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1/08 17:32:47
Name 닉넴길이제한8자
File #1 제목_없음.png (15.4 KB), Download : 72
출처 인터넷
Subject [기타] 와 공무원 월급 많이 오르네




그럼 허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1/08 17:34
수정 아이콘
군대 월급 20% 오른다랑 비슷하려나요.. 아 이건 아닌가
23/01/08 17:40
수정 아이콘
공무원은 연차가 쌓이면 호봉이 오르는데, 호봉이 오르는건 임금 상승이라고 간주하지 않는 특유의 문화는 아무리 생각해도 이상해요.
청운지몽
23/01/08 17:41
수정 아이콘
예정된 건 당연한거죠
초임을 받아들일 때도 호봉에 따른 상승을 인지하고 있는거고요
23/01/08 17:42
수정 아이콘
전 사기업 다니다가 공무원이 되었는데, 사기업 다닐 때 연봉 동결 맞고 2년간 원천징수 금액이 1원 단위까지 같은 적이 있었거든요. 공무원은 숨만 쉬어도 1년이 지나면 급여가 오르는데 그게 왜 급여 동결인지 잘 이해가 안 갑니다.
청운지몽
23/01/08 17:56
수정 아이콘
사기업은 취업할때 매년 올려준다고 안하니까요
대부분 형식적이지만 연봉협상하고 사인하지 않나요?
제가 겪은 대기업 그룹은 그렇긴 했고요

고속성장기 시절 정년보장/호봉인정 되던게
사기업은 사라졌고 공무원은 남은거죠

대신 공무원은 초봉부터 급여가 적어도
그 정년/호봉보고 시험에 지원하고 인생을 갈아넣기도 하니
호봉상승분은 현재로선 당연한 부분이죠

3000미만 시작해서 매년 올라바야 얼마가될까요
시작을 4000이상으로 하는게 나을 수 있겠죠?
23/01/08 17:58
수정 아이콘
전혀 다른 얘기를 하고 계시는데 호봉 상승이 당연하다/아니다, 공무원 급여가 높다/낮다 이야기를 하는게 아니라, [호봉 상승도 급여 상승이긴 하다] 라는 이야기입니다. 애초에 작년보다 받는 돈이 많아지는데 그게 왜 동결이에요 크크
청운지몽
23/01/08 17:59
수정 아이콘
동결이라는 단어를 사전적으로만 쓰시는 게 보이네요

제 첫 댓글 다시읽어보세요
인지에 범위 첫 계약에 있는 호봉에 따른 상승은 동결과 같고
추가적인 상승이어야 호봉에 따른 상승분이 커져야만 동결이 아닌 상승으로 말할수있다가 골자입니다
23/01/08 18:01
수정 아이콘
그 말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단어선정과는 말이 안된다는건데요.
공무원 만의 기준이고요 그건. 그냥 전해 원천징수보다 올라갔으면 올라간거에요;
23/01/08 18:03
수정 아이콘
저는 그 의견, 혹은 그렇게 해석하는 공무원 특유의 문화가 이상하다 라는게 골자입니다. 받는 돈이 많아지면 그건 동결이 아니죠.

그럼 200만원 받고 공무원이 된 후 근무하는 내내 급여가 동결되었지만 퇴직할 때 월급은 400만원인 상황이 있울 수도 있다는건데, 말이 안되는 소리잖아요.
아스날
23/01/08 18:16
수정 아이콘
일반 사기업 다니는 입장에서는 호봉상승분도 당연히 연봉상승이라고 생각되고 세후 기준으로 얘기하는 급여도 이해가 안되긴하죠.
청운지몽
23/01/08 18:20
수정 아이콘
근데 보통은 사기업도 매년 관행적으로 올려주지 않나요?
그거 동결은 이례적인 적자급 상황일때고요

