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2/08 15:15:51
Name 정공법
File #1 Screenshot_20230208_151150_DaumCafe.jpg (534.5 KB), Download : 41
출처 도탁스
Subject [기타] S23시리즈 베터리 bypass기능지원 (수정됨)


https://9to5google.com/2023/02/07/galaxy-s23-charger-battery-bypass/

기존
충전기꼽음 ->베터리충전(발열생김)->기기에전럭공급

Bypass실행시 충전기꼽음->베터리거치지않고 바로 기기에 다이렉트로 전력공급
베터리수명에 긍정적 및 충전발열x
대신 베터리 충전은 되지않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2/08 15:20
수정 아이콘
뭐 나름 장시간 게임을 한다거나 한다면 나쁘지 않을수도....?

저는 오늘 S23 디폴트 시스템영역이 60GB쯤 된다는 글을 해외에서 하나 봤는데 정신이 좀 멍하긴 하더군요.... 프리로드를 뭘 얼마나 끼얹은거야..
lightstone
23/02/08 15:55
수정 아이콘
표기차이에 의한 손실분을 시스템용량으로 그냥 표시하는겁니다.
SSD 256GB 샀는데 왜 윈도우에는 230GB밖에 안나타나나요 사기인가요랑 비슷한 수준이죠.
23/02/08 16:27
수정 아이콘
으잉? 표기 차이에 의한 손실분은 표기차이로 둬야지 시스템에서 쓰는 것처럼 표시를 한다고요? 관행일지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그 쪽이 더 사기처럼 느껴지네요 허허허.
lightstone
23/02/08 16:34
수정 아이콘
그럼, 누군가는 256GB휴대폰 샀는데 왜 230GB짜리가 온건가요 사기인가요로 서비스센터 갈 듯합니다. 크크
23/02/08 17: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 기준은 1024와 1000간의 갭일텐데, 스마트폰 저장용량을 1024기준으로 안잡고 세팅을 한다는 생각은 처음 해봤네요.

그나저나 21 디폴트영역이 36GB정도인데 크흠.. 주장하는 글 찾아보니 512GB모델에서 시스템이 56.95GB잡아먹고 있네요.
말씀하신 갭차를 고려하면 30~35기가정도가 허수인거고, 22~27GB가 실 시스템영역정도로 봐야겠군요.
동년배
23/02/08 15:26
수정 아이콘
하루종일 충전기 꼽고 자동사냥 돌리는 사람들 꽤 있는데 그런 사람들에게 좋아보이네요.
덴드로븀
23/02/08 15:27
수정 아이콘
오 이거 좋은데요 크크크
23/02/08 15:28
수정 아이콘
배터리 수명에도 상당히 좋은기능인데 다른폰도 지원해줄수 있으면 좋긴하겠네요.
저출력 충전기는 안될거 같고 25w충전기로 되려나.
23/02/08 15:29
수정 아이콘
오 괜찮네요.
부스트 글라이드
23/02/08 15:29
수정 아이콘
이거 좋네요. 이전부터 생각했지만 진짜 배터리에 충전하면서 동시에 배터리 전력쓰는건 비합리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노트북이나 폰을 쓸때 배터리는 전기를 담아두는 용도라 생각했는데, 충전하면서 쓰면 배터리 수명도 걱정되고 뜨겁기도하고 다 별로였거든요.
회색의 간달프
23/02/08 16:10
수정 아이콘
이게 하드웨어적으로 지원이 되어야하는거라서
저사양 폰들은 미지원일 수 밖에 없을 껍니다.
우울한구름
23/02/08 15:30
수정 아이콘
좋네요. 꼽아놓고 쓸때도 많은데
23/02/08 15:31
수정 아이콘
이건 좋네요
Grateful Days~
23/02/08 15:36
수정 아이콘
정품 충전기 안쓰고 폰이 문제 생기면 또 책임 안져주겠군요.
23/02/08 15:39
수정 아이콘
게임할려면 거의 필수겠네요
23/02/08 15:40
수정 아이콘
일단 장기 실사용기가 나와봐야겠지만 이번 23은 이래저래 반응이 좋네요
아케르나르
23/02/08 15:41
수정 아이콘
좋은 기능이네요. 진작 나왔어야.
switchgear
23/02/08 15:42
수정 아이콘
옛날부터 왜 적용 안하나 싶던 기능이었는데 이제 되려나보네요.
23/02/08 15:48
수정 아이콘
컴퓨터 같은거군요 과학은 놀랍네요
몽키매직
23/02/08 15:53
수정 아이콘
카메라 영상녹화 배터리 발열 때문에 더미배터리 다는 것 비슷한 기능을 만드는 거네요.
어떻게 생각해보면 이걸 여태 생각한 회사가 없었다는 것도 신기하네요?
고물장수
23/02/08 15:58
수정 아이콘
남들은 하던건데 삼성이 늦게 적용한겁니다.

