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2/21 09:30:27
Name 길갈
File #1 Screenshot_20221221_092728.jpg (361.4 KB), Download : 100
출처 2차 뽐뿌
Subject [기타] 연말정산으로 본 평균 연봉


평균과 중위값의 괴리가 어느 정도 될지 궁금하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우주소녀 보나
22/12/21 09:31
수정 아이콘
울산보다 공무원도시 세종이 더 잘받는다고..
Gorgeous
22/12/21 11:47
수정 아이콘
울산은 돈 잘버는 고연차 대기업 생산직들이 계속 은퇴 중이고 그들이 나간 빈자리를 직고용으로 채우는게 아니라 비용절감하려고 아웃소싱으로 빼버리고 있죠. 거기에 지방으로 내려오기 싫어하는 고학력자 잡으러 사무직도 서울/수도권으로 계속 올리고 있는 중이어서 앞으로 계속 떨어질겁니다.
회색사과
22/12/21 09:33
수정 아이콘
중위값보다 한참 위에 있을 저 평균값의 몇 배를 벌면 가끔이라도 여유를 느끼며 살 수 있을까요?..
하아아아암
22/12/21 09:46
수정 아이콘
정답은 근로소득으론 안된다 일듯
무냐고
22/12/21 09:51
수정 아이콘
퍽퍽함은 마음속에 있죠.
몇 배를 벌던 몇십 배를 벌던 여유 없는 사람은 여유 없지 않을까요
문재인대통령
22/12/21 09:57
수정 아이콘
세금이 할증붙어서 ... 세금으로 절반씩 떼가면 속이 뒤집힐껄요?
의문의남자
22/12/21 10:13
수정 아이콘
저희 사장님보면 한 대충 70배이상 버는데도 여유가 전혀 없으십니다...
톤업선크림
22/12/21 13:29
수정 아이콘
왜 그러신걸까요..?
저희 사장님은 매일 술판에 아주 행복사하기 직전으로 사시는데...ㅡ,ㅡ;
박현준
22/12/21 13:20
수정 아이콘
10배 정도요.
내년엔아마독수리
22/12/21 09:33
수정 아이콘
사장님 내 연봉이 연령대 평균보다 너무 적습니다
及時雨
22/12/21 09:33
수정 아이콘
나만 그지왕이구나
22/12/21 09:34
수정 아이콘
세종이 저렇게 높다니..

9,8 급 대신 4,5 급들이 많아서 연봉이 높은건가...?
22/12/21 09:40
수정 아이콘
한창 일하는 나이대의 사람들이 모인 곳이라 급여 줄어드는 60대 이상의 비율이 낮은 영향도 커보입니다. 실제로 전국에서 평균 연령이 제일 낮은 도시구요.
22/12/21 09:41
수정 아이콘
유게에 비슷한글 올라온적 있었는데
박사급 연구인력이 많다고 하더라고요
아밀다
22/12/21 09:53
수정 아이콘
세종에는 아무래도 말단들보다는 사무관들이 많아서 ?
묵리이장
22/12/21 10:20
수정 아이콘
에너지 솔루션 다니는 분들 많아서 연봉 좀 많이 오를거에요.
개발괴발
22/12/21 10:07
수정 아이콘
https://www.sejong.go.kr/kor/sub03_031102.do

세종시 과장급(최소 5급)이상 공무원 비율 3.5%
※ 광역·기초 단위 사무를 모두 수행하고 있는 세종시와의 동등한 비교를 위해 특·광역시 기초자치단체의 정원을 합산할 경우 특·광역시 평균 4.5%, 인구 200만 미만 광역시 평균 5.2%임
※ 세종시는 단층제 조직으로 타 시도(광역단체 본청)와의 비교를 위해 읍면동 정원 포함

