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5/10 15:50:35
Name 삭제됨
출처 실시간 베스트 갤러리
Subject [유머] 인터넷에서 논쟁할 때 서로 말이 안 통하는 이유에 대한 이론적 설명.jpg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5/10 15:57
수정 아이콘
그리고 시간만수르인 자가 막플을 달면서 대충 자기가 이긴걸로 간주한다
카사네
23/05/10 15:59
수정 아이콘
이거리얼
23/05/10 16:03
수정 아이콘
진리네요
다시마두장
23/05/10 16:0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거죠. 결국 마지막으로 한마디 더 한 사람이 정신승리하는 구조라 시간 남아도는 청춘은 이길 수가 없더라구요.
요즘은 키배꺼리 될만한 데 마다 찾아다니면서 장문 댓글 다는 사람들 보면 눈살이 찌푸려지는 동시에 시간 많던 20대 시절이 그리워지기도 합니다 크크.
레드불
23/05/10 16:14
수정 아이콘
한 글에서 세명쯤 상대하며 막플 집착하는 광경은 좀 대단하더라고요
내년엔아마독수리
23/05/10 15:59
수정 아이콘
논리 따위 장식이란 말입니다. 사람들은 그걸 몰라요.
미카엘
23/05/10 16:01
수정 아이콘
논리는 역겨움을 포장하는 수단!
ioi(아이오아이)
23/05/10 16:01
수정 아이콘
인터넷 논쟁은 그냥 논쟁을 하고 싶은 애들이 있어서
뭐야 싸움이야 나도 끼지 라고 달려드는 애들이 있음
23/05/10 16:05
수정 아이콘
저기에 더해서 용어에 대한 정의가 서로 달라서 싸우는 경우도 많더라고요.
No.99 AaronJudge
23/05/10 17:24
수정 아이콘
진짜 동의합니다
23/05/10 23:31
수정 아이콘
자기만 쓰더라도 밖에서는 보편적 용어를 들고나와야 하는데 그런의도로 안썼다고 강하게 주장..
자리끼
23/05/10 16:09
수정 아이콘
나이드니깐 내가졌다(피한다)란 선택지가 생기더군요.
23/05/10 16:09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설명이 확 와닿네요
다레니안
23/05/10 16:12
수정 아이콘
그리고 설령 여기서 내가 논리적으로 완벽하게 박살내버렸다 한들, 그 사람은 다른 글 가서 똑같은 짓을 또 합니다.
물론 눈팅을 통해 정보를 얻는 사람들에게 옳은 정보를 주었다는 의미가 남지만.... 이게 하다보면 참 부질없다는걸 알게되서 안하게 되더라구요. 크크
이민들레
23/05/10 16:20
수정 아이콘
재밌게 읽은 책이네요. 특히 한쪽 정치진영에 서서 반대편이 때려죽일만큼 싫은 사람들에에 추천힙니다.
그럴수도있어
23/05/10 16:20
수정 아이콘
논리 싸움으로 포장을 하지만 사실상 그 근원에는 감정싸움인 경우가 다반사죠 크크크
파인애플
23/05/10 16:21
수정 아이콘
책 재밌어 보이네요 크크 주문 했습니다
인생을살아주세요
23/05/10 16:21
수정 아이콘
언제부터인가 '반박시 님 말이 맞습니다' 가 많이 보이더라고요.
도롱롱롱롱롱이
23/05/10 16:26
수정 아이콘
많은 경우가 결국 시간 투자 하면 반박 자료(주관적인 객관적 자료) 퍼오는 건 일도 아닌지라. 승리는 마음속에 있는 겁니다!
메가트롤
23/05/10 16:28
수정 아이콘
물론, 내가 옳지만
문문문무
23/05/10 16: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반적으로 너무 TMI라서 왤케 혓바닥이 길어? 싶지만서도
사람마다 동의는하지만 우선순위는 다른 6가지의 보편적가치는 한눈에 딱 들어와서 좋네요
기억해놔야지~~

배려/피해
공평/부정
충성/배신
권위/전복
고귀/추함
자유/압제

그렇죠 키배인생 십수년간을 돌이켜봤을때
논쟁의 99%는 저것들의 우선순위와 선호하는 정도의 차이때문에 의견차가 나는것이더라고요
진짜로 상호간의 지식결여, 정보결여를 채워주는 건설적인대화는 1%남짓이었음

스스로를 돌이켜봤을때 자유&배려-공평&충성-고귀&권위 순으로 가치관이 매겨지는군요
이거 어쩌면 MBTI마냥 논쟁에서 서로의 논쟁의 요지를 파악할때 매우 유용한 툴로 쓰일수도 있겠는데요?
