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5/09 14:50:01
Name Leeka
File #1 2dvpjDofqgiikIMMy0KUOa.png (671.8 KB), Download : 57
File #2 6g0zgzfuNyuYcmqMUiqmEI.png (818.4 KB), Download : 41
출처 국세청
Subject [유머] 직장인의 5%는 연봉 1억이상, 10%는 연봉 8천만원 이상






2021년 국세청 연말정산 자료 기준.


'직장인'(근로자) 기준이기 때문에

연예인, 스포츠선수, 회사 임원들, 전업 투자자, 개업 의사, 변호사..  같은 사람들은 다 뺀. 순수 직장인 기준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양지원
23/05/09 14:52
수정 아이콘
ㅠㅠ
묻고 더블로 가!
23/05/09 14:56
수정 아이콘
그래 니들 잘났다 흥ㅠ
23/05/09 14:58
수정 아이콘
켜뮤니티 평균연봉..
우유크림빵
23/05/09 15:00
수정 아이콘
나만 빼고 전부 부자...
개발괴발
23/05/09 15:00
수정 아이콘
커뮤니티 직장인은 대부분 5% 안쪽인거군요 대다내...
RapidSilver
23/05/09 15:00
수정 아이콘
박사과정하고 정출연 들어가도 초봉으로는 10퍼센트 안에 들기 힘드네요 허....
ModernTimes
23/05/09 15:01
수정 아이콘
10년 있어도 연봉만으로는 힘들죠.
23/05/09 15:27
수정 아이콘
박사 후 10년 지났는데 안됩니다 ㅠㅠ
세크리
23/05/09 15:34
수정 아이콘
사기업 가심 됩니다... 정출연은 명예없는 명예직...
미나리돌돌
23/05/09 15:39
수정 아이콘
보통은 정출연이 돈 덜받고 사기업보다 워라밸이 더 낫습니다. 자기개발하기도 더 낫고...
식물영양제
23/05/09 17:45
수정 아이콘
교수님들도 ist 빼고는 안될걸요. 10년째 연봉이 거의 동결이라고들 하던데.
산밑의왕
23/05/09 15:01
수정 아이콘
근로자수가 생각보다 많네요. 전 한 천만되는줄 크크
하카세
23/05/09 15:01
수정 아이콘
3천이하가 50퍼네요..
23/05/09 15:05
수정 아이콘
최저임금 미만은 사실 평소에 직장인 카테고리로 묶어서 생각하진 않으니..체감은 더 높아야될듯.
건설안전기사
23/05/09 15:05
수정 아이콘
전....연봉인상 2%됐는데..
Janzisuka
23/05/09 15:06
수정 아이콘
연봉 1억 가까이 찍는데 15년넘게 빡셌는데...훌쩍들 넘는구나 ㅠ
인생은서른부터
23/05/09 15:09
수정 아이콘
연봉이 계약서상 세전 금액 플러스 성과금까지 포함인가요??
23/05/09 15:10
수정 아이콘
네 이런 자료는 모두 원천징수 기준으로 보시면 됩니다. 세후는 각자 사정이 달라서 비교가 안 되니까요.
이혜리
23/05/09 15:16
수정 아이콘
그냥 세전으로 일년 동안 받는 총 금액입니다,
연말 정산할 때, 총급여.
상여, 인정상여에 해당하는 복지포인트 등등 다 포함 시킨 금액이요,
미카미유아
23/05/09 15:10
수정 아이콘
보통 원천 기준일듯
TWICE NC
23/05/09 15:14
수정 아이콘
2천만원 이하는 신입/퇴직자들의 1년치가 안되는 분들이 절반은 차지할겁니다
글로벌비즈니스센
23/05/09 15:16
수정 아이콘
작년이야 다들 PS로 신날 때라서... 올해는 비율이 확 줄겠죠.
바람기억
23/05/09 15:16
수정 아이콘
제일 객관적인 자료네요
불독맨션
23/05/09 15:18
수정 아이콘
6~8천만원이 제일 많을거라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상위권이네요.
완전연소
23/05/09 15:21
수정 아이콘
개업 변호사?도 대부분은 별산 법인이라 급여소득자로 분류되는 사람들도 많을겁니다.
저도 개업변호사이지만 원천징수를 당하는 급여소득자로 매달매달 원천징수를 당하거든요.
진짜 세금 어마무시무시 합니다.
23/05/09 15:22
수정 아이콘
월 250 정도가 중위인건가... 직장인만 포함이라 사업자들이나 프리랜서 등등 합치며 더 올라가겠네요. 아 알바들 추가되면 더 낮아지려나...
EurobeatMIX
23/05/09 15:26
수정 아이콘
커뮤니티 평균연봉 7천~1억 끌끌...
23/05/09 15:46
수정 아이콘
그런 사람만 말하니까요
커뮤니티 평균신장 180인거랑 마찬가지죠