우리나라 문화에 매년 임금상승은 관행적으로 있는데
호봉제가 유지되는 경우라면 호봉에 대한 상승은 당연한거죠 그 대가로 초임이 다른데요
지구 최후의 밤
23/01/08 23:3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호봉표 급여가 동결이면 동결, 그게 인상이면 인상으로 봐야한다고 생각해요.
롤랜드
23/01/08 18:03
수정 아이콘
맥락에 따라 이해를 해야죠 공무원의 급여를 생애 총급여로 본다면 사전적으로 봐도 급여동결이 딱히 틀린말은 아니죠 매년 연봉계약을 하는 회사원의 입장으로 무조건 보면 그게 이상한거죠
23/01/08 18: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생애 총급여로 본다는 시각은 재미있네요. 근데 그렇다면 공무원의 급여 인상이 왜 필요한가 싶은 생각이 듭니다. 애초에 공무원이 될 때 정해진 생애 총급여를 알고 있는데, 그걸 왜 올려줘야 하나요? 국민연금처럼 물가 수준의 몇%, 노동자 평균 임금의 몇% 식의 상대적인 수준으로 정해진 값이 아니라 절대값으로 정해져 있는 생애 총급여가 있고 그걸 알고 공무원이 됐는데, 그걸 왜 올려줘야 하나 싶네요.

예컨데 사기업이 1년 단위 계약을 하는걸 공무원은 생애 총기간으로 계약을 한다고 보는 셈인건데, 세상에 계약기간 내에 급여를 올려주는 직장이 어디있나요?
롤랜드
23/01/08 18: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기업은 매년 연봉협상을 하면서 물가상승분 반영이 가능하지만 공무원은 그게 불가능하잖아요... 그래서 호봉상승분 말고 따로 물가상승에 따른 기본급 인상을 하는거구요.. 그걸 왜 올려줘야하냐면 정부와 공무원 노사관계에서 그러기로 했으니까요? 호봉상승분과 별도로 물가상승에 따른 인상을 해주기로 한걸로 알고 공무원이 된거니까요?
23/01/08 18:15
수정 아이콘
사기업의 1년 계약에 대응하는게 공무원의 생애 총기간에 해당한다는 개념인건데, 그런 식이면 계약 기간 안에서 물가 올랐다고 연봉을 올려주는건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거죠. 기존 계약이 끝나야 새로 계약을 하면서 연봉을 보전해주는건데, 공무원 계약은 생애 총기간이 기준이라는 접근이라면 그 계약이 끝나지 않았으니 올려줘야할 이유가 없죠.
롤랜드
23/01/08 18:17
수정 아이콘
GogoGo 님// 글쎄 그 계약안에 물가상승분에 따른 인상이 포함되어있다니까요...
문재인대통령
23/01/08 18:23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 맞네요... 처음 들어갈때 내 인생에서 돈을 이만큼 벌겠구나 하고 다 알고 들어가는데 왜 올려주죠?
청운지몽
23/01/08 18:16
수정 아이콘
제가 장문의 댓글을 달았다가
핵심을 짧게 갈음해주셔서 제 댓글은 지웠네요
생애 총급여, 아래 댓글 물가상승분 반영 등 필요한 개념을 잘 써주셨네요

추가로 초봉과 호봉의 관계에 대해서도 있고
이야기할 거리가 많은 부분이죠 정말
23/01/08 17:52
수정 아이콘
공무원들이 그래도 중소기업보다는 모든 면에서 다 월등하지 않나요.
23/01/08 18:00
수정 아이콘
사실 모든면에서 월등까지는 아니고 그냥 엎치락 뒤치락 하는거 같아요. 딱 정년보장만 빼면. 물론 좋소는 논외고 중소..
정년보장 이걸로 좀 안 좋은부분에 대해 퉁을 쳐야되는데 너무 저년차 위주의 시각만 받아들이는 부분이 있죠.
당사자들이야 공무원이 아니라 대기업, 전문직도 징징거리는건 입장상 당연한건데 왜 받아들이는 사람이 그걸 얌전히 받아주는지 모르겠는
No.99 AaronJudge
23/01/08 18:12
수정 아이콘
아항
중견이랑 하면 그렇군요
청운지몽
23/01/08 18:17
수정 아이콘
시험을 뚫었으니까요
대신 중소기업의 기술직 장인분들에 비하면
공무원은 매우 높은 확률로 그분들을 넘을수가 없겠죠
아구스티너헬
23/01/08 22:41
수정 아이콘
중소기업도 대기업도 다 서류전형 및 면접보고 들어갑니다. 시험이 갑자기 왜 나옵니까?
청운지몽
23/01/09 09:59
수정 아이콘
중소기업 시험 전형과
대기업 전형은 많이 다르지 않을까요?

