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9/06 21:42:18
Name 아케이드
출처 https://www.segye.com/newsView/20230906509761?OutUrl=naver
Subject [기타] 재택근무 일수 한국이 최하위



월간 재택근무 일수가 한국이 최하위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네요

1위는 영국으로 월 평균 6일

2위, 3위는 미국 캐나다로 각각 5.6일, 5.2일 이라고 합니다

중국은 3.2일, 대만은 2.8일, 일본은 2일인데

한국은 1.6일로 최하위였다고 하네요......

.........................

일본보다 낮다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3/09/06 21:44
수정 아이콘
진짜인지 뭔지는 몰라도 한국다운 결과 아닌가 싶기는 하네요
동년배
23/09/06 21:45
수정 아이콘
자세한 자료를 못봐서 그렇지만 제조업 중심국가라 아예 재택이 안되는 산업이 많은것도 이유라고 봅니다
바밥밥바
23/09/06 21:46
수정 아이콘
중국, 대만부터…
데몬헌터
23/09/06 21:46
수정 아이콘
(대충 태풍와도 출근하는 짤)
디쿠아스점안액
23/09/06 21:52
수정 아이콘
저 재택도 아마 코로나 걸린 사람들한테 준 게 대부분일 겁니다...
유리한
23/09/06 22:01
수정 아이콘
주2회 재택 사랑해
아케이드
23/09/06 22:01
수정 아이콘
부럽 ㅠㅠ
Lord Be Goja
23/09/06 22:04
수정 아이콘
저는 주2회 집에서 쉽니다
카마인
23/09/06 22:31
수정 아이콘
(주)Oil 근무하시는군요
23/09/06 22:04
수정 아이콘
풀재택 사랑해.
문문문무
23/09/06 22:07
수정 아이콘
한국이니까
23/09/06 22:15
수정 아이콘
전 주7회 재택 상사부하없는 자율근무네요
하카세
23/09/06 22:16
수정 아이콘
공무원도 재택좀...
라울리스타
23/09/06 22:21
수정 아이콘
제조업 중심이라서 아닐까..라고 말하기엔 중국, 대만이 있네요.

가장 큰 이유는 내 눈에 안 보이면 '관리'가 안된다고 생각하시는 높으신 분들 때문이겠죠..
23/09/06 22:4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봉쇄 기간이 짧앗던 국가일수록 재택근무에 충분한 투자가 이뤄지기 힘들었기 때문에 새로운 근무형태가 자리 잡지 못했다는 것이다.

ITAM 이코노미스트 호세 마리아 바레로는 "아시아의 여러 국가가 봉쇄를 연장하지 않고도 초기에 코로나 유행을 통제하는 데 성공했다"며 "수개월간 집에서 일하며 재택근무에 적응할 만한 경험이 주어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기사에서는 코로나때 봉쇄를 크게 한 나라일수록 재택일이.높은 경향이있다고 합니다

봉쇄되서 아에 밖에 못다니기 때문에 '어떻게든 재택을 해야 해서 도입을 해서 진행을 한 기간이 길수록' 결국 재택이 늘어난거고
한국처럼 봉쇄된 적이 딱히 없는 나라는 재택을 꼭 해야 하는 상황까지 안갔기 때문에 재택 도입이 잘 안된거라는게 기사의 이야기인데
그냥 맞는 방향이 아닌가 싶네요.

대표적인 빅테크 기업들이 모여있는 미국만 해도 이미 테슬라, 애플은 재택 사실상 접고 있고
아마존, 구글도 재택 계속 줄이고 있습니다...
23/09/06 22:42
수정 아이콘
설득력있네요
키오스크도 코로나때 울며겨자먹기로 설치했다가 어 이거 좋은데? 라면서 유행했다고 했으니
이민들레
23/09/06 23:58
수정 아이콘
샌프란시스코에 재택이 42프로인가 그렇다던데.. 재택안시켜주면 개발자들이 이직해버린다고..
23/09/07 00:26
수정 아이콘
테슬라, 애플, 아마존, 구글이 줄이는게 '그럼 정말 나가라' 라고 하고 있는 상태라서......

줄이는거 감당 못할거면 나가라. 선언했습니다

테슬라, 애플은 먼저 선언했고..
(테슬라랑 애플은 어느정도는 제조업의 결을 같이 가지고 있는 회사라 먼저 진행)

