방관등으로 파견나갔을 때 한양의 집을 비워둘 수도 없고 나중에 돌아왔을 때 바로 거주할 집을 유지하기 위해 생기지 않았나 생각을 해봅니다.
VictoryFood
24/02/04 21:41
수정 아이콘
영상을 보면 비슷한 내용이 나오는데 전세와 조금씩 차이는 있는 거 같더라구요.
조선관습조사보고서에는 명칭이나 형태가 지금과 거의 똑같구요.
24/02/04 22:17
수정 아이콘
저는 월세를 할지언정 전세는 저는 절대 안합니다.
전세는 역전 되기 쉽거든요.
24/02/04 23:35
수정 아이콘
전 마음에 들어요. 이 드립...
사바나
24/02/05 10:43
수정 아이콘
저는 불리한 쪽이라 전세를 선호합니다
전세를 역전해야 하니까...
24/02/04 22: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요즘에 워낙 문제많은 제도로 인식되고 있지만 90년대 이전을 겪은 분들 얘기를 듣다보면 당시 세입자가 전세를 선호한 이유가 흥미롭더군요.
그때는 한국은 개인이 부동산 대출을 받는다는게 불가능했고 목돈이라는 걸 개인이 들고있기가 참 불안한 시기였다고 하더군요.
이상하게 목돈이 생기면 어떻게 알고 사기꾼이 꼬인다거나 친척이나 부모님이 병으로 쓰러진다거나.
그래서 목돈을 믿을 수 있는(?!) 집주인에게 맡겨둔다는 개념도 있었다고 합니다. 요즘엔 집주인이 사기꾼 아닌가 보는 시각도 있겠지만
예전에는 어차피 사회가 그렇게 익명의 사회도 아니었고 당시에 집을 가지고 있었으면 요즘과 달리 재산이나 안정성에서 믿을 수 있는 사람으로 인정했나 보더라구요.
지구 최후의 밤
24/02/04 23:15
수정 아이콘
90년대가 아니라 2010년대 초중반에도 전세 선호가 많았습니다.
당시 10년에 가까운 소강기로 인해 20 평형대 아래는 전세가율 90%를 넘는 집들도 많았어요.
24/02/04 23:19
수정 아이콘
첫줄에 전세 선호라고 했는데 원래 하고 싶었던 얘기가 목돈을 믿고 맡기는 분위기라 90년대 이전으로 썼네요.
사실 이번 전세사기직전만 해도 전세를 더 선호했고 앞으로도 전세돈 돌려받는 것이 보장만 된다면 다시 전세를 선호할 겁니다.
시스템이 잘 돌아가는한 세입자에게 가장 유리한 입주방식이니까요.
다람쥐룰루
24/02/04 22:45
수정 아이콘
전세에 대한 안좋은 인식이 생기기 전까지는 신앙처럼 숭배해뢌죠
24/02/04 22:51
수정 아이콘
전세가 지금이야 그 신뢰가 깨져서 그런거지 신뢰만 바탕이되면 충분히 좋은제도인데 다른나라에서 잘 안하는이유는 무엇보다 개인에게 그 큰돈을 덥썩 맡긴다고? 요게 크고 그 문제점이 본격적으로 튀어나오고 있는거죠.
전기쥐
24/02/04 23:30
수정 아이콘
전세는 그 큰 금액을 사금융의 형태로 다른 사람에게 맡기는거라 믿을수가 없습니다. 믿을 수 있는 은행에 맡기는 것도 아니고요.
비오는풍경
24/02/04 23:37
수정 아이콘
고신용자가 대출받아서 저신용자에게 돈을 맡기는 행위라고 생각하니까 정신이 번쩍 들던데요
OcularImplants
24/02/05 00:02
수정 아이콘
그래서 월세 생각해보면 금리가 낮아질 수록 월세 손해보는 게 너무 아깝죠
드라고나
24/02/05 01:22
수정 아이콘
구한말이 아니라 조선 시대에 이미 전세가 있었습니다. 조선시대 전세 시세가 이재난고라는 일기에 나오는데, 집값의 한 50에서 60퍼센트 정도로 나오죠
24/02/05 11:39
수정 아이콘
글 잘 읽었습니다. 가르쳐주셔서 고맙습니다.
24/02/05 06:40
수정 아이콘
전세가 월세보다 싼 이유는 위험하니까...
일각여삼추
24/02/05 09:04
수정 아이콘
사실 아파트는 지금도 전세가 딱히 위험하지 않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4997 [유머] 명절 고전 [1] 인민 프로듀서8917 24/02/10 8917
494996 [유머] 메스가키 [2] 된장까스9469 24/02/10 9469
494995 [기타] 요즘 핫한 DC 장사의 신 갤러리에 숨겨진 이야기 [9] 물맛이좋아요14362 24/02/10 14362
494994 [유머] 연세대 청소노동자 고소 사건 근황 [39] Leeka15452 24/02/10 15452
494993 [유머] 이세계(일본)에서의 롤하는 방송인 취급 [3] 김삼관13973 24/02/10 13973
494992 [음식] 호불호 크게 갈리는 라면 [28] 묻고 더블로 가!15431 24/02/10 15431
494991 [기타] 노크 귀순 뒷이야기 [13] Lord Be Goja14230 24/02/10 14230
494990 [유머] 키 193이라고? "네덜란드 가보면 딱 좋겠다" -> 실행 [16] 김삼관15954 24/02/10 15954
494989 [유머] 명절에 음식 안만드는 법 [7] 퍼블레인12061 24/02/10 12061
494988 [게임] 동성애 4대 회장 [9] 이호철13912 24/02/09 13912
494987 [유머] 애플 비전프로 리뷰영상이긴 한데.. 뭔가 다르다 [26] 김삼관14044 24/02/09 14044
494986 [기타] 꽉 막힌 고속도로에서 급똥온다면 [15] 똥진국13323 24/02/09 13323
494985 [유머] 코딩천재 [43] 이호철16292 24/02/09 16292
494984 [동물&귀욤] 이게... 밥....? [4] 길갈9074 24/02/09 9074
494983 [스포츠] 의외로 벌써 반년도 안 남은 국제적인 축제 [19] 묻고 더블로 가!13435 24/02/09 13435
494982 [기타] 남편이 전세금 빼서 나스닥에 풀 공매도 치자고 합니다 [62] 서귀포스포츠클럽17523 24/02/09 17523
494980 [유머] TRPG썰] 6살 짜리 DM과의 대화 [17] 동굴곰12016 24/02/09 12016
494979 [게임] 헬다이버즈2 어이 저기 봐, 굉장한 석양이야 [2] STEAM9262 24/02/09 9262
494978 [게임] NC소프트 4분기 실적.jpg [54] 굿럭감사15160 24/02/09 15160
494977 [스포츠] (도시별) 유럽인들이 가장 많이 보는 축구팀 [18] 베이컨치즈버거13171 24/02/09 13171
494976 [방송] 일본 드라마가 시청자들 몰입시키는 신박한 방법 [24] 묻고 더블로 가!16667 24/02/09 16667
494975 [유머] ?? 아니 어떻게 자기 애완동물 이름을 히틀러? [6] KanQui#111746 24/02/09 11746
494974 [기타] 기네스 기록 거부되었다가 다시 인정된 사람 [12] 우주전쟁14421 24/02/09 1442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