세종시라고 특별히 과장급(최소 5급) 이상 공무원의 비율이 높은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아밀다
22/12/21 10:11
수정 아이콘
엄 잘은 모르는데 자료가 혹시 지방직 기준, 세종시 공무원들 얘기인 건 아닐까요 ? 제가 속한 부처는 본부가 세종에 있는데 9급 자리가 아예 없어요. 사무관들 득시글하고.
개발괴발
22/12/21 10:36
수정 아이콘
저도 통계만 본 거라 체감과 비교하자면 확실하게 뭐라 답해드리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로하스
22/12/21 10:37
수정 아이콘
저거는 지방자치단체인 세종시 5급 이상 비율이구요.
세종시에 내려가있는 중앙부서에는 5급 이상 넘쳐나죠.
서지훈'카리스
22/12/21 15:26
수정 아이콘
뭔가 좀 이상한데요
지방직이 아니라 중앙직을 봐야죠
3.5프로일리가 있나요
청사 가면 제일 낮아봐야 7급입니다
22/12/21 17:49
수정 아이콘
평균이 아닌 중위값으로 하면 세종시 순위 확 내려갈거 같은데요.. 타직종 대비 고연봉이 별로 없어서요
Luxury Nobless
22/12/21 18:09
수정 아이콘
세종 사는 사람입니다. 공무원 아니구요. 아마 저렇게 나온 이유가 고위공무원+주변도시(대전, 청주)+대전 각종 연구소 석박사급 인력때문이 아닌가 싶네요. 대전 직장인 분들도 세종에 많이 삽니다. 게다가 저소득자도 많이 없기도 하구요.
살려야한다
22/12/21 09:35
수정 아이콘
15.02+14.03+21.5=50.55니까
중위값은 딱 2999만원이라고 생각하면 되겠군요.
22/12/21 09:37
수정 아이콘
1억 이상 근로자가 112만이라는게.. 잘사는 사람 수가 적지 않다는걸 보여주는 내용이기도 하죠.

4천만 인구에서 '노인 빼고 학생과 애기들 빼고'.. 나서 남은
근로자 2천만명 중 112만이면 적은 %가 아니라서..
유료도로당
22/12/21 09:40
수정 아이콘
한국인구가 5천만명이고 생산가능인구(15-64)는 3700만명으로 거의 4천만에 근접합니다
바밥밥바
22/12/21 10:04
수정 아이콘
1억이래봐야 월 급여 650입니다 잘사는 축에는 못끼죠
마동왕
22/12/21 10:10
수정 아이콘
선생님 월 급여 650이 잘 사는 축이 아니면 대체 어느 정도 소득이 있어야 잘 사는 축에 낄 수 있는 건가요?
22/12/21 10:12
수정 아이콘
생각하는 사람마다 잘사는 기준이 다르니깐요..
누구와 비교하냐에 따라 한없이 못살수도 있고, 한없이 잘 살수도 있는 금액이죠.
바밥밥바
22/12/21 10:19
수정 아이콘
연봉 4천이 월급여 300쯤 됩니다
300이 650된다고 삶이 드라마틱하게 달라지지 않습니다
보세 옷 입던거 브랜드 옷 입고, 팬션 여행갈때 호텔여행 가는 정도죠
그냥 삶의 질이 조금 나아진 정도지 남 부럽게 '잘'산다라고 보기에는 어려운 급여입니다
마동왕
22/12/21 10:2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선생님께서 생각하시는 '잘' 산다의 기준은 어떻게 되시나요?

저는 브랜드 옷 입고 호텔 여행 가면 잘 사는 것 같거든요.
살려야한다
22/12/21 10:24
수정 아이콘
그걸 보통 사람들은 잘산다고 해요
EurobeatMIX
22/12/21 11:27
수정 아이콘
피쟐기준 평범입니다 하아
미카엘
22/12/21 12:17
수정 아이콘
그게 잘 사는 것 아닌가요..
22/12/21 12:42
수정 아이콘
그런 식이면 이재용도 잘사는게 아니라고하죠. 객관적인 수치를 무시하고 본인 마음대로 기준을 갖다붙이는건 잘못된거라는걸 깨달으셔야합니다.
몽키매직
22/12/21 13:48
수정 아이콘
삶의 패턴이 달라지는 건 아니고 비용 지출하는 모든게 다 1-2 단계씩 업그레이드 되는 정도라는 것까지는 동의하지만, 사실 그게 잘 사는 거죠. 삶의 형태가 완전히 달라지려면 (경제적 자유를 얻으려면) 초월적으로 많이 벌어야 해서 그걸 기준으로 삼으려면 '잘 산다' 의 기준이 너무 높아져버립니다. 보통은 억대 연봉이면 10-20년 전 억대 연봉과 다른 느낌이긴 하더라도 잘 산다고 봅니다...
집으로돌아가야해
22/12/21 14:40
수정 아이콘
음.. 싸우지들 마시고 pgr 답게 잘 싸는 걸로 합시다.
22/12/21 10:27
수정 아이콘
한 10년전까지만해도 세전1억이 크게 느껴졌는데
그동안 물가도 많이오르고 세금(?)도 많이 올랐습니다.