최근에 아마존/구글도 못받아들이면 나가라.. 스텐스로 바꿨어요.
아프락사스
23/09/07 12:32
수정 아이콘
여전히 미국의 IT와 금융업 전반은 재택입니다. 최소한 하이브리드고요. 구글이 재택을 줄여봤자 주n회 출근정도지 지금 북미는 재택가능한 직종은 주1회이상 재택이 기본입니다. 재택을 접을수는없습니다. 그런 흐름이 아닙니다.
지니팅커벨여행
23/09/06 22:46
수정 아이콘
아직도 재택근무가 하루 넘게 있다고요??
23/09/06 23:03
수정 아이콘
저도그게놀라움크크
23/09/06 22:59
수정 아이콘
일본은 교통비 문제도 있고 사내 복지 올리는데 힘을 쏟는지라 어느 정도는 유지되는 듯하네요.
23/09/06 23:08
수정 아이콘
재택근무가 불가능한 직업이라..크
23/09/06 23:09
수정 아이콘
코로나 때문에 강제로 재택근무 해봤는데 일하는건 사무실에서 하는게 더 좋았습니다
아카데미
23/09/06 23:17
수정 아이콘
제가 일하는 곳은 사실 재택근무가 휴가나 마찬가지라 그 전날 급한거는 다 끝내놓고 좋았는데ㅠ
앓아누워
23/09/06 23:22
수정 아이콘
출산0.7, 재택1.6, 연간근로 1915시간! 아아 그것은 킹한민국
진짜 진지하게 출산율, 수도권 인구 과밀 잡으려면 가장 먼저 해야할게 재택 의무화라고 생각합니다.
마텐자이트
23/09/06 23:29
수정 아이콘
일본도 버리고 있는 일본식 기업문화를 지금까지도 신봉하고 있는게 한국 기업이라서 이건 진짜 답이 없습니다. 코로나 한창 심할때도, 끝까지 재택안하고 버티던 기업들도 많았습니다.
우리 기업들이 신봉하는 군대식 서열문화, 톱다운식 명령하달된대로 까라면 까식의 기업문화가 언제까지 유지될까요. 이러한 문화때문에 MZ세대들이 낡은 기업문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퇴사율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죠.
초현실
23/09/06 23:30
수정 아이콘
관리자들은 논다 라고 생각하죠 ㅠ
23/09/06 23:42
수정 아이콘
덤으로 한국의 탑 대기업들은 비율로 따지면

삼전 / 현기차 같은 한국 최정상 기업과
한국에서 고용인구 비율은 겁나 높은 롯데 / 쿠팡같은 대기업은 일부 인원 제외하면 출근이 필수.. 라서
+
한국이 자영업 비율이 엄청나게 높은데 자영업도 대부분 다 출근 필수라......


재택을 할 수 있는곳들이 재택을 안하고 있어서 수치가 낮기도 하지만
한국에 정점에 있는 기업들은 대부분 재택을 못하는 기업들이라는 점때문에 안퍼지는 것도 있습니다

보통은 핫한 기업이 하면 그게 퍼지는 경우가 많아서..
태엽감는새
23/09/06 23:43
수정 아이콘
아침에 운전해보면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갔습시다
종말메이커
23/09/06 23:51
수정 아이콘
재택을 하면서 능률을 뽑아낼 관리능력이 있는 회사가 없어요
그런 관리 없이 노동자가 재택하면서 알아서 내근만큼의 효율을 내지는 못한다는건 노동자 본인이 더 잘 알고요
사실상 지금 재택은 근무의 의미라기보다는 주4일제로 가기 전 과도기적 복지제도 수준으로 봐야죠
23/09/06 23:57
수정 아이콘
사실 한국 직장인들 집이든 카페든 도서관이든 일 가져가서 많이들 하죠. 공식 시간엔 안 잡히는 '추가 근무'로...
23/09/07 02:36
수정 아이콘
쟈탹 부럽네요 능력도 없어서 재택못하는 직군이라 ㅠㅠ
아구스티너헬
23/09/07 02:56
수정 아이콘
코로나부터 지금까지 년 평균 10일정도 회사에서 근무합니다
특이점이 온다
23/09/07 08:53
수정 아이콘
능력자 시군요.
손꾸랔
23/09/07 04:44
수정 아이콘
재택여가 일수는 최상위일 듯한디
유일여신모모
23/09/07 06:45
수정 아이콘
아파서 연차 사용하고 집에서 휴식...
하지만 현실은 재택근무...
미카엘
23/09/07 07:40
수정 아이콘
재택근무가 1.6일이나 된다는 게 놀랍네요. 0인 직종이라..
뜨거운눈물
23/09/07 08:11
수정 아이콘
지금 시즌에도 재택하시는분들은 .. 햐
시무룩
23/09/07 08:35
수정 아이콘
방산이라 재택이 불가능합니다 ㅠㅠ
23/09/07 08:36
수정 아이콘
주2회 재택으로 줄어서 세상 무너지는줄 알았는데
이젠 이것도 너무 소중합니다..
23/09/07 08:59
수정 아이콘
대기업인데 저희 팀은 재택쓰지말라네요 크크
MissNothing
23/09/07 09:01
수정 아이콘
일본이 생각보다 생각이 굳었는데, 바뀌면 그냥 확 바뀝니다;
처음엔 신용카드도 잘 안쓰고 온니 현금이였는데, 갑자기 qr코드 결제 도입되더니 지갑도 안들고 다녀도 될정도고
자택도, 코로나 첫 1년동안은 죽어도 자택 안시키다가 갑자기 자택 시작하니까 바로 풀 자택하고, 코로나 끝나고도 딱히 뭐 출근할 필요 있나라는 높으신분들이 많습니다.
달빛기사
23/09/07 09:38
수정 아이콘
기준을 재택이 가능한 직군이라야 신뢰성이 있지..
23/09/07 09:59
수정 아이콘
코로나 아직 한창이던 21~22년 일본계에 있었는데, 일본 본사 애들 재택 근무 잘되었습니다.
물론 규정이나 규칙, 제출해야될것들 빡빡해보이기는 했는데 그래도 한번 정하고 나니 재택 근무 제도 자체는 잘 유지되더군요.