그나마 신장은 타고나는 것과 환경의 영향이 강해서 그 정도인데,

보통 노력의 산물이라고 '여겨지는' 연봉은
저 2800 법니다 하기 더 부끄럽죠
미나리돌돌
23/05/09 15:32
수정 아이콘
연봉1억 넘는데 부모님 도움없이 외벌이로 서울에서 부부 두 식구 건사하기도 녹녹치는 않네요. 맞벌이가 아니면 살기힘든 나라라는 생각이 듭니다.
23/05/09 15:50
수정 아이콘
1억이라하셔도 실수령 6-700 사이니까

연봉 4천 초중반 두 명 맞벌이 하는것과 비슷한거죠

그래도 애 가지시면 맞벌이하는 부부보단 좀 수월하실듯요. (양가 지원 없어도) 부럽습니다
23/05/09 16:02
수정 아이콘
저도 부럽네요. 맞벌이 아이 둘이다보니 일하고 와서도 집안일과 육아하면 10시쯤 유투브 한두편보다 잡니다.
23/05/09 16:13
수정 아이콘
애가 없으신데 힘드신가요?
개발괴발
23/05/09 17:42
수정 아이콘
애 없어도 "서울" 이면 월세나 대출 몇억 내고 하면 한달 비용이 비싸죠
경기도 가면 되는거 아니냐 하지만 각자 직주근접지나 동선이 다르니까...
23/05/09 18:50
수정 아이콘
월 600으로 육아나 교육비용 없이 빡빡하면 뭔가 다른 돌파구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
미나리돌돌
23/05/09 18:02
수정 아이콘
죽네 사네 하는 정도는 아니지만 결혼전후 양가 지원이 전무했고 그 후에 취직한 케이스라 돈 모을 기회도 없었고 전세자금대출 이율은 많이 올랐고 등등등 여러 이유로 빡빡합니다.
23/05/09 18:48
수정 아이콘
고민이 많으시겠네요;

아이 생각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미나리돌돌
23/05/09 19:01
수정 아이콘
와이프가 원하는대로...
23/05/09 15:38
수정 아이콘
저도 와이프도 각각 10% 안에는 들어가는 것 같은데도 삶이 별로 풍족하다 생각이 안 드는 것 보면, 역시 소득 보다는 자산이 답이다 라는 결론이 내려지네요.
23/05/09 15:39
수정 아이콘
인생의 목표가 최소한의 노력으로 상위 00% 인데 쉽지가 않네요...
아슬아슬 하다
모리건 앤슬랜드
23/05/09 15:53
수정 아이콘
1억이여도 실수령 650찍히는데 빡빡하죠
23/05/09 15:54
수정 아이콘
연봉글엔 댓글 달기 쉽지 않아요 높으면 기만같고 낮으면 비루하고
wish buRn
23/05/09 15:58
수정 아이콘
연봉2억이라면 자영업포함해선 몇%일까요. 2.5%는 될라나
바람돌돌이
23/05/09 16:06
수정 아이콘
보통 자영업자가 들어가면 평균소득은 근로소득자보다 줄어듭니다. 자영업자 중 고소득자가 있는거지, 자영업자중 고속득자 비율은 근로소득자보다 훨씬 작습니다.
덴드로븀
23/05/09 16:19
수정 아이콘
통계상으론 하위가 처참해서 그렇지 1억이상 고소득 비율은 높네요.

다른 기사를 찾아보니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자영업자는 526여 만명으로 2019년 대비 약 0.9% 감소했다.