솔직히 잘사는 기준을 세전 1.5억에서 2억 정도로 올려야지 않나 싶네요.
22/12/21 12:44
수정 아이콘
그런 식이라면 2억 있는 사람은 3억으로 3억 있는 사람은 10억으로 올리라고 하겠죠. 돈은 얼마있던지 항상 부족합니다. 객관적인 수치를 놔두고 본인 사정에 맞춰 기준을 바꾸면 잘못된거죠.
지대호
22/12/21 16:51
수정 아이콘
저도 이 의견에 동의합니다. 연봉 1억이 고소득자의 상징같이 된것도 20년 가까이 되었지 않나요?
22/12/21 10:37
수정 아이콘
외벌이 650+집대출-100으로 초등 애 둘 키우는데 힘듭니다;

외벌이로 여유 있으려면 빚없이 700은 되야 할듯
이부키
22/12/21 14:40
수정 아이콘
4인가족 650이면 싱글 200보다 힘든거 아닌가요... 거주비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요.
22/12/21 16:15
수정 아이콘
사회초년생 때보다 나에게 쓰는 돈이 많이 적습니다...
22/12/21 17:01
수정 아이콘
자식 둘에 외벌이로 여유 있으면서 노후 대비 투자금 까지 생각하면 700도 부족한것 같습디다..
결국 부자되려면 맞벌이 외에는 답 없는것 같습니다
22/12/21 12:40
수정 아이콘
그 정도 벌면 잘사는 축 입니다. 현실 인식이 잘못되신 거에요.
판을흔들어라
22/12/21 10:10
수정 아이콘
인스타나 커뮤니티에 글 올리는 비율을 한 번 조사해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현실과 넷상의 괴리감의 이유가 나오진 않을지...
22/12/21 09: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나마 평균이니까 저정도지 중위값을 보면 거의 최저수준으로 내려갈텐데 온라인에선 평균 1.5배정돈되야 평균같은 분위기인데 현실과의 괴리가 크죠.
22/12/21 09:39
수정 아이콘
중위값은 연봉 3000에 실수령액 240
평균값은 연봉 4000에 실수령액 290 정도로 예상합니다.
Underwater
22/12/21 10:25
수정 아이콘
최저임금 월급계산이 대략 2200만원 정도니까 2000만원 이하 근로소득자는 풀타임 근로자가 아니라고 계산하면
중위값/평균값이 좀 높아지지 않을까요
EurobeatMIX
22/12/21 11:28
수정 아이콘
20년인가? 중위 2600 정도로 기억합니다.
몽키매직
22/12/21 13:54
수정 아이콘
저기서 3000 이하가 50.55% 라 중위가 3000 보다 쪼끔 아래겠네요.
22/12/21 09:39
수정 아이콘
못사는 사람은 내가 못사는걸 외부에 알리기 힘들지만
잘사는 사람은 내가 잘사는걸 외부에 알리기 쉽죠
른토쁨
22/12/21 09:41
수정 아이콘
직장인 평균이라서 상당히 차이나보이지만 실제로 자영업자들을 합치면 고소득자의 비중은 더 늘어납니다.
마갈량
22/12/21 09:48
수정 아이콘
자영업은 성공하면 고수입이지만
폐업 손실금액을 소득에서 빼버리면 처참할거같기도...
22/12/21 10:10
수정 아이콘
서울의 자영업체 월평균 순이익은 141만 원 https://data.si.re.kr/data/%ED%86%B5%EA%B3%84%EB%A1%9C-%EB%B3%B8-%EC%84%9C%EC%9A%B8-%EA%B2%BD%EC%A0%9C%ED%8E%B8/291