스마트폰 만드는 회사가 삼성만 있는게 아니고.

삼성은 보수적인 회사라 오히려 좀 늦는 편이죠...

갤럭시노트7의 악몽이....
ComeAgain
23/02/08 16:03
수정 아이콘
갤럭시탭 액티브에는 이 기능이 있긴 합니다
타카이
23/02/08 16:04
수정 아이콘
고속충전은 언제 급을 올려줄지 궁금한 삼성
이번 45W도 중국 안드로이드 폰(66W, 100W, 200W...)에 비하면 느린데
부스트 글라이드
23/02/08 16:12
수정 아이콘
배터리는 아이폰은 더 보수적이라면 보수적이라...
이런 어마어마한 메이저들이 안하면 안하는 이유가 있다고 봐야할것 같습니다.
한방에발할라
23/02/08 17:53
수정 아이콘
삼성 구글 애플이 전부 안하고 있는 걸 보면 전 안하는데에는 이유가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퍼피별
23/02/08 15:57
수정 아이콘
일단 기사로만 보면, usb 전원 공급 중지는 배터리 충전을 하지않고 소모만 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전원을 계속 꽂아놓으면 100% 상태에서 잦은 충전과 소모가 계속 일어나는데, 요게 배터리에는 꽤 스트레스가 되죠. 일정정도 배터리 충전 수준을 낮췄다가 다시 충전하는게 배터리 입장에서는 훨씬 좋습니다.
bypass 를 하려면 배터리 만큼의 안정적인 줜원 공급이 유지되어야 할텐데, 제가 알기로는 그러려면 예전 놋북같은 크기의 어댑터가 필요할껄요?
아케이드
23/02/08 16:11
수정 아이콘
저게 어떻게 가능한가 생각했는데 그런 거였군요 크크크
퍼피별
23/02/08 16:14
수정 아이콘
저도 팩트는 잘 모르겠고, 기능 명칭만 보고 의견 드리는거예요. 조사해보니 액티브 모델군에서 no battery mode 라는게 있던데, 아마 기기 내부에 전력을 안정화시키는 부품이 추가로 있을거고, 이러려면 비용도 올라가고 조금이라도 커지게 되고 등등.. 모든 모델군에 적용 안시키는 이유가 있겠죠
부스트 글라이드
23/02/08 16:13
수정 아이콘
아 요즘 로봇청소기나 무선청소기 쓰는방식이군요.
퍼피별
23/02/08 16:20
수정 아이콘
무선 청소기 잠깐 쓰고 크래들에 올려둘때마다 배터리 수명에 안좋겠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충전 제한 기능이 적용된 제품들이 나오는군요. 전기 자동차때문에 배터리 관리 데이터들이 엄청 쏟아져나오더군요. 나름 낙수 효과랄까
타카이
23/02/08 16:17
수정 아이콘
예전에 쓰던 스마트폰 배터리 직접 교체한다고 뜯어서
그냥 스마트폰 충전기로 연결했는데
배터리 없이 그 전원으로도 가동되고 잘 작동하던데요...
퍼피별
23/02/08 16:22
수정 아이콘
어떤 모델인지 모르겠지만 갤럭시 쪽은 액티브 쪽 제외하고는 폰이 꺼질겁니다. 노배터리 보장하려면 어댑터나 폰 내부에 안정화 장치가 추가되어야해요
바카스
23/02/08 17:24
수정 아이콘
으 내일 온다. 애플 삼성 애플 쓰다가 다시 삼성 넘어가는데 기대되네요.
23/02/08 17:40
수정 아이콘
벌써 배송시작이요?! 덜덜덜
바카스
23/02/08 18:08
수정 아이콘
임직원몰이라 빨리 오는것 같습니다.
Meridian
23/02/08 20:00
수정 아이콘
으아 부럽습니다ㅠㅠ 담주까지 언제기다려ㅠ
싸구려신사
23/02/08 17:41
수정 아이콘
흠 좋아보이긴 한데 완성도가 어느정도될지 궁금하네요.
저거 켜두고 쓰다가 어댑터를 빼면 설마 꺼지진 않을테고, 즉시 전환하려면 배터리 모드도 항시 돌아야하는데 잘 될련지 궁금하네요.
