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12/23 20:14:16
Name Myoi Mina
File #1 p1.jpg (302.5 KB), Download : 18
출처 펨코
Subject [유머] 지금 난리난 중국 게임규제 최신근황...jpg


시진핑도 뽑기로 빡쳤나

거래소 금지는 꽤 큰거 같긴 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12/23 20:1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대진핑 부진장강곤곤래!
23/12/23 20:17
수정 아이콘
새로 크려는 회사들에게는 치명적이겠지만 이미 체급 되는 중국회사들은 이제 외국에 팔아먹겠죠
최종병기캐리어
23/12/23 20:18
수정 아이콘
시진핑이 가챠하다가 원하는거 안나와서 꼬접했나...?
23/12/23 20:19
수정 아이콘
중국특유의 업계사정따윈 모른다 까라면 까 공산당식 무빙이 심하긴한데
보면 볼수록 규제내용자체는 게임산업과 유해성에 대한 이해는 꽤 하고 진행하는거같은 그런느낌도 있긴해요

저 개인적으로는 싸게팔든 비싸게팔든 그건 니 맘대로 하시고 그걸 도박질로 결정하게 하진말라는 스탠슨데 딱 맞거든요 이부분은.
일퀘같은 매일접속유도하는 행위를 막는건 제 개인적입장에선 좀 오바스러운데, 자제력이라고는 없는 사람들 보면
매일접속시키는게 도박적인 BM과 섞이면서 부정적인 효과가 생겼다고 봐도 이상할건 없는거 같고.
23/12/23 20:20
수정 아이콘
가챠 철폐 도박하지말란 소리죠..
왕립해군
23/12/23 20:20
수정 아이콘
시행날짜까지 가봐야 안다고 봅니다..
23/12/23 20:20
수정 아이콘
가챠가 아니면 사실 서브컬처 게임 할 이유가 퇴색되죠
절대불멸마수
23/12/23 21:28
수정 아이콘
정가로 사도 똑같이 애정이 생기지 않을까요?

정가 : 장당 500만원 / 4장 모아야 한계돌파
이거나 현행이나 애정이 왜다른지 궁금하네요.
서브컬처 게임은 안합니다..
23/12/23 22:40
수정 아이콘
대부분 정가가 아니라 모은 사료로 비틱을 노리고 하니까요
그러다 안뜨면 급발진이..

애초에 정가면 비싸서 안하죠
티아라멘츠
23/12/24 00:01
수정 아이콘
장당 500만원 주고 사는 서브컬쳐 유저는 진짜 극극극극극 소수입니다.. 한달에 만원~2만원정도만 내고 하는 유저가 압도적 다수일걸요
23/12/24 14:06
수정 아이콘
저대로면 그냥 합리적인 과금이 다수고 극소수 캐시카우 유저한테 빨아먹는게 줄것 같긴 하네요.
코우사카 호노카
23/12/23 20:21
수정 아이콘
매출을 망치는 추녀
요이미야의 저주다...

하필 요이미야의 쿨이 올떄 매출이 폭발하다니
No.99 AaronJudge
23/12/23 20:29
수정 아이콘
ㅠㅡㅠ 우리 요이미야 지켜
23/12/23 20:40
수정 아이콘
요미 전무 주게 하려는 혜안일 수도 있습니다.
23/12/23 20:21
수정 아이콘
중국 이미지때문에 그렇긴한데 이 내용만 보면 (요새 매운맛가챠들 생각하면) 이게 맞는거 같기도 하고..아리쏭하네요 흐
구라리오
23/12/23 20:21
수정 아이콘
돈주고 바로 구매하기~~!!
23/12/23 20:22
수정 아이콘
전 매우 찬성.... 근데 뭐 5성 하나에 얼마에 파려나..
벌점받는사람바보
23/12/23 20:22
수정 아이콘
너무 도박같이서 좀 마음에 드는 구석도 있네요 크크크
인센스
23/12/23 20:23
수정 아이콘
시진핑핑아...고맙다...! 이걸 해준다면 진짜 널 짱이라고 불러줄게...!
23/12/23 20:24
수정 아이콘
솔짇히 가챠는 게임회사만 좋은거지 공익은 없는 듯.
ioi(아이오아이)
23/12/23 20:28
수정 아이콘
리니지의 봄이 오나요?
23/12/23 20:29
수정 아이콘
돈은 쓰는사람 마음인데 시장에 규제를 한다는건 맘에 안들지만..
가챠겜은 문제가 많다고 생각해서..
빛나는구름
23/12/23 20:29
수정 아이콘
역시 중국몽이야
호우기
23/12/23 20:29
수정 아이콘
중국 게임들이 저 법에 적응해서 체질 개선을 할 수 있다면 그 결과를 보고 싶네요
무엇보다도 호요버스 겜들이 내년에 어떻게 변화할지 궁금해요
No.99 AaronJudge
23/12/23 20:29
수정 아이콘
그래서 어떻게 바꾸게…..?

