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2/21 07:43:43
Name dbq123
File #1 1.JPG (33.5 KB), Download : 130
출처 인스티즈
Subject [유머] 작년 서울대 컴공 아웃풋 현황.jpg


대학원이랑 스타트업이 강세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jjohny=쿠마
22/12/21 07:4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대기업 부분만 놓고 보면
1. 삼성 > 다른 모든 대기업
2. 근데 삼성 가려면 석사나 박사 따고 간다
로 해석할 수도 있겠네요.
jjohny=쿠마
22/12/21 07:57
수정 아이콘
출처는 여기네요.
https://cse.snu.ac.kr/career-options

(근데 UI가 좀 이상하네요.
처음 접속하면 2021년도의 결과가 표로 보이는데,
다른 연도를 들어가보면 차트로 보이고,
다시 2021년도로 돌아오면 처음에 보였던 표가 보이지 않고 차트로 보이네요.
아무래도 차트가 원래 의도이고 표가 잘못 띄워지는 게 아닌가 싶은...)
호러아니
22/12/21 07:59
수정 아이콘
와. 학사 60명맊에 안돼요? 부러워할만한 환경이네요
러신머닝
22/12/21 08:01
수정 아이콘
과거 비인기학과일 때 정해진 정원 같은데 그래서 요새는 입시컷, 복수전공, 부전공까지 박터지는 것 같네요.
22/12/21 09:32
수정 아이콘
22년 전 닷컴버블 최절정 일 때 82명인가 그랬습니다.

그 뒤로 조금씩 줄거나 그 정도를 유지한듯?
츠라빈스카야
22/12/21 08:04
수정 아이콘
대학원 진학자는 제외하고 발표하는건가요? 졸업자중에 기타가 16명밖에 안되는데 석사 한 해 졸업생이 50명대면...물론 다른 데서 유입도 많이 되겠지만...
jjohny=쿠마
22/12/21 08:06
수정 아이콘
대학원 진학자는 아마 '진학'으로 잡힐 것 같고요,
'진학'이 16인데 유학생들도 있을 것을 감안해보면, 대학원에서 타대 출신들 비중이 상당할 것으로 보이네요.