피지알 다른 글 댓글에도 있지만
한때는

7급>대기업>9급 이란 인식도 있었을정도니
거기서 사실 7급>대기업>9급>중소기업(기술직 제외) 이겠죠

투입과 보상에 대한 건 그게 정당한 지는 다시 논의 하더라도
현재 투입과 보상에 대한 보상이 현재로선

9급도 왠만한 중소기업보단 나은건 당연한거죠
여덟글자뭘로하지
23/01/08 18:22
수정 아이콘
그래서 국민 대부분이 근무하는 중소기업 직장인들에게 공감을 못받는거죠. 대부분 우리회사보다 나은데? 싶을테니.
지대호
23/01/08 18:17
수정 아이콘
공무원들만의 이상한 급여계산방법이 몇개 있긴하죠. 호봉문제도 그렇고, 세후 기준 급여를 이야기하는 것도 그렇고…
현재 공무원 처우도 들어가는 노력 대비 충분히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Dr.박부장
23/01/08 18:18
수정 아이콘
호봉 포함해도 4% 인상이라면 불만이 있을법도 하죠. 한 10년간 인상률 따져도 얼마 안 될 거구요.
물론 더 힘든 경우도 많으니 징징거린다고 하는 분들도 있겠지만, 미국처럼 공공부분의 장점이 점점 없어지는 시대기 때문에 이해는 됩니다.
내가 낸 세금에서 나가는 월급이겠지만 어공들이 여론을 의식해서 매년 억지로 인상률을 억제하지는 않았으면 합니다.
청운지몽
23/01/08 18:23
수정 아이콘
유머글이 댓글로 자게글이 됐지만

유머글 본문에 맞게 다시 보면
호봉상승 확정된 공무원 그럼 하쉴?
그렇다고 억대연봉 주는것도 아닌 공무원이고요
대신 공시생 짧게는 1년 - 길게는 모를 시간
견뎌내셔야 합니다

그럴거면 안하고 만다! 이건데요
23/01/08 18:25
수정 아이콘
리버스 누칼협 잘봤습니다
청운지몽
23/01/08 18:26
수정 아이콘
중꺾마도 좋지만
누칼협도 시대의 단어지요
아구스티너헬
23/01/08 22:44
수정 아이콘
시험본걸 뭐 대단한 벼슬이라고 생각하시는듯.
9급공무원의 직무는 원래 높은 교육수준과 능력을 요하는 직무가 애초에 아니었습니다.

너무 많이 하려다가 인플레가 일어난것 뿐이죠
예전에 9급은 통상 대졸자가 가던 직무가 아니었습니다.
청운지몽
23/01/09 10:01
수정 아이콘
소위 중경외시급 대학교들에서도 1-2학년에 공부해서 붙고 안가고 하는 경우가 많고
실제로도 7급 정도로 눈높이 잡는 경우도 많죠

물론 대신 중경외시급에선 행시이상에 대해선 연고대보단 약한것도 사실이고요
다만 시대 상황에 따라서 특정 학교/과가 인기 있기도
특정 직업/시험이 인기가 있기도 한 것 뿐이죠

다만 과거도 현재로서도 9급이 왠만한 중소기업보다 인기가 많고
요구 투입량이 많은건 사실 아닌가요?
특히 문과기준으로 보면 더욱 그렇고요
아구스티너헬
23/01/09 10:3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모두가 튤립을 사기위해 전력을 다해서 가격이 올라갔다고 튤립의 진짜가치가 올라가는건 아닙니다.

9급은 응시자가 몰려 진입장벽이 상대적으로 높아졌지만 요구직무 수준 및 직무가치가 올라간건 아닙니다.

