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2/20 13:37:14
Name 보리야밥먹자
File #1 10.jpg (24.1 KB), Download : 98
File #2 11.jpg (24.9 KB), Download : 79
출처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tockus&no=4790671&page=1
Subject [기타] 실시간 경제 대국들 증시 근황.jpg




거기에 오늘 하루에만 엔화 2프로대 떡상까지...

반대로 일본 은행주들은 전부 주가 폭등했다더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오우거
22/12/20 13:38
수정 아이콘
드디어 아베노믹스의 끝이…
보리야밥먹자
22/12/20 13:38
수정 아이콘
일본도 결국 경기침체앞에 무릎을 꿇은듯
닉네임을바꾸다
22/12/20 14:18
수정 아이콘
보통 경기침체면 금리를 더 낮추는거지만요...
22/12/20 13:43
수정 아이콘
일본 물가 많이 올랐다더니 드디어 원하는 걸 얻었나 보네요.
담배상품권
22/12/20 13:49
수정 아이콘
물가는 오르는데 임금은 정체상태인...
海納百川
22/12/20 14:25
수정 아이콘
현직 일본 1인: 아.......
담배상품권
22/12/20 14:59
수정 아이콘
정치인들마저도 임금인상을 주장하나 경재계는 언제나 핑계가 있습지요
22/12/20 15:04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면 연차나 직급 상승 분을 제외한 전반적인 임금 인상 예산을 편성하거나 생각해 본 적이 없긴 하겠네요. 그동안 오른 적이 없으니...
아케이드
22/12/20 14:53
수정 아이콘
일본 경제는 물가가 오른다는 사실 자체가 긍정적인 신호긴 합니다 30년 디플레 국가였기 때문에...
앙겔루스 노부스
22/12/20 23:41
수정 아이콘
지속가능한 인플레인지에 대해서는 회의가 많습니다.
김유라
22/12/20 13:50
수정 아이콘
뭐지 내 댓글이 사라졌네요

대충 증권사 리포트로 갈음합니다.


장 중 시황]
BOJ발 글로벌 금융시장 충격? 냉정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어 [FICC리서치부 전략/시황: 이경민 / 김정윤]

- 오늘 일본은행(BOJ)이 대규모 초완화적 통화정책 축소 결정. 단기 금리는 기존의 마이너스(-) 0.1%로 유지. 그러나 국채수익률 곡선통제(YCC) 정책상에서 장기(10년만기) 금리의 변동 허용폭을 기존의 ±0.25%에서 ±0.5%로 확대. 사실상 금리인상이라는 평가


- JGB 10년 금리 오전에는 0.24%에서 오후 한때 0.413%까지 급등. 달러/엔 오전 137.4엔에서 133.1엔으로 4엔 이상 급락(엔화 강세), 달러 인덱스 하락반전하며 104p 하회. 오전에 상승세를 보였던 닛케이는 오후 들어 2.6% 급락 반전. 이로 인해 원/달러 환율도 장 중 1,290원을 하회하기도 했고, KOSPI 하락반전, 낙폭 확대 중

- 엔/달러 환율은 하락(엔화 강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달러 인덱스와 원/달러 환율은 낙폭을 축소 중. 원/달러 환율은 저점대비 10원 가까운 반등세 전개. 반면, 미국 선물지수, KOSPI는 낙폭이 커지는 상황. 외환시장의 반응과 증시 반응이 다른 이유는?


- 일단, 일본은행의 BOJ의 YCC 목표 조정은 이번 회의 이전부터 꾸준히 재료 노출이 이뤄진 이슈.다만, 단기 충격이 큰 것은 시점이 시장의 예상보다 빨랐기 때문. 대부분의 이코노미스트들이 일본은행도 통화정책 수정이 불가피하다고 봤지만, 대부분 시점을 23년 3월 이후로 전망. 따라서 시점이 앞당겨진데 따른 단기 충격은 감안해야겠지만, 이로 인해 글로벌 금융시장의 방향성, 추세가 바뀌지는 않을 전망
* 로이터통신이 19일 공개한 시장 이코노미스트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26명 가운데 11명(42%)은 일본은행이 내년 3월∼10월에 기존 금융완화·초저금리 정책을 수정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상. 13명(50%)은 일본은행이 2024년 이후에나 정책 수정에 나설 것으로 전망. 2명(8%)은 통화완화 정책이 이어질 것으로 응답


- 일본의 통화정책 변화는 미국, 유로존 등 주요국 통화정책 사이클을 후행하는 것. 이번에도 미국, 유로존의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이 어느정도 진행된 상황에서 이어지는 일본의 통화정책 스탠스 변화로 판단. 이번 YCC 목표 조정 이후 상당한 시차를 두고 정책 효과 및 금융시장의 반응을 확인해야겠지만, 단기적으로 글로벌 경제/금융시장에 미치는 파장은 제한적일 전망
* 당사 채권 애널리스트 공동락 부장 코멘트 반영


- 따라서 일본 엔화 강세는 지속되고 있지만, 달러화, 원/달러 환율은 단기 충격에서 벗어나고 있음. 하지만, 증시 반응은 이와 다른 양상. 12월 FOMC회의에서 매파적인 연준의 스탠스에도 불구하고 금리인하 기대가 더 강해졌는데, 이에 대한 기대가 약해질 수 있기 때문. 통화정책에 있어 완화적 스탠스에 있어 최후의 보루였던 BOJ마저도 긴축적으로 선회했다는데 따른 부담이 시장에 팽배한 23년 하반기 이후 금리인하 기대를 후퇴시킬 수 있음