자영업자수는 500만명 수준
덴드로븀
23/05/09 16:14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495947?sid=101
[고금리속 부담느는 자영업자…소득은 평균이하·부채는 평균이상 늘어] 2022.12.02.
2일 통계청의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자영업자의 연간 가구소득
1000만원 미만 1.1%
1000만~3000만원 미만 18.3%
3000만~5000만원 미만 24.7%
5000만~7000만원 미만 19.4%
7000만~1억원 미만 18.6%
[1억원 이상 18%]
바람돌돌이
23/05/09 16:41
수정 아이콘
같은자료에서 상용근로자의 1억 이상비율은 27.5%입니다. 가구주를 기준으로 가구소득으로 잡은거라서 개인소득보다 많이 크죠.
23/05/09 17:31
수정 아이콘
가구소득이고 아마 가족구성원 갈아가면서 하는걸거라 1인 근로소득과 비교하기는 어렵겠다 싶네요.
23/05/09 16:01
수정 아이콘
이런 통계에 공무원도 포함되나요? 공무원은 근로자가 아니라고 했던거 같아서 궁금하네요
덴드로븀
23/05/09 16:07
수정 아이콘
국세청 + 연말정산 기준이면 공무원도 포함일겁니다.
23/05/09 16:05
수정 아이콘
국세청 연말정산 자료니까 근로소득이 있는 사람이면 다 포함되었을 겁니다. 회사 대표이사, 임원 등도 기본적으로 근로소득을 받지요. 1인 기업도 기업 형태가 법인이면 본인의 소득은 근로소득으로 받습니다.
큐브큐브
23/05/09 16:18
수정 아이콘
임원도 근로자에 포함되지 않나요?
사비알론소
23/05/09 16:37
수정 아이콘
포함되는게 맞습니다 근로소득으로 잡히지만 계약직일 뿐
23/05/09 16:45
수정 아이콘
근기법이나 노동법에 사용자라고 나오는 대표이사 또한 근로소득자 이죠.
근로자로 분류가 안될 뿐이구요.
MissNothing
23/05/09 21:09
수정 아이콘
이런건 계단식으로 늘어나야 정상일 것 같은데 5천~6천 비율이 기형적일정도로 적네요;
CapitalismHO
23/05/10 07:54
수정 아이콘
5천~6천까지는 1000만원 단위로 구간을 체크했는데, 그 다음부터 2000만원, 1억단위라 그렇게 보이는것 같습니다.
안전마진
23/05/10 09:51
수정 아이콘
저 소득이 생애 내내 유지되는게 아니라 잘 가야봐야 50대 중반에 내려오는거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9213 [유머] 이야아... 스크트 요금 인하각 떳다잉~? [14] 11487 23/05/10 11487
479211 [기타] 오히려 좋아?... [24] 우주전쟁13992 23/05/10 13992
479210 [유머] 김치찌개는 역시 참치 김치찌개 [24] 흰긴수염돌고래10333 23/05/10 10333
479209 [기타] ps+ 컬렉션을 없애버린 모습 [1] 닉넴길이제한8자7954 23/05/10 7954
479208 [LOL] 1세트 LEC 반응 [14] 카루오스9521 23/05/10 9521
479207 [LOL] 결승전의 T1 결승 전의 T1 [30] 껌정11141 23/05/10 11141
479206 [기타] 로봇청소기가 고양이를 인식한다 [20] 졸업11110 23/05/10 11110
479205 [유머] mbti 유행의 순?기능 [52] 길갈12651 23/05/10 12651
479204 [기타] 8살 아이에게 2000원어치 소불고기 사기친 정육점 [39] Avicii13987 23/05/10 13987
479203 [서브컬쳐] 아는 사림이 거의 없었던 마블 근황 [57] Myoi Mina 13426 23/05/10 13426
479201 [유머] 헤이딜러 새 광고에 참여한 감독의 놀랄만한 정체 [9] Davi4ever12688 23/05/10 12688
479200 [유머] 닥스2 촬영하면서 현타온 엘리자베스 올슨 [45] 만찐두빵15536 23/05/10 15536
479199 [기타] (얏후) 여성들이 팔굽혀펴기에 유리한 이유.jpg [8] 캬라15014 23/05/10 15014
479198 [기타] 호불호 갈리는 플랭크 자세.gif [22] 묻고 더블로 가!14816 23/05/10 14816
479197 [기타] 한국판 미네르바 스쿨? = 태재대학교? [14] 우주전쟁13966 23/05/10 13966
479196 [유머] 인터넷에서 논쟁할 때 서로 말이 안 통하는 이유에 대한 이론적 설명.jpg [48] 삭제됨13495 23/05/10 13495
479195 [LOL] T1 프런트의 급발진? [173] NewJeans18666 23/05/10 18666
479194 [스타1] 가난한 게임단의 인생역전.jpg [56] Aqours16892 23/05/10 16892
479193 [유머] 길거리 여성 푸쉬업 단 1회만 해도 만원 줌.jpg [62] 삭제됨14436 23/05/10 14436
479192 [유머] K-요식업 상호명 작명법 [37] 세력11260 23/05/10 11260
479191 [유머] 종로 술집 근황(feat 용과같이) [13] Avicii12450 23/05/10 12450
479190 [기타] 대전 택시비 28만원 먹튀.jpg [43] insane13781 23/05/10 13781
479189 [기타] 카페 흡연꺵판 사건 근황 [44] 톰슨가젤연탄구이15452 23/05/10 1545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