[서울의 자영업체 월평균 순이익은 141만 원으로 전국보다 적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순이익이 감소하고 있다는 사업체 역시 77.8%로 전국에 비해 4.4%p 높은 비중을 차지하여 서울에서의 저소득 경향이 전국에 비해 더 심각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순이익 감소 이유는 ‘주변 소형 업체와의 경쟁 심화(46.5%)’, ‘소비자의 구매패턴 변화(39.9%)’, ‘인건비, 임대료 등 원가의 상승(36.1%)’ 순으로 나타났다.]
본인 인건비를 어떻게 산정하는지에 따라 다르지만 순수익 평균이 141이면 비율로 따지면 처참할 것 같네요.
-안군-
22/12/21 10:29
수정 아이콘
고소득 자영업자들 보다는, 수익이 거의 없다시피 하는 자영업자와, 저 통계에 안잡히는 아르바이트, 파트타이머 등의 숫자가 훨씬 더 많을 것 같아요.
야크모
22/12/21 12:50
수정 아이콘
자영업자에 수익을 못내는 분들까지 넣기 시작하면, 직장인에도 취준생을 포함시켜야 하지 않을까요...
닉네임을바꾸다
22/12/21 14:12
수정 아이콘
뭐 엄밀히하면 수익 못내는건 순이익이 마이너스인거일거고...
취준생은 수입을 내는 게 없는거라 동일선상이 아니죠...
22/12/21 09:49
수정 아이콘
내가 저정도였다니...
비상하는로그
22/12/21 09:50
수정 아이콘
30세에 무슨일이 있길래 연봉이 저리 튀는걸까요…
지대호
22/12/21 10:23
수정 아이콘
30대 미만이라면 10대후반~29세 일텐데, 이 구간에는 단순알바나 파트타임 근로자가 많으니까요
22/12/21 09:51
수정 아이콘
물려받은 재산이 없어서 그런가 상위 5% 안에 들어도 의미가 별로 없...
Mephisto
22/12/21 09:51
수정 아이콘
통계 낼때 저놈의 평균값으로 후려치는거 참 웃기죠.....
2-50까지 중위값내면 크게 차이 안날걸요?
22/12/21 09:54
수정 아이콘
종부세 내는 부자 자영업자들 계층 통계도 따로ㅜ냈으면...
감전주의
22/12/21 10:03
수정 아이콘
사업자는 보통 5,6월에 종합소득세 신고하니까 연말정산 통계에는 빠지지 않을까요
22/12/21 17:03
수정 아이콘
주택 종부세랑 월 소득이랑 큰 관계는 없습니다..
오히려 노년층이 많아서 월 소득은 생각보다 더 적을수도 있습니다
22/12/21 09:55
수정 아이콘
이름있는 곳이어도 이번에 연봉 3000 겨우 됐는데.. 쩝 집은 언제 사나
EurobeatMIX
22/12/21 11:29
수정 아이콘
중위값이거나 그보다 근소하게 더버시는건데 커뮤는 또 다르죠 쓰으읍
22/12/21 09:58
수정 아이콘
평균은 최상위에 있는 사람들이 다 높여놓는다고 말할수도 있고 그래서 중위값을 보는거기도 하지만

파트타임이나 알바하는 사람이, 1년내내 일하지 않은 사람들이 아래쪽에서 평균 깍아먹고있는데
최상위와 마찬가지로 그런 최하위도 보통 일하는 사람들이 비교대상으로 보진 않으니 걍 쌤쌤아닐까 싶습니다.
DeglacerLesSucs
22/12/21 12:46
수정 아이콘
평균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절대 쌤쌤이 아니죠 0이라는 값으로 막혀있는 자료구조라서

