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4/06 17:56:54
Name 우주전쟁
출처 https://insideevs.com/news/660957/volkswagen-id4-some-sales-paused-fauly-doors/
Subject [기타] 폭스바겐 미국, 캐나다에서 전기차 ID.4 판매 중단...
폭스바겐이 자사 전기차 ID.4의 미국, 캐나다 판매를 일시 중단했다고 합니다.
차량 도어와 관련한 부품의 이상으로 주행 중 차문이 열릴 위험이 있어서라고 하네요.
미국과 캐나다 외에 다른 나라에서 판매되는 동일 차량에 대한 정보는 아직 없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국내에서 혹시 이 차량을 소유하고 계신 차주분들은 한번 알아보시는 게 좋을 것 같네요.

volkswagen-id.4.webp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4/06 17:59
수정 아이콘
부품에 습기가 차면 오작동으로 인해 주행중에 문이 열리거나 열려야할때 안열린다고 하더라고요.
23/04/06 18:20
수정 아이콘
폭스바겐이 생각외로 전기차에서 고전하는 모양인가 보네요
개발괴발
23/04/06 18:24
수정 아이콘
독일 차들은 내연기관 시절에도 전자장비들이 뭔가...뭔가 좀 그랬었어요.
우스타
23/04/06 19:08
수정 아이콘
전장이 개판인데 부품은 겁나 비싼
진짜 치를 떨게 만들더라고요 크크크크크
파인애플빵
23/04/07 00:41
수정 아이콘
전자 장비에 더 보수적인 일본차는 전기차 만들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소세지
23/04/07 09:09
수정 아이콘
도요타 전기차가 [주행 중 바퀴가 빠질수 있다]면서
출시 2달 안되서 리콜한 적이 있어요..크크
탑클라우드
23/04/06 18:25
수정 아이콘
제 예상보다는 전기차로 넘어가는 페이스가 더디네요.

저는 2025년이면 전기차가 엄청 팔릴 줄 알았고,
가격도 내연기관차와 보조금 없이도 경쟁이 가능할줄 알았는데...
지금 추세로 보면 2025년에도 지금과 큰 차이가 있을까 싶기도 합니다.

얼마 전 한국 갔다가 타본 니로플러스 전기 택시는
승차감이나 소음 측면에서 내연차 대비 장점이 안느껴졌고,
가격은 니로 신형 하브 보다도 훨씬 비싸고...

하아 참... 여러모로 아쉽네요.
개발괴발
23/04/06 18:40
수정 아이콘
2030년부터 내연기관차 판매금지인 나라들이 은근히 있기 때문에
막상 지금 밍기적거리는것처럼 보여도 한 2028년 근처쯤 되면 확 바뀔겁니다.
이사빠
23/04/06 19:54
수정 아이콘
아직 가격이 너무 비싸요...
웸반야마
23/04/06 18:41
수정 아이콘
당장 pgr만 해도, 기성 자동차 브랜드들이 마음만 먹으면 테슬라는 바로 따라잡힌다 했었죠
개발괴발
23/04/06 18:44
수정 아이콘
https://www.kipost.net/news/articleView.html?idxno=306435

사실 테슬라는 급격히 점유율이 줄어들고 있기는 합니다.
작년 미국 전기차시장 전체 점유율 72% 에서 65%로 줄었네요.
당장은 지배적 위치에 있지만 앞으로 전망이 쉽지 않습니다. 폭풍 할인중이기도 하고...

///이런 가운데 테슬라는 지난해 전체 차량 인도량이 자체 목표는 물론 시장 전망치에도 미달해 경기 불황 여파와 더불어 테슬라의 독주가 꺽이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3/04/06 19:03
수정 아이콘
테슬라 판매량이 줄어서라기 보다는 전기차 시장이 커져서 그렇져. 테슬라 판매량 및 순익 자체는 크게 늘었습니다. 목표 미달이란 것도 50% 예상했는데 40% 찍어서 그런거라
개발괴발
23/04/06 19:11
수정 아이콘
맞는 말씀신데 그만큼 기성 자동차회사들도 크게 약진한 거기는 합니다. 판매량이 십몇만 단위로들 늘었죠.
웸반야마
23/04/06 20:01
수정 아이콘
중국제외 글로벌 2022 1분기 점유율보다 2023 1분기 점유율이 더 높습니다
웸반야마
23/04/06 19: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니 전체 시장 파이는 커졌잖아요
아이폰4 나올때 스마트폰 점유율이 높을까요 지금 아이폰의 점유율이 높을까요...?;;

YOY 성장률이 60프로입니다 업계 1위 회사가요;