직무의 가치는 거칠게 말하자면(딱히 해당분야에 간절한 꿈이 없었다면)연봉의 수준이고 지금 가치가 인플레되서 들어온 고급 인력들이 해당 직무가치에 불만을 가지는 현상이죠 하지만 그 직무의 가치는 늘 동일했습니다.
그냥 거품인거죠
23/01/08 18:44
수정 아이콘
호봉제라는 급여 테이블 내에서의 상승분이랑 연봉 인상 여부는 별개의 개념으로 봐야죠. 호봉에 따라 자동으로 오르니까 그게 연봉 인상이라는 논리면,
고용주(국가) 입장에서는 동일 구성으로 동일 인원을 고용했을 때 직원들 연봉을 인상해주면서도 30년 전이나 지금이나 동일한 인건비를 지출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오게 됩니다. 결국 경제 성장하고 물가 오르면서 기업들 신입 월급이 오르는거랑 호봉제에서 호봉 상승분과 별도로 임금이 인상되는거랑 비슷한 개념인거죠.
Foxwhite
23/01/09 09:36
수정 아이콘
실제로 요즘 9급 1호봉은 최저임금보다 살짝 낮아서 기본급 올려주기는 부담스러우니까 수당중에 하나 2만원인가 올려주는걸로 퉁쳤죠.
EurobeatMIX
23/01/08 18:46
수정 아이콘
요즘 암만 인기없다그래도 경쟁률 떨어진거치곤 그래도 빡세보이더라구요.
대기업 확정적이면 안간다 수준이지 복지좋은 중견 미만으로는 가는게 나음
23/01/08 19:04
수정 아이콘
실질임금이 오르는건 맞죠. 호봉제 덕분에 기본급이 몇 만원씩은 오르는데, 이걸 부정하는건 양심이 없는거죠. 기본급에 일정 비율을 지급하는 명절휴가비나 연차에 따른 정근수당도 오르고요.

공무원들은 임금 문제를 "급여가 물가상승률 대비 너무 낮게 오른다"로 끌고 가야하고 그래야 공감을 받을 수 있는데, 일부 사람들이 아무래도 좀 자극적으로 보이고 싶은지 "동결"이라고 말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3/01/08 19:22
수정 아이콘
일부 사람들이 자극적으로 동결이라고 말하는게 아니라 정부 내 총액인건비 관리하는 기획재정부가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애초에 호봉제와 연봉제는 너무 다른 급여제도여서 연봉제에서 말하는 임금 인상의 개념을 호봉제에서의 호봉 상승에 적용하는건 무리가 있죠.
23/01/08 19:13
수정 아이콘
물가상승률 대비해서 적게 오르는거는 맞죠 뭐..
여태 계속 적게 올려주고나 생색내기식으로 올려주거나 그랬어서...
23/01/08 19:48
수정 아이콘
공무원 특히 교사쪽에는 연봉에 대한 기준이 좀 갸웃한게 있긴합니다.

보통 원징 세전으로 말을 많이 하는데(세금 공제가 개개인 별로 차이가 날수밖에 없다보니..)