평균보다 5천만원 못버는 사람이 아예 존재할 수가 없는 거잖아요
22/12/21 19:28
수정 아이콘
근데 그런 사람이 아주 많으면 또 다른 의미니까요.
초월자 한줌 있어도 사회에서 만날 일이 없지만 바닥에 깔린 사람들은 흔히 보는거니까요.
카즈하
22/12/21 09:59
수정 아이콘
112만 3000명 안에 끼고싶습니다.
wish buRn
22/12/21 10:09
수정 아이콘
한달에 2천만원 버는 사람은 상위 몇%일까요?
초월적인 고소득자는 아니지만,일반인들보단 분명히 많이 버는
22/12/21 10:11
수정 아이콘
제일 아래 그림을 보면 연소득 2억 이상은 상위 1.5%쯤 되겠네요
wish buRn
22/12/21 11:05
수정 아이콘
리플감사합니다.
2~5억 버는 비율과 5~10억 버는 비율이 의외로 비슷하네요.
차지하는 구간이 넓긴 하지만 (3억 VS 5억) 그걸 감안해도 의외입니다.
상위로 갈수록 피라미드 구조가 심해지는데
몽키매직
22/12/21 13:52
수정 아이콘
아래 댓글에도 있지만 5-10억이 단위 오류가 있어 실제로는 0.065% 가 맞는 것 같습니다.
2억 이상은 그러면 0.7% 죠.
wish buRn
22/12/21 13:58
수정 아이콘
그게 맞는 것 같습니다. 리플감사합니다.
빼사스
22/12/21 10:12
수정 아이콘
근데 연봉 1억이라고 해도 월 수령액이 600 정도던데, 도대체 세금을 얼마나 내는 건가.
22/12/21 10:14
수정 아이콘
(수정됨) 4인 가족 미성년 자녀 2인 외벌이 기준으로 월 150만원 세금 내고 실수령 680정도네요. 근데 잘 계획해서 소비하면 거의 500만원 환급받네요.
척척석사
22/12/21 12:17
수정 아이콘
연봉 1억이면 과세표준이 7-8천 사이일 텐데, 소득세율은 8.8천 이후가 35%라서 연봉 1억맨은 아직 고액 세율의 쓴맛은 보지도 못한 시점입니다.
22/12/21 14:57
수정 아이콘
실효세율 생각하면 연봉1억이면 월 실수령 750정도일거요
22/12/21 17:05
수정 아이콘
무슨 말씀이신지 잘.. 연봉 1억이면 월 실수령액 650정도입니다. 100이 갑자기 어디서 생겨나죠?
22/12/21 17:38
수정 아이콘
각종 소득공제 세액공제 제하고 나면 실수령액이 더 많습니다. 연봉1억 실효세율이 10프로정도에요
22/12/21 20:24
수정 아이콘
준조세에 가까운 4대보험도 생각해야 합니다. 연봉 1억에 실수령 750은 불가능해요. 특히 건강보험이 무시무시합니다.
22/12/21 20:30
수정 아이콘
다 해도 안됩니다. 제가 연금저축 400채우고 인적공제 2명 받고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750 이 되나요
혹시 국민연금이나 의료보험 빼고 생각하신게 아닌지...
묵리이장
22/12/21 10:14
수정 아이콘
일하는 사람이 2천만명이 안되는군요.
개인사업자도 다 연말정산 할테니..
페로몬아돌
22/12/21 10:21
수정 아이콘
개발자는 맨날 평균하더니 최근들어 평균은 좀 마니 넘네요.
이민들레
22/12/21 10:27
수정 아이콘
직장인이면 일단 전문직 자영업자는 안들어갈테니 실제 연소득 1억이 넘는 분들은 한 10프로가량도 되겠네요.
-안군-
22/12/21 10:33
수정 아이콘
저건 연말정산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근로자들만을 대상으로 낸 통계니까, 파트타이머, 아르바이트, 자영업자 등은 싹 빠진거죠. 그리고 전체 노동인구에서 이들의 비중이 꽤 높을걸요?
제가 언급한 사람들의 소득을 통계에 넣으면 평균값이 더 내려갈거라 봅니다.
초현실
22/12/21 10:35
수정 아이콘
30대 미만 2300은 백수들도 포함한 값인건가요 너무 이상한데
개발괴발
22/12/21 10: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대학원...군대(부사관)...