솔직히 호요버스 한번 철퇴 맞았으면 좋겠긴 한데
오히려 소비자한테 비용 전가할까 걱정되긴 해요
닉네임을바꾸다
23/12/23 20:42
수정 아이콘
현재 갸차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소수에게도 돈을 무지막지하게 빨아먹을 수 있고 천장시스템으로인해 개평(무료재화) 주면 살살 꼬득여서 갸차 유도하는 구조인데...(모든 유혹을 극복하고 극한으로 존버해버리면 개평만 모아서 하기도 하고 말이죠...)
지르콘
23/12/23 20:30
수정 아이콘
나름 합리적인 규제로 보이네요.
23/12/23 20:34
수정 아이콘
저는 애초부터 가챠를 도박의 일종이라고 봐서 규제는 찬성하는 편인데,
사실 규제할 명분이 없죠.
저런 방식이 거의 유일한 방법이긴 한데, 좀 묘하네요.
23/12/23 20:40
수정 아이콘
오히려 명분은 차고도 넘치지 않나요?
일종의 도박인데 유소년, 청소년이 접근하기가 너무 쉬워요.
차라리 가챠겜을 다 19금 때리면 될 거 같은데, 그럼 게임업계가 죽는다고 난리나겠죠.
23/12/23 21:45
수정 아이콘
제가 알기로는 게임회사들이 법의 허점을 이용해서 가챠겜 운영하는 걸로 알고 있어서요.
초법적 수단의 강력한 제재가 아니면 어렵다고 들었습니다.
23/12/23 21:50
수정 아이콘
저게 바로 초법적 수단의 강력핰 제재죠
23/12/23 21:53
수정 아이콘
네. 그래서 참 시원하기도 하고, 이게 맞나 싶기도 하고... 크크크
김유라
23/12/23 20:35
수정 아이콘
솔직히 제 인생 처음으로 중국 규제를 적극 찬성하고 있습니다.