세후연봉을 얘기한다던가..
수당은 빼고 얘기 한다던가..
머스탱
23/01/08 20:12
수정 아이콘
월급이야 물가상승율 만큼이라도 오르지 않으면 실질적으로 마이너스 인상이라 봐야 하고 호봉상승으로 올라봤자 그만큼 소득세도 올라서 인상분 체감하기가 어렵죠. 호봉 상승으로 6~8만원 오르면 소득세가 절반 정도는 오르니 20년 근무해도 기본급 한 100만원 정도 오른다고 보면 박봉이라고 봐야죠.
모나크모나크
23/01/08 21:08
수정 아이콘
호봉에 따라서만 자동 인상이고 급수 올라가는 승진에 따른 급여 변동은 없는 건가요?? 그렇담 너무 좀 우울한 것 아닌가;;;
지구 최후의 밤
23/01/08 23:26
수정 아이콘
승진하면 승진 급수로 -1호봉 깎고 이동합니다.
9급 임용으로 7급 다닌다 치면 기본급으로 200가까이는 차이날 거에요.
23/01/08 20:32
수정 아이콘
공무원이 어렵게 된다 한들 철밥통인게 장점이지 부자가 되는 직업은 아니지 않나요...
Stoncold
23/01/08 23:37
수정 아이콘
공무원이 철밥통인게 잘못이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아주 많으니까요. 나쁘게 말해 철밥통이지 사실 공무원이 하는 일들에 성과를 평가하는게 얼마나 무의미한지 모르는게 문제인건데
코인언제올라요?
23/01/08 20:33
수정 아이콘
월급 상승률 물가상승률보다 낮네 -> 누칼협?
근데 호봉 오르는데요? -> 그럼 하시던가 -> 그 돈 받고 누가함? -> 그럼 하지 말던가 -> 호봉 오르는데 왜 징징댐? -> 그래도 월급 적다잖아 -> 누칼협?
지구 최후의 밤
23/01/08 23:23
수정 아이콘
월급 많고 적고를 떠나서 왜 기본급만 이야기하거나 당연수당을 빼놓고 이야기하는지, 또 기여금 항목은 왜 빼는지 모르겠어요.
솔직히 연봉 구성항목 다 알고 한동안 그 구성으로 받아봤는데도 모르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1288 [방송] 허접한 전라도 밥상.JPG [12] insane13352 23/01/10 13352
471287 [기타] 모모노기 카나의 재능 [16] 아롱이다롱이11408 23/01/10 11408
471285 [스타1] 아프리카 스타여캠에 등장한 역대급 재능러.JPG [16] insane12248 23/01/10 12248
471284 [유머] 일본의 자기소개 문화 [56] 레드빠돌이14719 23/01/10 14719
471283 [유머] 서로 피곤했던 문화 [58] 선플러15090 23/01/10 15090
471282 [기타] 471252번 글 관련 같이 보면 재미있는 영상 [5] 세력8864 23/01/10 8864
471281 [기타] LGU+, 고객 정보 유출 18만건 유출 [16] 타카이9702 23/01/10 9702
471280 [기타] 포켓몬빵 근황 [37] 묻고 더블로 가!9919 23/01/10 9919
471279 [스포츠] 3대운동 500kg 넘겼다는 누나 근황.jpg [19] insane12713 23/01/10 12713
471278 [유머] 인생네컷 카드 착각하고 넣어서 잔액부족 떴었는데 비참하다.jpg Myoi Mina 9295 23/01/10 9295
471277 [기타] 작화가들의 일자리를 뺏는 AI 등장으로 벌어지고 있는 일 [9] 묻고 더블로 가!8933 23/01/10 8933
471276 [유머] 중국의 히드라 싸움.mp4 [23] Myoi Mina 10152 23/01/10 10152
471275 [서브컬쳐]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메인 예고편 공개 [45] 손금불산입8930 23/01/10 8930
471274 [기타] 세상에서 가장 비싼 새.jpg [21] 꿀깅이9701 23/01/10 9701
471273 [유머] 토스트집 막내딸 [14]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339 23/01/10 10339
471272 [유머] 피파23 호날두 근황 [20] Myoi Mina 12996 23/01/10 12996
471271 [유머] 대혼돈 환장파티의 러시아와 유럽상황 [13] Myoi Mina 11728 23/01/10 11728
471270 [서브컬쳐] 페이트 신작영상 [20] 문문문무5764 23/01/10 5764
471269 [LOL] LCK 개막전 대진표 [20] Leeka7047 23/01/10 7047
471268 [기타] 제주도에 있는 국제학교 [23] 꿀깅이11438 23/01/10 11438
471267 [기타] 한국에서 가장 비싼 사립학교 [6] 인간흑인대머리남캐15503 23/01/10 15503
471266 [기타] 16세기 헝가리 귀족의 초상화(혐) [15] Myoi Mina 10942 23/01/10 10942
471265 [LOL] 스코어 솔킬하는 도란의 한방.jpg [15] insane9927 23/01/10 992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