작은대바구니만두
23/02/08 17:41
수정 아이콘
탈착 가능한 녀석들은 어찌어찌 배터리를 타이밍 맞춰서 빼버리면 배터리 없이 구동이 가능했죠
이것도 로스트테크놀러지입니다?
KanQui#1
23/02/08 18:36
수정 아이콘
진짜 노태문인 척하는 랩틸리언이 바뀌치기한 거 아닌가요?
그렇다면 원본 분 좀 더 붙잡혀 계시길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3455 [기타] 대웅제약vs 메디톡스 근황 [15] SAS Tony Parker 10931 23/02/10 10931
473454 [LOL] 미쳐버린 애니 승률 근황 [41] 만찐두빵10460 23/02/10 10460
473453 [기타] 일본이 japan인 이유 [25] 꿀깅이11640 23/02/10 11640
473452 [유머] ChatGpt가 알려주는 당구의 순기능.jpg [9] Pika488558 23/02/10 8558
473451 [서브컬쳐] [해리포터] 매드아이 무디 진짜 가짜 구분 [4] 된장까스8363 23/02/10 8363
473450 [기타] 드디어 봉인을 풀어버린 그것 [31] Lord Be Goja12987 23/02/10 12987
473449 [유머] '김피쟐씨는 내일부터 나오지 않아도 됩니다'라는 말을 들었을때의 모범대처는? [21] OneCircleEast13518 23/02/10 13518
473448 [유머] 2033 한국키디 [4] DogSound-_-*8396 23/02/10 8396
473447 [동물&귀욤] 아빠가 우는 모습을 본 딸 [1] 인간흑인대머리남캐7833 23/02/10 7833
473446 [서브컬쳐] [후방] 이젠 코스프레 영역에 도전하는 AI.... [19] OneCircleEast11766 23/02/10 11766
473445 [기타] 무산된 AI변호사 [16] 문문문무11338 23/02/10 11338
473444 [게임] 겜부심이 있는 이유 [11] 인간흑인대머리남캐8021 23/02/10 8021
473443 [기타] 윈도우 11, 진단 데이터 마소 외에 타사 서비스로 보내 [1] Pika487327 23/02/10 7327
473442 [유머] 10억 쉽게 체감해보기.jpg [26] 한화생명우승하자14074 23/02/10 14074
473441 [LOL] 탑라이너 뽀르노(feat.수염펍) [28] 길갈8838 23/02/10 8838
473440 [동물&귀욤] 게임 그만하고 나랑 놀아 [12] 흰긴수염돌고래10371 23/02/10 10371
473439 [유머] 손난로 vs 손난로 [24] 길갈11373 23/02/10 11373
473438 [기타] 하이브 에스엠 현재 주가 [17] TheZone12539 23/02/10 12539
473437 [유머] 한국사 수험생들이 의외로 많이 제낀다는 파트 [61] KanQui#113305 23/02/10 13305
473436 [기타] 의외로 사람들이 잘 모르는 '카드 긁는다'의 유래 [35] Myoi Mina 10681 23/02/10 10681
473435 [유머] 김희철에게 공식 사과한 침착맨.jpg [12] Myoi Mina 13896 23/02/10 13896
473434 [스포츠] WBC 대표팀 모자.JPG [25] 핑크솔져9928 23/02/10 9928
473433 [방송] 넷플릭스,캐나다, 뉴질랜드, 포르투갈 및 스페인에 계정 공유 제한 시작.jpg [15] Pika4810622 23/02/10 1062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