저 거지같은 모바일게임의 가챠 시스템이 게임 시장의 시스템 전반을 붕괴시키고 있다고 봅니다. 매일 도박질로 수백씩 갖다바치는 사람들 줄서있으니까 비디오게임 QC가 같이 무너지고 있죠. 그걸 게임사가 왜 QC해줘야하냐는 소리를 게임사도 아니고 소비자가 하고 있음...
No.99 AaronJudge
23/12/23 21:02
수정 아이콘
크크크 ㅜ 우리가 소비자인지 유료베타테스터인지
사펑은 진짜 너무했죠
23/12/23 20:36
수정 아이콘
근데 저래도 중국서버만 따르지 글로벌 서버는 가챠 그대로 두는 것 아닐까요?
닉네임을바꾸다
23/12/23 20:38
수정 아이콘
뭐 그럴거같긴 합니다 크크
No.99 AaronJudge
23/12/23 21:03
수정 아이콘
사실 공산당 높은사람들 입장에선
소위 젊은 놈들(?)이 게임에만 빠져있으니 소비도 안하고 연애도 안하고 출산율도 낮고~~~ 이런 생각을 해서 국내 쪽은 때려잡을지 모르겠지만
해외..에서 빨아들이는 돈은 외화벌이..니까요 크크
소와소나무
23/12/23 20:36
수정 아이콘
게임 잘하고 있는 입장인데 판이 흔들리는 상황이라 굉장히 걱정되긴 하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3/12/23 20:37
수정 아이콘
사실 부분유료에 갸차까지 나온건 결국 초창기 온라인게임 월정액으로 도무지 답이 안나온 결과물이였을텐데...
과연 어떤식으로 BM을 만들어낼지...
양현종
23/12/23 20:40
수정 아이콘
지금도 중국 내부에서는 사행성 게임들 판호로 규제하고 있는것 아닌가요?
그래서 중국 모바일 게임들이 우리나라로 진출하는 것 같은데..
23/12/23 20:41
수정 아이콘
이번 붕괴 개편안 보면 류웨이는 공산당 간부라서 미리 알았다는 썰이 있던데 전 이쪽이 신빙성 있어보입니다.
호우기
23/12/23 20:43
수정 아이콘
텐센트도 바로 법안 수용한다고 공지한 것도 보면, 큰 게임사들은 미리 사전 공지 받았던 것 같지요
소와소나무
23/12/23 20:47
수정 아이콘
붕괴도 가챠 허들을 낮춰준거지 저기에 대입하면 다 걸릴껄요? 그냥 신 스토리 진입하면서 요금제를 바꾼거라 봅니다.
23/12/23 20:51
수정 아이콘
붕괴를 안해서 소식만 들었는데 그런가요?
저 법안이 예정대로 통과된다면 다음 해등절 즈음해서 발효된다는데 어떻게 될 지는 그 때 가봐야 알겠네요.
비오는풍경
23/12/23 20: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는 저거 신빙성이 의심되기 시작했습니다
무슨 DLC도 아니고 뭔가 자꾸 추가되는 느낌
Mephisto
23/12/23 20:44
수정 아이콘
신카드는 뽑기 금지가 아니라 전용 뽑기 금지인걸로 아는데요?
과금으로만 뽑을 수 있는 신캐라는걸 막는겁니다.
케이사
23/12/23 20: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니까요. 이거 가챠 완전 금지가 포함된 내용이 아닌데, 돌고 돌아 계속 이야기가 퍼지다보니 가챠 완전 금지까지 이야기가 왜곡되네요 크크
닉네임을바꾸다
23/12/23 20: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갸차로만 내지 말라는건 결국 정가판매같은걸 하란 소린데 사실상 갸차 억제효과이지 않을까 싶긴한데요...흠...
여기에 +로 중복으로 한계돌파같은거 막으면...
케이사
23/12/23 21: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네. 교환권 및 정가 판매를 넣으라는 조항 때문에 확실한 억제효과가 있긴 할겁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챠관련해서 아예 금지를 시키는 게 아닌, "합리적인 설정 내에서 확률을 설정해라" 라는 말로 어중간하게 넘어가는 걸 보면 가챠 시스템을 없애지는 않을 거 같아요. 그리고 게임회사 입장에서는 확정권의 구매가격을 확정권을 살지 가챠권을 살지 고민할 정도로 세게 잡지 않을까.. 라고 생각해봅니다.