- 12월 FOMC를 지나며 24년 1월 미국 기준금리 컨센서스는 4.15%로 레벨다운. 연준이 제시한 24년 연말 점도표 4.1%에 근접. 경제지표 악화되고, 기업 실적이 쇼크를 기록해도 더 강한 금리인하를 기대하기는 한계에 도달했다고 판단. Bad Is Bad 국면 불가피. 한편, 경제지표가 양호하더라도 증시에는 부담. 23년 추가 금리인상 우려가 커지고, 23년 하반기 금리인하 기대가 후퇴할 수 있기 때문. 이 경우 Good Is Bad 가능성 높아


- 경기는 우려보다 양호한데, 23년 하반기 50bp 이상 금리인하는 가능하다는 기대감에 KOSPI가 장 중 2,500선까지 반등. 당분간 경기가 걱정했던 것보다 더 않좋고, 23년 하반기 금리인하 가능성은 후퇴하면서 증시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 경계
닉네임을바꾸다
22/12/20 14:18
수정 아이콘
댓글이 자주 사라지더라고요 분명 쓰기 완료되서 올라왔던것도 어디 다른곳 쓰다가 다시보면 사라지기도 하더군요 새로고침하고 나갔다 들어와도 안나타나고...
빠독이
22/12/20 14:40
수정 아이콘
그래서 길게 쓸 거면 메모장 같은 데 써놓고 복붙 해두는 게 좋죠
아케이드
22/12/20 15:00
수정 아이콘
코스피 장중 2500선이라고 쓰셔서 설레이는 마음으로 봤는데 2300인데요?????
22/12/20 15:47
수정 아이콘
11월 중순쯤에 코스피가 종가 기준 2,480 언저리, 장 중 기준 2,500 터치했었는데 아마 그래서 장 중 2,500선이라는 표현을 쓴듯 합니다
다람쥐룰루
22/12/20 15:50
수정 아이콘
벨튀도 방문이력 적어주나요
아케이드
22/12/20 14:51
수정 아이콘
일본도 금리인상 했다고 보면 됩니다. 기준금리를 인상한건 아닌데 시장금리 상승을 유도한대요
기다리다
22/12/20 15:12
수정 아이콘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이 온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0056 [기타] 빙판길 주행 고인물.MP4 [24] insane11506 22/12/24 11506
470055 [동물&귀욤] ??? : 와 저거봐 자기야, 첫눈온다 첫눈 [2] insane11999 22/12/24 11999
470054 [게임] 넥슨이 피파온라인으로 돈을 버는 방법.JPG [17] insane18479 22/12/24 18479
470053 [유머] 폭설에 아이 등교시키는 방법 [13] 메롱약오르징까꿍10857 22/12/24 10857
470052 [유머] 약후?) 추워서 꽁꽁 여맨 사무직 누나 [34] 메롱약오르징까꿍17602 22/12/24 17602
470051 [기타] 곽튜브 대학시절.jpg [13] insane10919 22/12/24 10919
470050 [유머] 산타, 루돌프와 협상 실패.gif [8] Myoi Mina 10763 22/12/24 10763
470049 [유머] 헬스장 못 가는 사람을 위한 고강도 맨몸운동.JPG [56] Pika4818672 22/12/24 18672
470048 [유머] 오늘 밤에 무자비한 공산주의자가 무료배급을 실시한대 [19] 동굴곰11955 22/12/24 11955
470047 [유머] 러시아 항모 어드미럴 쿠즈네초프 근황 [5] Myoi Mina 10503 22/12/24 10503
470046 [기타] 인구 부양 능력이 가장 뛰어난 작물은 고구마.gisa [32] VictoryFood13527 22/12/24 13527
470045 [유머] 오늘 밤에 추천하는 영화 2편 [4] 카루오스8809 22/12/24 8809
470044 [유머] 내년부터 대한민국에 금융위기가 오는 이유.jpg [30] 보리야밥먹자16484 22/12/24 16484
470043 [유머] 요즘 영화 촬영이 힘든 이유 [10] 카루오스10822 22/12/24 10822
470042 [기타] 철산고 [14] 인간흑인대머리남캐11334 22/12/24 11334
470041 [스포츠] 벌써 한 달 전 [3] 닭강정9359 22/12/24 9359
470040 [유머] 드디어 만난 삼국지 아저씨들 [9] 일모도원9510 22/12/24 9510
470039 [스포츠] 리쉬안하오 9단의 치팅을 저격한 양딩신 9단 근황 [96] 물맛이좋아요16895 22/12/24 16895
470038 [유머] 크리스마스를 기념하는 '그 주식' [5] 맥스훼인11130 22/12/24 11130
470037 [기타] 미국 날씨 근황 [3] rEhAb12129 22/12/24 12129
470036 [유머] 그 일본인 유튜버 크리스마스 신작(후방?) [3] Myoi Mina 13036 22/12/24 13036
470035 [동물&귀욤] 광주폭설에 유치원 엄마들.mp4 [10] insane12468 22/12/24 12468
470034 [기타] 씨네21 선정 2022 올해의 해외영화 [6] 손금불산입10776 22/12/24 1077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