2021년 국세통계자료 열어보니까 남자들 중 30대 미만에 해당하는, 결정세액이 있는 근로소득자 수가 894,424명으로 잡히네요.
주민등록상 20대~30대 인구 수는 680만명이고요.
20대 인구들 중 13%정도만 근로소득자로 잡히는 걸로 봐서 우리가 흔히 [알바]라고 부르는 파트타임들은 안 잡히지 않나 싶습니다.
적어도 전일제 비정규직 정도는 돼야 잡히는 것 같네요.
회색사과
22/12/21 10:50
수정 아이콘
근로자 평균이니까 알바생 포함되서 그럴 겁니다.
초현실
22/12/21 10:56
수정 아이콘
아 이러면 인정이죠. 감사합니다
22/12/21 10:53
수정 아이콘
연말정산은 1개월 이상 근로한 모든 사람이죠. (소득세를 납부한)
22/12/21 11:05
수정 아이콘
대졸 기준으로 최소 25세~29세 평균이니까요.
30대 미만이랑 30대 비교면 0~4년차 연봉이랑 0~15년차 연봉이랑 비교라고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
EurobeatMIX
22/12/21 11:30
수정 아이콘
공무원 9급은 최저미만이라
EurobeatMIX
22/12/21 11:31
수정 아이콘
공무원 9급은 최저미만이라
그렇구만
22/12/21 10:42
수정 아이콘
원징기준이겠죠?
22/12/21 11:05
수정 아이콘
자영업이 월급쟁이보다 분산값이 높아서 평균이나 중위값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고소득자 비율에는 영향을 꽤 미칠거 같은 느낌이 듭니다.
큐브큐브
22/12/21 11:09
수정 아이콘
고소득 자영업자면 왠만해서는 법인으로 전환해서 급여타가지 않나요?
22/12/21 11:46
수정 아이콘
확실히 연봉 2억부터 많이 줄어드네요.
고작 1.3%
연봉 2억이면 세후 1200쯤 되려나요..
몽키매직
22/12/21 13:46
수정 아이콘
원징 기준으로 퇴직금까지 포함해서 2억이면 세후 1060 정도라고 나오네요.
억대 가면 공제도 거의 없어져서 거의 계산기 계산대로 나옵니다.
22/12/21 15:30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답변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흐흐
마갈량
22/12/21 11:49
수정 아이콘
1억이래봐야 세후 650인데
처음부터 1억버는것도 아니고 생각보다 엄청나진않습니다
지금 직장10년차에 600정도 세후로남는데
30살쯤 부모님한테 1억받아 대출끼고 아파트산애들이 훨씬 잘사는거보면 가끔 월급쟁이는 뭘까 싶을때가 있어요
무냐고
22/12/21 14:00
수정 아이콘
반대로 250받는 월급쟁이를 생각해보시죠.
그럼 의미없다는 생각이 없어지실지도요..
마갈량
22/12/21 14:07
수정 아이콘
의미없진않죠 생활은 이전보다 풍족해지니까.
근데 시운이 따라줫는데도 내능력으론 이게 한계점에 가까운데 그래도 남들 다 있다는 집한채 얻기힘들고 시작점 자체가 너무 차이나게 느껴지니까 허망함은 있더라구요.
나는 운빨노력 합해져도 이게 한계구나 하고.
서지훈'카리스
22/12/21 15:30
수정 아이콘
자산이 중요하죠
노동소득이야 뭐.. 차이나봐야
마갈량
22/12/21 15:36
수정 아이콘
네 그런기분들때가 종종있네요
아스트랄
22/12/21 12:10
수정 아이콘
연봉 5-10억이 0.65 가 아니라 0.065 이겠네요.
저 구간만 확 늘어나서 이상해서 봤는데 1억이상이 5.6이라는데 아래거 다 합치면 그것보다 높아요. 0.065로 계산하면 얼추 맞습니다.
22/12/21 12:16
수정 아이콘
오 그렇네요 그러면 연봉 2억 이상 올라가는게 직장인에게 엄청 힘든 거네요.. 거의 비율이 1억 이상에 비해 10토막이 나버리니
지대호
22/12/21 16:54
수정 아이콘
어지간한 대기업이나 중견기업 다니면서 40대 초중반 정도 되면 원천징수 1억 정도는 보통 찍는데, 2억은 그래도 상무급은 되야 나오는거 같더라구요
22/12/21 16:55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흐흐
몽키매직
22/12/21 13:39
수정 아이콘
뭔가 이상하다 했어요 거기 수치가...
22/12/21 12:12
수정 아이콘
인터넷 커뮤니티 보면 다들 연봉 1억씩 하잖아요.
미카엘
22/12/21 12:18
수정 아이콘
1억이 잘 사는 것이 아니라는 댓글 볼 때마다 숨이 막힙니다. 주변만 바라보다 보니 세상 전체를 보는 눈은 혼탁해졌나 봅니다.
샐러드
22/12/21 12:59
수정 아이콘
PGR이 고소득자가 과대표된 커뮤니티인 것은 알겠네요.
신동엽
22/12/21 13:03
수정 아이콘
돈 잘버는 사람들은 달에 얼마번다~ 이렇게 얘기하던데 크크
언제 그리 말할 수 있을지
고물장수
22/12/21 13:17
수정 아이콘
중위소득은 부머세대가 퇴직 시작하고부터 최저임금과 같아졌습니다......