가챠로만 얻을 수 있는 중복이나 한계돌파를 막으면... 유저한테 개이득이죠 아싸
닉네임을바꾸다
23/12/23 21: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중복 막으면서 정가판매면 갸차는 없에는거와 다를바 없죠 크크
아니 적극적으로 판매방향을 유도해야겠죠...(무료가차용재화 지급량을 줄이거나식으로...)
Mephisto
23/12/23 21:17
수정 아이콘
그 얘기가 아니라 과금전용 가챠를 따로 만들지 말고 정가로 팔라는겁니다.
기존 인게임 화폐로 신캐를 가챠할 수 있으면 문제가 없다는거죠.
케이사
23/12/23 21:38
수정 아이콘
제가 댓글을 잘못 봐서 잘못된 내용의 답글을 달았던 거 같네요; 죄송합니다.
그런데 과금전용 가챠를 따로 만들지 말라는 말은 처음 듣네요. 지금 논란이 되는 항목이
https://arca.live/b/genshin/94773492
https://gall.dcinside.com/m/gfl2/6895585
이 부분으로 알고 있는데, 과금 가챠 자체를 직접적으로 금지한다고 말하는 부분은 없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23/12/23 21:51
수정 아이콘
과금 전용 가챠를 금지하면 가챠 할 이유가 없어지죠.
합리적인 가격이라는 전제가 있기 때문에, 정가로 장난치는 것도 힘들겁니다.(아마 규제하는 사람 마음이겠죠.)
Mephisto
23/12/23 23:02
수정 아이콘
본문의 번역문만 볼때도 그렇고 아래 해석들도 같이봤을때도 픽업 가챠 불가로 하고 정가로 구입하라는 의미라고 해석했습니다.
기본 가챠에 신캐 추가하는건 놔두고 과금 가챠로만 신캐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건 불가능하고 정가 판매하는건 허용해 준다는걸루요.
즉 신캐로 과다소비를 유도하지 않고 정해진 가격으로 파는건 허용한다는거죠.
블아랑 일본게임에서 주로 보이는 유저들이 인게임 화폐 끌어모아서 원하는 캐릭 나오는 이벤트때 지르는걸 막지말라는 의미라고 생각합니다. 요즘 중국게임들이 그걸 강제로 과금하도록 틀어막는 BM을 해서라고 생각해요.
닉네임을바꾸다
23/12/24 01: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미성년자 금지면 아예 성인 이상으로 만들거 아니면 이중으로 BM 설계하거나 계정정보 기반으로 락걸거나 하느니 갸차빼야할거같은데...흠
츠라빈스카야
23/12/23 20:48
수정 아이콘
2.오너, 법인, 주요 책임자 및 최종 실질 통제자는 외국인, 중국인, 중국인이 될 수 없습니다.
-----
이게 대체 무슨 말인가....
1. 단어 순서대로 대상자를 넣었다기엔 법인은 어차피 실제 인간이 아니고...
2. 법인 건너뛰고 얘기하는거라 오너는 외국인이 안되고 주요 책임자랑 최종 실질 통제자는 중국인이 안된다? 아니 그럼 무조건 소유는 중국인이 하되 책임은 무조건 외국인이 지라는 건가..이것도 말이 안되고...