제도만 만들고 반짝하다가 상사 눈치보느라 유명무실해지는 한국지사와는 다르게ㅠㅠ
23/09/07 10:29
수정 아이콘
재택근무가 내근보다 무슨 장점이 있는지 노동자 입장에서도 잘 모르겠습니다. 집에서 일한다는것 자체가 싫은데 일 효율도 안나옴
걍 일하기 싫은것뿐인거같은데 그건 또 아닌가 싶기도하고...
아케이드
23/09/07 10:51
수정 아이콘
출퇴근 시간 절약 되고 그래서 도심에서 먼 근교에 살아도 부담이 덜하죠
23/09/07 10:53
수정 아이콘
업무적인 장점은 없는거네요
아케이드
23/09/07 11:10
수정 아이콘
솔직히 없죠 복지차원이지
알빠노
23/09/07 11:03
수정 아이콘
효율 문제도 있고, 재택근무가 가장 용이한 직업군인 개발자조차도 다크앤다커 사태로 폭탄 떨어져서
당분간 한국에서 재택문화 확대는 어렵지 싶습니다
23/09/07 12:01
수정 아이콘
일본도 조금 괜찮은회사는 재택근무 안하면 사람 못뽑아요 풀 재택이냐...주x회 재택이냐의 차이 정도일려나
회사 입장에서는 사무실 비용 줄이고, 교통비 안주고, 야근수당 안주는걸로 이득이라고 생각하는듯 합니다.
(좋은 회사는 재택수당, 야근수당 다 챙겨 주기도 합니다)
업무 효율이 안좋지만, 성과주의 도입하고 목표 주면 어찌됐건 사람들이 다 해내긴 하거든요
회사 입장에서는 안 할 이유가 없죠
유유할때유
23/09/07 16:33
수정 아이콘
사실 재택하면 설렁설렁 일하긴 하죠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6673 [기타] 일본인이 그린 한국 교도소 만화.jpg [18] 톰슨가젤연탄구이13657 23/09/13 13657
486602 [기타] 일본에서도 거른다는 것 [41] 마스터충달14509 23/09/11 14509
486556 [기타] 현재 절체절명의 위기라는 OTT 업체 [59] 우주전쟁12566 23/09/11 12566
486534 [기타] 일본에서 있었던 일들 [13] 퍼블레인10201 23/09/10 10201
486474 [기타] 일본여자가 느낀 한국녀와 일본녀 차이 [61] 묻고 더블로 가!13328 23/09/09 13328
486345 [기타] 특이점이 온 문구회사 "한국 파이롯트" [36] Croove12745 23/09/07 12745
486337 [기타] 결혼을 준비중인 일본여성들이 정의한 "보통의 남성" 논란 [98] 아롱이다롱이15223 23/09/07 15223
486312 [기타] 재택근무 일수 한국이 최하위 [52] 아케이드13098 23/09/06 13098
486106 [기타] 요즘 일본에서 김밥 먹는 법 [34] Aqours11467 23/09/03 11467
486097 [기타] 일본 왕실 경호부서가 교통통제하는 방법 [34] 우주전쟁11929 23/09/03 11929
486083 [기타] 일본에서 가장 매운 면에 도전하는 한국인들 [35] 톰슨가젤연탄구이11403 23/09/02 11403
486045 [기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생각했던 세계... [9] 우주전쟁9508 23/09/01 9508
485962 [기타] 일본어를 알아듣지 못해 답답해하는 일본인들 [27] 묻고 더블로 가!11260 23/08/31 11260
485625 [기타] 월급날 나라별 와이프 반응 [13] 아롱이다롱이12955 23/08/25 12955
485594 [기타] AI로 광고한다는 일본 소개팅 어플 [3] 묻고 더블로 가!10434 23/08/25 10434
485577 [기타] 90세 이상 60미터 세계기록 보유자 [37] 우주전쟁12591 23/08/24 12591
485541 [기타] 곽튜브가 말하는 한류의 현실 [39] 아롱이다롱이15081 23/08/23 15081
485193 [기타] 일본의 초보 운전 스티커 [42] 쎌라비10145 23/08/18 10145
485154 [기타] 걷잡을수 없이 커지고 있다는 성추행사건 [30] 아롱이다롱이14559 23/08/18 14559
485080 [기타] 폴란드 군퍼레이드에 나온 FA-50 / K2 전차 / K9 자주포 [14] 아롱이다롱이6904 23/08/16 6904
485034 [기타] 의외로 원폭 투하에 후회했던 트루먼.jpg [41] 된장까스17866 23/08/15 17866
485002 [기타] 의외로 광복절 당일날 찍은 사진 [9] 졸업12755 23/08/15 12755
484760 [기타] 일본사회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는 미성년자 성매매 실태 [57] 아롱이다롱이13691 23/08/11 136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