아직도 팔고있는 모델S가 2012년에 나온 자동차입니다
참고로 그랜져 hg가 2011년에 나온차구요
개발괴발
23/04/06 20:24
수정 아이콘
따라잡느냐의 관점에서 말씀드린겁니다.
웸반야마
23/04/06 20:27
수정 아이콘
지금 추세로보면 전혀 따라잡히지 않는거같은데요...
오히려 따라잡고 있는건 신생 전기차 회사들이구요
개발괴발
23/04/06 20:37
수정 아이콘
본진이자 최대 시장인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기성 브랜드인 포드와 GM의 점유율이 꽤 높아지기는 했습니다. 테슬라가 공고한 입장이었다면 굳이 큰 폭의 할인을 시작하지 않았겠지요. 기존 테슬라의 기술력이나 경쟁력을 폄하하고 싶은 생각은 없습니다. 다만 이제 압도적 1위로써의 높은 이익마진률을 유지하기는 쉽지않고, 치열한 경쟁이 이제 시작된 것으로 봅니다.
웸반야마
23/04/06 23:18
수정 아이콘
머스탱은 가격 안내렸나요? 마치 테슬라만 가격인하 해서 경쟁력 떨어졌다고 쓰시는거 같아 정정드립니다
가격인하는 매크로 영향이 훨씬 큽니다

1월 북미 ev 판매량의 74프로가 테슬라고 말씀하신 포드 gm에 현대까지 넣어도 테슬라의 1/3도 안됩니다
gm은 전기차를 만든지 1~2년된 회사도 아닌데두요
차라리 byd나 리비안이 더 위협적이겠지요
개발괴발
23/04/06 23:46
수정 아이콘
엥? 북미 테슬라 1월 74%는 작년 기록입니다. 뭘 보고 오신건지 모르겠군요.

https://insideevs.com/news/657660/us-electric-car-sales-january2023/

Tesla remains the largest player in the BEV segment in the US, with nearly 50,000 units in January and a 57 percent share, although its growth rate of 34 percent is much lower than the segment's average. Let's recall that a year ago, in January 2022, Tesla had a 74 percent share, so this is a noticeable shift

2022년 1월의 판매점유율이 74%인데 비해 2023년 1월의 판매점유율은 57%로 급격히 떨어졌습니다.

Tesla (57% BEVs): 49,917 (up 34% from 37,128)
Non-Tesla (43% BEVs): 37,791 (up 186% from 13,210)

2023년 1월 기준 테슬라 판매량이 12000대 늘어나는동안 비테슬라 판매량은 24000대가 늘었습니다.이 결과가 나온 이후 테슬라가 폭풍 할인을 시작하죠.
웸반야마
23/04/07 11:10
수정 아이콘
https://www.cnbc.com/2023/04/04/gm-overtakes-ford-in-us-ev-sales-still-trails-tesla.html
Big 5만 계산했었습니다

자꾸 테슬라만 할인했다고 하시는데, 테슬라 차량 인하하면서 포드 GM도 직격타맞고 같이 인하했습니다
애초에 북미에서 수요>공급이라 딜러사에서 MRSP 대비 +20%씩은 프리미엄 주고 사던 차량들이 다 거품이 빠진겁니다
테슬라는 아예 딜러사가 없으니 공식가격이 올랐다가 떨어지는거구요

그렇게 상품성이 뛰어나면, 가격 유지해도 잘 팔릴거잖아요?

테슬라는 북미만 따질게 아니라 전세계 인도량도 올해 1Q가 역대 최고치구요

전체 파이야 당연히 떨어지겠지만, 마치 여전히 기성차업계가 마음만 먹으면 테슬라 점유율 뺏어오는건 별 문제가 안된다고 말씀하시는거같아 계속 대댓들 답니다..
전 기성차 업계는 몇몇 회사들만 살아남던지 (전기차 업계에서), 신규 전기차회사와 합병할거라 생가합니다
개발괴발
23/04/07 11:42
수정 아이콘
웸반야마 님//보여주신 링크는 1쿼터 전체 판매량이군요. 그것도 교묘히 상위 5만 짜른걸로요. 본인 윗댓글에 말씀하신 1월이 잘못 본건 맞군요. 알겠습니다.
따라잡을 수 있냐의 관점에서 봤을때 저는 명확히 따라잡을 수 있을것이라 생각하고, 이번에 테슬라가 촉발시킨 치킨게임이 끝나면 어떻게 될 지 지켜봐야 될 것 같습니다. 저는 여기서 논의를 끝내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자두삶아
23/04/06 20:01
수정 아이콘
1000대 파는 시장에 800대 팔면 점유율 80퍼라 시장 지배하고
시장이 커져서 1000만대 파는 시장에서 600만대 팔면 점유율 20퍼나 떨어져서 망하겠네요.
개발괴발
23/04/06 20:22
수정 아이콘
누가 망한다고 했습니까? 웸반야마님이 말씀하신 댓글을 보면 pgr사람들이 테슬라 따라잡힌다고 했다는 말에 대해 실제로 따라잡고 있다고 말씀드린겁니다.
아구스티너헬
23/04/06 22:13
수정 아이콘
회사는 망하지 않지만
임원 목날아갈 일이죠
시장이 커지면서 기존 지배력을 잃어가는 중이니까요
지배적인 시장에선 매출도 중요하지만 지배력이 훨씬 중요합니다.
웸반야마
23/04/07 11:16
수정 아이콘
성장률이 세자리수를 찍던 시장이고, 향후 성장률도 30%가 넘을걸로 예상되는데 80%점유율을 유지하면 기적이 아닐까요?