3. 오너, 법인, 주요 책임자 및 최종 실질 통제자는 외국인, 중국인이 아닌 그 무언가가 되어야한다? (...알파고님 충성충성?)
No.99 AaronJudge
23/12/23 21:04
수정 아이콘
번역기 오류가 아닐까요 크크
23/12/23 20:51
수정 아이콘
되게 괜찮아보이네요 저는
코미카도 켄스케
23/12/23 20:56
수정 아이콘
살다살다 핑핑이 형님 의견에 동조하는 날도 오네요
마음속의빛
23/12/23 21:00
수정 아이콘
갈수록 가챠 시스템이 발전해가는데, 급제동을 걸어주네요.
리니지 같은 게임들이 갈수록 성장하는 와중에 이런 정책은 환영받을만 하네요.
한방에발할라
23/12/23 21:19
수정 아이콘
하지만 정작 리니지는 중국시장 신경쓸 이유가 없어서 영향을 받을 일이 없다는 게....크크
웃음대법관
23/12/23 21:07
수정 아이콘
근데 이 소식(?)자체는 진짜인가요? 이렇게 뭔가 가려운데를 긁는듯한 조항이 추가되는게 수상한데
거믄별
23/12/23 21:10
수정 아이콘
그동안의 가챠 폐해를 생각하면 환영할만한 정책인데... 저걸 중국이 하고 있으니 뭔가 거시기 하단 말이죠
이호철
23/12/23 21:31
수정 아이콘
정가판매가 맞는 것 같아요.
전 뽑기 게임은 절대 안합니다.
사실 구매 외 추가요금 들어가는 게임은 와우 말곤 한 적이 없긴 하지만
반반치킨
23/12/23 21:33
수정 아이콘
잘하고 잘한 선택같습니다.
게임이 도박이되면 안되죠
다레니안
23/12/23 21:38
수정 아이콘
어떻게든 또 방법을 찾을거라고 봅니다. 크크크
그러고보면 중국은 아직도 셧다운제 유지중인데 (미성년자 평일 게임불가, 금토일에는 1시간 가능, 방학기간엔 평일도 1시간 가능) 다들 우회방법 찾아서 잘 하더라구요. 크크크
샤르미에티미
23/12/23 21:38
수정 아이콘
근데 중국식으로 조여도 틈이 보인다는 게 진짜 모바일 카지노의 위엄이네요.
Lord Be Goja
23/12/23 21:42
수정 아이콘
중국의 진짜위엄은 그렇게 살아남아도 죽이고싶으면 하루아침에 또 룰을 뒤집고 죽이려들수도 있는..
톰슨가젤연탄구이
23/12/23 22:00
수정 아이콘
랜덤박스 나오기전처럼
와우같은 월정액 + 정가 코스매틱 + 편의기능 정도로 정직하게 장사해야죠.
김티모
23/12/23 22:03
수정 아이콘
개발사 입장에서는 BM이 완전 다른 두 게임을 서비스해야 하는지라 어느정도 규모가 있는 게 아니면 투트랙으로 가긴 쉽지 않을겁니다.
영세 개발사는 중국시장 아예 포기하거나 할 지도...
23/12/23 22:11
수정 아이콘
근데 나라에서 이걸 강제로 조지려고 각 잡고 있고, 일단 결정되면 끽소리도 못한다는게 참 중국스럽달까요? 황당하긴 하군요 크크..
마르키아르
23/12/23 22:22
수정 아이콘
그런데 카지노 개설할려고 하면 규제하는 것처럼