No.99 AaronJudge
23/05/10 17:25
수정 아이콘
저는 배려&고귀-공평&자유&권위-충성 쪽으로 크크크
군대가면 적응 잘 할런지…
문문문무
23/05/10 17:56
수정 아이콘
군대야 뭐 휴대폰 풀린뒤로는 빠르게 병계급간 평등?화가 되고있다고 듣긴했어서요
그렇게까지 크게 걱정안하셔도될듯합니다. 완전 창렬인 알바하러왔다 생각하면될듯
실제상황입니다
23/05/10 16:37
수정 아이콘
근데 그런 직관주의자로 남는 것보다는 (물론 잘 되지는 않겠지만) 서로 키배라도 뜨면서 추론의 과정을 거치는 게 낫지 않나 싶기도 하고요. 배틀 안 하고 그냥 댓글 하나만 쓰고 가는 사람들 중에서도 자기 역겨움을 당당하게 드러내시는 분들이 참 많죠. 도덕이라 안 하고 그냥 호오라고만 그러면 뭐 틀린 말은 아니기도 하고요. 잘못됐다는 게 아니라 그냥 내가 싫은 거다 어쩌라고 라는 식. 역으로 상대의 불호를 도덕적으로 해석해서 잘못됐다며 역겨워하는 분들도 많고요. 불호를 드러내는 정도나 불호의 구체적인 대상에 따라 달라지긴 하겠습니다만.
문문문무
23/05/10 16:44
수정 아이콘
그런면에서 본문글에 나온 6가지 보편도덕 개념이 굉장히 깔끔하게 잘 정리된것같습니다.
이건 제가 따로 머리속에 외워놔야할것같아요 불필요한 소모적 논쟁을 최소화하는데 크게 도움이될듯?
코인언제올라요?
23/05/10 16:39
수정 아이콘
현상을 이론으로 만드는 건 언제나 대단한듯요 크크
문문문무
23/05/10 16:43
수정 아이콘
22222
23/05/10 17:00
수정 아이콘
논문급으로 댓글쓰는게 아닌다음에야 말꼬리 잡을 부분은 있을수밖에 없고, 이야기 하다보면 같이 이야기 해야할 부분이 한도 끝도 없죠.
대부분의 주제는 결국 시간이 많은 사람이 이기는것뿐...
무한도전의삶
23/05/10 17:00
수정 아이콘
코끼리와 기수
바보왕
23/05/10 17:45
수정 아이콘
한마디로 역겨워하는 내가 사실은 뭣도 아닐 수 있다는 생각을 한쪽이라도 해야 키배가 줄어든다는 거죠. 그게 내가 아니어야 된단 법도 없고요.
23/05/10 23:35
수정 아이콘
이제 그게 진화해서 내가 역겨운데 어쩔거냐하는
막가파 댓글러로...
실제상황입니다
23/05/11 10:49
수정 아이콘
뭐 그런 막가파식 댓글이야 피지알에도 널리고 널린 게 현실이죠...
라이엇
23/05/10 17:46
수정 아이콘
다름에 대한 거부감을 가지는건 본능이군요. 그래야 생존확률이 올랐을테니.
비뢰신
23/05/10 17:56
수정 아이콘
우정머 , Gunners , 천혜향
이 세분은 진짜 재밌으셔서 좀 더 열심히 활동해 주셨으면...
행운아
23/05/10 18:04
수정 아이콘
반박시 님말맞음
23/05/10 18:10
수정 아이콘
조너선 화이트의 바른마음 초반부가 꽤 지루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도 본문 내용 나오고부턴 꽤 볼만해요
그 닉네임
23/05/10 18:13
수정 아이콘
바른마음 저도 재밌게 읽은 기억이 나네요.
제가 자유주의자가 된 결정적 계기였습니다.
Jedi Woon
23/05/10 18:21
수정 아이콘
책 사서 한 번 읽어 봐야겠네요
승승장구
23/05/10 18:25
수정 아이콘
이 글에서 예시로 배틀한번 벌어지면 완벽한데
나는모른다
23/05/10 19:11
수정 아이콘
글 진짜 좋네요
메가톤맨
23/05/10 19:15
수정 아이콘
다른건 모르겠고...계속 우긴다는게 문제...
23/05/10 21:55
수정 아이콘
인터넷에서 토론을 해도 얻는게 없죠
애플프리터
23/05/10 23:12
수정 아이콘
맷집이 늡니다. + 반대편 입장에 서도 이젠 웬만한 키배가 가능해집니다.