그 어떤 회사도, 어떠한 블루오션을 만들어내도 스마트폰의 아이폰을 넘어서는 지배력은 갖기 쉽지 않을건데요
10년전보다 아이폰 전세계 점유율은 떨어졌지만, 그 어떤 사람도 팀쿡의 경영을 비판하진 않습니다
아구스티너헬
23/04/08 04:41
수정 아이콘
30% 40% 50% 까진 그렇지만 80%는 다릅니다.
80%면 압도적 시장지배자인데 이걸 말아먹고 무사할 임원은 없습니다.
iPhoneXX
23/04/06 19:02
수정 아이콘
이상하게 다른 문제로 더 떨어질 가능성도 있겠더라구요. 보조금 많이 못 받을 수 있어서..
23/04/07 05:39
수정 아이콘
아직 전기차 비율이 낮은데 기성차 업체가 역량을 총동원할 수는 없잖아요. 아마 R&D는 전기차로 거의 몰빵으로 돌렸을 것 같긴 한데 생산관련은 내연기관 빨아먹을 수 있을 때까지 빨아먹어야죠. 그리고 테슬라 강점이 본질기술, 약점이 생산-양산 품질이라서 생산역량까지 전기차로 전이되는 시점쯤이 분수령일듯요. 거기서 수성하면 테슬라는 또다른 레벨이 되는 거겠죠.
웸반야마
23/04/07 11:17
수정 아이콘
생산량이 기존 회사들이 가장 따라오기 버거운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차량 마감은 다른얘긴거 같은데, 그게 중요한 사람들은 리비안이나 루시드로 가시겠죠
그 폭스바겐의 전기차 마감이 그렇게 대단한가 보면 글쎄요..
아모르
23/04/06 19:08
수정 아이콘
드럼브레이크 시끄러웠던 그차인가보네요
류 하야부사
23/04/06 19:39
수정 아이콘
윤성로가 좋다고 막 난리를 치던 그 차군요
김꼬마곰돌고양
23/04/06 21:11
수정 아이콘
이렇게 또 오토기어 1승인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7462 [게임] 한국 자존심 지킨 KT 롤스터, 페이즈 꺾고 우승 [11] 이호철10347 23/04/10 10347
477461 [유머] 슬로베니아 성지를 방문한 여행객 [11] 메롱약오르징까꿍10946 23/04/10 10946
477460 [기타] 의외로 아직도 나오고 있는 라면 [17] 묻고 더블로 가!12937 23/04/10 12937
477459 [유머] 성시경이 어렸을 때 간장밥 대신 먹었다는 간단 레시피 [15] Davi4ever13613 23/04/10 13613
477457 [LOL] 피넛 인스타에 답글 단 뇌신 최우범 선생님.jpg [9] insane10031 23/04/10 10031
477456 [기타] 가오리 먹방 직관 1열 [8] 꿀깅이11646 23/04/10 11646
477455 [기타] 테슬라의 휠을 인치업 해보자 [11] 꿀깅이10442 23/04/10 10442
477454 [기타] 골격 금수저와 흑수저를 아라보자 [7] 꿀깅이11803 23/04/10 11803
477453 [기타] 약후) 일본에서 난리난 탑배우 역대급 야스스캔들 [21] 꿀깅이15580 23/04/09 15580
477452 [LOL] (후방) 오늘 결승전에서 세라핀 코스프레하고 젠지 응원하신 분 [17] Davi4ever11139 23/04/09 11139
477451 [LOL] 이제와 생각하니 엄청 큰 경기 [3] 삼화야젠지야8137 23/04/09 8137
477450 [유머] 오일쇼크를 극복한 CEO의 용단 [7] 길갈9253 23/04/09 9253
477449 [LOL] 두 번째 피해자 발생.jpg [12] AGRS9248 23/04/09 9248
477448 [기타] 정말로 소똥은 콘크리트보다 단단한가? [11] 똥진국12040 23/04/09 12040
477447 [기타] 오토바이 과속+ 비보호 좌회전 사고 [20] 꿀깅이10030 23/04/09 10030
477446 [유머] 오늘도 죄송한 gpt [7] Colorful8606 23/04/09 8606
477445 [기타] 대한민국 80년대 점심시간 풍경.jpg [23] Aqours10416 23/04/09 10416
477444 [기타] 백종원의 모로코 야시장 엔딩 [54] 톰슨가젤연탄구이13255 23/04/09 13255
477440 [LOL] 티원 패배 인터뷰 [34] 쎌라비12183 23/04/09 12183
477439 [LOL] 감동의 룰러 인스타스토리 [5] 인증됨8114 23/04/09 8114
477438 [기타] 정치학 박사님이 대만문제에 대해 답답해 하는 점 [26] 판을흔들어라12935 23/04/09 12935
477437 [LOL] 명장 고동빈을 억까하던 중국팬들 반응.JPG [10] insane9989 23/04/09 9989
477436 [LOL] 실력과 커리어는 관계x라는 증거 [46] 삼화야젠지야11130 23/04/09 111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