이들이 퇴직하고 저임금 직업을 다시 얻으면서 중위소득을 팍 끌어내렸습니다.
(어른들 하시는 일 있죠. 주차... 경비.. 미화...)

다시말해 임금노동자의 절반은 최저임금도 제대로 못받아요.

조금 더 받는 사람들은 최저임금에 수당정도를 얹어서 받고 있는거고요.

우리 국민들이 이렇게 못삽니다... 평균은 대표값의 기능을 잃은지 오래됐어요.
22/12/21 13:26
수정 아이콘
억대가 112만명이라는데 왜 자꾸 못산다고 하는지..
Peter Pan
22/12/21 14:31
수정 아이콘
근로소득만으로는 안된드아.....
22/12/21 14:32
수정 아이콘
연봉 10억이라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0157 [방송] 팬들이 원작 대로 하지 말아달라던 재벌집 드라마 아이스베어11499 22/12/26 11499
470156 [유머] 깻잎/신발끈/귤껍질/옷단추 논쟁 종결 [10] 선플러11611 22/12/26 11611
470155 [방송] 재벌집 막내아들 작가의 놀라운 능력 [5] 마루하11949 22/12/26 11949
470154 [기타] 재벌집 막내아들 말고 반응이 뜨거운 곳 한곳 [19] 닉넴길이제한8자13381 22/12/26 13381
470153 [서브컬쳐] 재벌집 결말을 본 달빛조각사 작가 반응 [10] 별가느게12573 22/12/26 12573
470152 [유머] 재벌집 막내아들 교훈 [9] Croove11072 22/12/26 11072
470151 [유머] 재벌집)그와중에 티배깅하는 JTBC [7] xxqpxx10454 22/12/26 10454
470150 [유머] 재벌집막내아들 원작자의 최신작 일부분 [12] Lazymind11713 22/12/26 11713
470149 [유머] 스포) 진양철 근황.jpg [7] Starlord11528 22/12/26 11528
470148 [유머] 재벌집막내아들 원작엔딩 [24] Leeka12426 22/12/26 12426
470147 [방송] 재벌집 막내아들 최종 대본리딩 현장 예상사진 [2] 갓기태10934 22/12/26 10934
470146 [유머] 재벌집)부기영화 당신은 틀렸어 [32] 오곡물티슈12486 22/12/26 12486
470145 [기타] 킹성도 갓랐다 [14] 묻고 더블로 가!10621 22/12/25 10621
470144 [유머] 급하니깐 스킬 구사하는 말.mp4 [2] Myoi Mina 9216 22/12/25 9216
470143 [방송] 스포?) 역시나 무한도전은 알고있었다 [3] 카카오게임즈10232 22/12/25 10232
470142 [방송] [재벌집] 드라마 결말을 예측한 기자 [5] Destinyzero14214 22/12/25 14214
470141 [유머] 광속의 10조 배 속도 체감하기 [32] 선플러14728 22/12/25 14728
470140 [유머] 시청률 27퍼 돌파 드라마의 원작! [3] 동굴곰11304 22/12/25 11304
470139 [유머] 명작의 조건 [2] 개인의선택6920 22/12/25 6920
470137 [서브컬쳐] [드래곤볼]초사이언인4 vs 무의식의 극의 [11] kien.9778 22/12/25 9778
470136 [기타] 터지면 인류가 멸종한다는 화산 [23] 꿀깅이15754 22/12/25 15754
470135 [스포츠] 사과 2번 쪼개서 8절단하는 사람 [21] 꿀깅이13747 22/12/25 13747
470134 [기타] 전세갑질 [26] 꿀깅이13260 22/12/25 1326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