차라리꽉눌러붙을
23/05/10 23:27
수정 아이콘
이기려고 [제대로] 노력하면
생각보다 자기 성찰도 되고 논리적 사고도 키워지고 패배에 대한 인정도 가끔 되고, 다른 관점에 대한 이해도 됩니다..마는...

들이는 시간 대비 효율은 별로 좋은 것 같지는 않은...
23/05/10 23:35
수정 아이콘
새로운 지식이 늡니다 크크크
23/05/11 04:41
수정 아이콘
앗...아아
차라리꽉눌러붙을
23/05/10 23:25
수정 아이콘
이런 경우도 있지만 아예 기본적인 논리적 오류로 무장하고 우기는 사람들 때문에 대화가 안되는 경우도 많죠...ㅠㅜ
The)UnderTaker
23/05/10 23: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인터넷에서 정상인들끼리 논쟁일어나면 서로의 가치관이 다르다 하더라도 장문의 댓글로 의미있는 의견교환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말꼬리잡고 트집잡고 끝까지 우기면서 막플 집착하는 유저의 대부분은 합의가 이루어진 사회적, 도덕적 관념과도 동떨어져있는 사람들인 경우가 대부분이죠. 이런사람들 잘 살펴보면 모든이슈에 나타나서 공감하기엔 힘든 댓글들을 주로 달죠. 하지만 그게 인터넷에 주로 모여있는 경우가 많다보니 현실에선 사람들끼리 합의가 이루어진 관념이라 하더라도 인터넷에선 동떨어진 관념들이 오히려 대세인것처럼 착각하게 되는 경우도 꽤 있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9390 [기타] 한글의 위대함.jpg [62] 꿀깅이16761 23/05/14 16761
479389 [기타] 생선구이 계급도... [90] 우주전쟁14486 23/05/14 14486
479388 [기타] 게이 테스트.gif [19] 꿀깅이12901 23/05/14 12901
479387 [유머] 개념없는 좌회전 운전자의 최후.gif [10] Myoi Mina 16086 23/05/14 16086
479385 [유머] 오늘은 로즈데이입니다 [9] 메롱약오르징까꿍10878 23/05/14 10878
479384 [기타] (데이터,로딩) 호불호 갈리는 4K 바탕화면 [13] 묻고 더블로 가!9257 23/05/14 9257
479383 [기타] 공중 화장실을 깨끗이 써야겠습니다 [6] 똥진국12676 23/05/14 12676
479382 [LOL] 어제자 2세트 '그 바론' 외국해설(Feat. 캐드럴) [15] aDayInTheLife10305 23/05/14 10305
479381 [유머] "사랑해" 보다 좋은 소리 [9] 카미트리아12280 23/05/14 12280
479380 [기타] 성심당 근황.jpg [9] insane12584 23/05/14 12584
479379 [서브컬쳐] 피부색으로 편갈라 싸우면 안되는 이유 [17] 인간흑인대머리남캐13132 23/05/14 13132
479377 [기타] 뭔가 투철해보이는 업무방식 [2] 닉넴길이제한8자10465 23/05/14 10465
479376 [텍스트] 아침에 에버랜드 가겠다고 하남에서부터 걸어왔다는 중학생 2명 [29] 졸업17459 23/05/14 17459
479375 [기타] 세계 1등도 입학하기 어렵다는 서울대 [79] 꿀깅이18497 23/05/14 18497
479374 [동물&귀욤] 안내견과 함께하는 시각장애인 뉴스앵커의 출퇴근길.ytb [6] VictoryFood10491 23/05/14 10491
479373 [게임] 유의미한 뷰어쉽 증가를 보인 오버워치 리그 [4] 만찐두빵8925 23/05/14 8925
479372 [기타] 부부 싸움 후 홧김에... 충격 [11] 졸업15380 23/05/14 15380
479371 [기타] 손님들을 위한 센스 [23] 껌정12641 23/05/14 12641
479370 [기타] 2023년 변호사 시험 로스쿨별 합격률... [38] 우주전쟁12708 23/05/14 12708
479369 [동물&귀욤] Hello라고 말하는 보더콜리 [6] 흰긴수염돌고래9637 23/05/14 9637
479368 [유머] 게섯거라 흑레오파트라, 토종 방송이 간다 [10] 길갈11515 23/05/14 11515
479367 [LOL] 조용히 롤 MSI 스폰중인 초거대 IT 기업 [19] SAS Tony Parker 10858 23/05/14 10858
479366 [유머] [농담 아님] 가장 완벽한 생물, 진화의 종착점 그 자체.jpg [39] 삭제됨15553 23/05/14 1555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