'기타'는 어떤 케이스들로 구성되는지 잘 모르겠네요. 매년 상당한 비율로 잡히던데... (그냥 '아직 안 정함' 같은 게 많으려나요)
츠라빈스카야
22/12/21 08:11
수정 아이콘
아 진학이 있었군요. 놓쳤네...
코카스
22/12/21 16:51
수정 아이콘
기타는 보통 미정/무응답/시험준비(고시, 공사 등) 등등이 주로 있더라고요.
22/12/21 08:12
수정 아이콘
대학원을 많이 가긴하네요 크크크
22/12/21 08:16
수정 아이콘
해당년도 졸업생 대상이니 저건 스타트업 강세라기 보다는 병특으로 벤처기업들 가는 케이스가 더 많겠죠. 석박사 역시 대기업이나 벤처 모두 전문연쪽이 대부분일테구요.
로피탈
22/12/21 09:01
수정 아이콘
학사는 스타트업일 가능성이 높을 것 같은게 학사 병특 TO가 거의 없을겁니다
22/12/21 08:28
수정 아이콘
학교끈이 좀 짧아서... 박사에서 진학이면 어디로 가는거에요?
어니닷
22/12/21 08:32
수정 아이콘
포닥(박사후 연구원) 가는거 아닐까요?
아무래도 교수 할려면 포닥 경력이 좀 필요할 수 있으니..
22/12/21 08:42
수정 아이콘
연구기관은 기타 분류이려나..
김승남
22/12/21 08:56
수정 아이콘
제가 있는 학교랑 정반대라서 신기하네요. 여긴 죄다 대기업만 가려고 하는데..
닉넴바꾸기좋은날
22/12/21 09:01
수정 아이콘
컴공 수요 많다는게 허상같기도 하고 그러네요;
분명 허상은 아닌 것 같던데...
서지훈'카리스
22/12/21 09:15
수정 아이콘
서울대 컴공나와서 대기업 가고
1/n로 살기에는 좀 아쉽긴 하죠
묵리이장
22/12/21 10:17
수정 아이콘
대기업가도 대부분 핵심인재로 들어가서 잘만 하면 40대 초반에 임원 달더라고요.
타츠야
22/12/21 18:31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그랬는데 요새는 해외 대학 졸업 인재들도 한국 유턴을 많이 해서 쉽지 않습니다.
코로나 직전이나 코로나 때 투자 잘 받아서 엑시트 못 했더라도 투자 받은걸로 돈 많이 쥔 경우들이 많아서 스타트업으로 간 사람들이 진짜 많습니다.
middle standing
22/12/21 09:22
수정 아이콘
큰 돈 만지려면 스타트업이나 vc 가야해서..
비오는풍경
22/12/21 09:32
수정 아이콘
올해는 어떨지 궁금하네요
스타트업 돈줄이 싹 마른 걸로 보이던데
묵리이장
22/12/21 10:16
수정 아이콘
석사진학이 많지는 않군요.
동경공대 같은데 보면 90프로 이상이던데..
22/12/21 10:17
수정 아이콘
당연히 적게 받으니까 적게 나오겠지만, 왜 이렇게 학생수가 적은가요? 제가 다니는 학교가 랭킹상 서울대랑 비슷한 북미 학교인데, 같은 해 기준으로 CS 학부생이 2700명이 넘거든요. 국립대라 적게 받는다기엔 다른 대학들도 학과당 받는 학생수가 100명 미만으로 극도로 적은 편인데 이유가 있나요?
하아아아암
22/12/21 10:27
수정 아이콘
2700명이 한 학년인지 전체 학년인지 모르겠지만 많긴 많네요. 한국 대부분의 (이공계) 학과의 정원이 대부분 저정도 근처긴 할겁니다. 이유는 잘 모르겠네요.
이른취침
22/12/21 10:59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대학정원 너무 경직되어 있다는 지적을 많이 합니다.
산업구조는 빠르게 바뀌는데
교수님들 포함한 밥그릇싸움 때문에
정원을 거기에 맞춰 능동적으로 변동시키는 게 힘들죠. 의대정원만해도 의사협이랑 협의해야 되고...
또 여러 규제 때문에 의지가 있어도 구조조정이 쉽지도 않구요.
22/12/21 14:27
수정 아이콘
철밥통 밥그릇 지키기의 민족이라 시장 상황 따위는 알빠노입니다
그 닉네임
22/12/21 11:06
수정 아이콘
컴공이 모든 전공중에 가장 스타트업하기 쉬운과라...
같은 서울대라도 분위기가 많이 달라요.
이건 카포나 연고도 비슷할듯
MissNothing
22/12/21 11:07
수정 아이콘
지금 스타트업 나온건 결국 코로나 버블때 준비중인거 어쩔 수 없이 달리는 것 같은데, 투자가 있을리도 만무하고 잘될지;
타츠야
22/12/21 18:35
수정 아이콘
그 때 투자들이 잘 나온 것도 있고 엑시트 못 해도 본인들 몫은 현찰로 많이 챙겨놓은 사람들이 있어서 할만 할 겁니다.
(그 밑에 직원들만 스톡옵션 날리고)
돈 별로 못 챙겨도 그걸로 커리어 빌드업하고.
몇 개 회사 1, 2년 짧게 다니면서 CEO, COO, CTO, CPO, Head of Engineering 이런 직함들만 수두록 한 사람들이 많습니다.
내공이 있나 싶어요.
22/12/22 00:13
수정 아이콘
22/23 통계를 봐야겠지만 최근 몇년간 IT 스타트업 처우가 웬만한 대기업 못지 않긴 했죠.
능력만 있다면 원하는 커리어 개발은 물론 스옵이나 인센 포함한 조건도 괜찮았으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9953 [기타] 월패드 캠 해킹 취약 지적한 전문가,업계 개선이 없자 [4] Lord Be Goja9238 22/12/23 9238
469952 [기타] 전북 임실 적설량 55cm 제주도 산간 75cm.jpg [18] insane9300 22/12/23 9300
469950 [LOL] 대머리가 되는 상[상] 받은 오너... [9] 본좌6914 22/12/23 6914
469949 [유머] 돈나무 누나의 혁신 etf 근황 [14] 맥스훼인10982 22/12/23 10982
469948 [유머] [주식] 매일 업데이트되는 테슬라 근황 [32] 헤세드8310370 22/12/23 10370
469947 [기타] 설악산 영하 26.2도…강원 전역 강력 한파 절정 [6] insane11509 22/12/23 11509
469946 [유머] 동사무소 시청 어느게 좋아요? [4] 빵pro점쟁이13650 22/12/23 13650
469945 [기타] ??? : 야 엔비디아 그래픽카드가 불탄다고? [4] NSpire CX II9609 22/12/23 9609
469944 [유머] 약후?)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웃음 [4] 메롱약오르징까꿍10956 22/12/23 10956
469943 [유머] 한 달 식비 3만원의 사나이 [47] Avicii16411 22/12/22 16411
469940 [LOL] 오늘 PS에서 소개된 뉴메타 빌드 [25] MiracleKid11960 22/12/22 11960
469939 [기타] 제2의 반지의 제왕이 될 줄 알았던 영화... [41] 우주전쟁13283 22/12/22 13283
469938 [기타] 내일 전국 날씨 [35] TheZone15447 22/12/22 15447
469937 [기타] 콜라값 다 오른다... 코카콜라 이어 펩시콜라도 편의점가 인상 [36] 치타12519 22/12/22 12519
469936 [유머] 일본 안가고 한국으로 유학 온 이유.jpg [14] 손금불산입14082 22/12/22 14082
469935 [서브컬쳐] 메시와 지우의 놀라운 평행이론 [4] 아케이드10239 22/12/22 10239
469934 [유머] 국립중앙박물관 반가사유상 굿즈 근황.jpg [18] 동굴곰12482 22/12/22 12482
469933 [기타] 강아지 유기가 차라리 나은 이유 [19] Avicii13481 22/12/22 13481
469932 [기타] 쌍용차 사명 35년만에 역사속으로…새 이름은 'KG모빌리티' [16] 치타11216 22/12/22 11216
469931 [LOL] LcK 어워즈 노쇼중인 룰러 근황.jpg [1] insane7469 22/12/22 7469
469930 [서브컬쳐] 아바타2 개봉한 일본 영화 흥행 랭킹 [19] 아케이드9421 22/12/22 9421
469929 [유머] 미국 기숙사 룸메이트와 처음 만나는 만화.jpg [7] 동굴곰11016 22/12/22 11016
469928 [유머] 프리미엄 고속버스에 있는 공개처형버튼 [7] Avicii8863 22/12/22 886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