같은 논리로 위 방식의 가챠금지는 우리나라에선 불가능한 것일려나요.

하다봇해 미성년자가 할수 있는 게임은 가챠금지 하기에 명분도 충분해 보이는데 말이죠
닉네임을바꾸다
23/12/23 22: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18세 이상 게임 빼면 갸차 빼야한단 결론일거라...
미성년자가 할 수 있는 게임이라하면...
전통적으로 도박으로 자주 사용되는 보드게임류(포커나 마작 고스톱 등등)에 미성년자 접근 막는것과 달리...(사실 이거 막아야하나는 나름 논란이 있던가...)
갸차 그 자체는 법률상 도박의 정의에 맞지 않아서...(현금화가 되야...)
마르키아르
23/12/23 22:52
수정 아이콘
사실 불법도박장이나 성인오락실같이 거기서 딴돈 다른곳에서 환전하는 것 때문에 단속하고 규제하지 않나요?^^;;;

그런 기준으로 게임에도 적용하면 될꺼 같은데 말이죠
닉네임을바꾸다
23/12/23 22: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갸차는 그 환전요소가...도박장이나 오락실은 얻은 물건 같은걸 그대로 지속적으로 교환장소에서 일정 비율로 교환이 가능하지만 갸차는 끽해야 계정전체 처분할때 정도이고 개인간거래라 적용이 미묘할겁...(뭐 게임내 재화는 애초에 소유권이 회사...충전한 유료재화빼면...)
23/12/23 23:05
수정 아이콘
겜방 앞에 있는 뽑기를 막지 않는 것처럼 가챠도 안 막을 겁니다.
아마 한도만 설정하면 큰 문제 없을 걸요.
비선광
23/12/23 22:23
수정 아이콘
???: 이제부터 스킬을 1회뽑기 200만원에...
MissNothing
23/12/23 23:31
수정 아이콘
과하다 싶긴한데, 알아서 자제를 했어야지....
티아라멘츠
23/12/24 00:03
수정 아이콘
분리가챠 불가 정도면 뭐.. 모든 가챠에 통언뜬을 적용하는 정도면 그렇게까지 심한 건 아니긴하네요.
대불암용산
23/12/24 00:04
수정 아이콘
저도 찬성. 요새 도 넘은 겜들 많아서 ...
23/12/24 00:09
수정 아이콘
대 진 핑
대청마루
23/12/24 01:00
수정 아이콘
2,6,8,12번을 합쳐 보니까 내수 시장은 철저하게 걸어잠구면서 중국 내부에서 장사하면서 돈빼먹지말고 해외상대로 장사해서 돈벌어와라 소리로 보이네요. 12번이 포인트같아서, 해외유저들 상대로하는 BM은 더 악랄해질수도 있겠는데요. 저대로라면 중국내에선 매출이 확 줄텐데, 애초에 장사꾼들이 자기 손해를 그대로 감당할 리가 없잖아요. 손해보면 어디서 그만큼 더 쥐어짜겠지 싶은...
23/12/24 01:33
수정 아이콘
가챠제도가 소비자의 심리를 흔들어서 이득을 취하는 구조라 가챠금지가 소비자 친화적이긴합니다
마프리프
23/12/24 10:26
수정 아이콘
이게 규제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2763 [유머] 중국집 볶음밥의 퇴화과정.jpg [52] 핑크솔져15770 23/12/28 15770
492712 [유머] [더러움주의] 치팅이 적발된 중국 장기 [29] 김유라14769 23/12/27 14769
492711 [기타] ??: 러시아놈들,몰수한 자동차공장들 설비기술로 전기차 찍는구나 [18] Lord Be Goja14435 23/12/27 14435
492703 [기타] 중국정부의 투자자 위로 정책 [18] Lord Be Goja15627 23/12/27 15627
492616 [텍스트] 중국에도 상륙한 MBTI열풍 [44] 삭제됨12254 23/12/25 12254
492602 [기타] 의외로 불법인 것 [20] 크레토스11845 23/12/25 11845
492546 [기타] 중국이 역사공정을 하는 이유.shorts [21] VictoryFood14265 23/12/24 14265
492544 [기타] 가챠 금지한 벨기에 상황 [43] 크레토스16053 23/12/24 16053
492529 [유머] 중국 도시 이름 10개 말해보세요.jpg [46] 구상만13442 23/12/23 13442
492528 [유머] 지금 난리난 중국 게임규제 최신근황...jpg [84] Myoi Mina 14768 23/12/23 14768
492502 [기타] 이번에도 급발진한 게이머가 나타난.. [14] Lord Be Goja11763 23/12/23 11763
492481 [LOL] 3년째 중국만 특혜받은 MSI [6] Leeka11224 23/12/22 11224
492474 [기타] 역대급할인을 하는 중국의 보조배터리 [6] Lord Be Goja11912 23/12/22 11912
492471 [게임] 오늘자 멸망해버린 중국 모바일게임들.jpg [54] 굿럭감사12177 23/12/22 12177
492416 [LOL] LCK가 2부리그인 이유 [23] Leeka10866 23/12/21 10866
492414 [LOL] 한국 vs 중국 국제대회 Bo5 다전제 상대전적 정리 [16] Leeka9578 23/12/21 9578
492368 [LOL] 젠지가 말한 "영토의 무결성"을 이미지로 보게 되면.jpg [25] 매번같은11815 23/12/21 11815
492282 [기타] 한국인 VS 중국인 토론배틀 [86] 아롱이다롱이12598 23/12/19 12598
492255 [기타] 조선시대 길거리 똥 사진의 진실은 주작일까? [61] 주말15965 23/12/18 15965
492167 [기타] 의외로 중국에서 인기있는 한국 캐릭터 [20] 톰슨가젤연탄구이14973 23/12/17 14973
492079 [유머] 한국인/중국인 출입 금지한 일본 식당 [85] 김유라18610 23/12/15 18610
492048 [기타] 스마트폰과 인스타그램의 발전이 아시아의 재앙이라는 이유 [66] 묻고 더블로 가!16326 23/12/14 16326
492034 [기타] 인터넷방송인이 여행가서 만난 중국인들 [13] 묻고 더블로 가!15442 23/12/14 1544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