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2/14 23:05:29
Name 길갈
File #1 30706aeb54b216.jpg (55.7 KB), Download : 171
File #2 18510ed4fb3100c14.jpg (148.1 KB), Download : 151
출처 2차 루리웹
Subject [유머] 일산에 온 러시아 사람이 놀란 이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안수 파티
22/12/14 23:08
수정 아이콘
본 슈프리머시 마지막에서 아파트 겉을 훑어보여주는 장면을 보면서 한국에도 비슷한 곳 있을 거 같다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나네요.
22/12/14 23:15
수정 아이콘
러시아 동쪽 대도시의 아파트에 사는 사람이 실수로 기차를 잘 못 타서 서쪽 대도시로 갔는데 아파트가 동호수에 구조까지 똑같이 생겨서
남의 집을 자기 집으로 착각하고 들어가는 러시아 영화였나? 애니메이션인가?를 본 기억이 나네요.
스터너
22/12/15 05:29
수정 아이콘
그거 영화일거에요. 구잘인가 일리야인가가 소개해줬던 영화.
율리우스 카이사르
22/12/14 23:22
수정 아이콘
벤투감독님이 좋아하셨다능
라울리스타
22/12/14 23:38
수정 아이콘
원래는 멀리 떨어진 교외에 위치해야 할 전원 마을을 층층이 쌓아서 고밀도의 형태로 도시와 멀지 않은 곳에, 혹은 도심 한복판에 공급하는 방식

여러가지 측면에서 최대한 효율적인 주거 형태라는 점은 부정할 수 없으나...

너무나 개성 없이 못생겨지고, 도심 내 섬들이 뭉친 형태로 발전하는 도시들을 보면 이게 과연 최선인가 하는 생각이 마음 한 켠에 생깁니다...흐흐
지구돌기
22/12/14 23:42
수정 아이콘
원래 아파트가 소비에트에서 인민들에게 저렴하게 집을 공급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건축양식이라는 말이... 크크
근데 모스크바의 추위를 생각해보면 많은 인민들에게 난방까지 공급해야하니 아파트가 최선이었을 거 같긴 합니다.
노련한곰탱이
22/12/15 05: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우리가 생각하는 아파트-물론 고대부터 다층의 주거건물은 종종 있었지만- 라는 걸 처음 고안한 사람은 르 코르뷔지에를 위시한 서구 모더니즘 건축가들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동구권은 그걸 적극적으로 수용한거 뿐이죠. 애초에 철근 콘크리트로 기둥세우고 판상형 층 올려서 고층건물 만든다는 개념 자체나 ‘아파트 단지’라는 개념을 처음 만든게 르 코르뷔지에 인걸로 알고있어요.
동년배
22/12/14 23:44
수정 아이콘
이과우
22/12/15 00:51
수정 아이콘
이 건축양식은 프랑스에서부터 시작되어...
재미있지
22/12/15 04:03
수정 아이콘
22/12/15 06:54
수정 아이콘
로마..러시아..한국 이게 과연 우연일까?
검은바다채찍꼬리
22/12/15 09:18
수정 아이콘
환국의 영토와 지금 러시아의 영토도 매우 비슷하죠.... 어라?
모리건 앤슬랜드
22/12/15 13:32
수정 아이콘
일산에 연구단지가 있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9481 [유머] 영화 표값 왜이렇게 올랐냐는 엠팍 아재.jpg [48] Myoi Mina 11395 22/12/16 11395
469480 [기타] [주식] 증권사별 내년 코스피 지수 전망 [36] 보리야밥먹자10685 22/12/16 10685
469479 [유머] 부동산 유튜버들 근황 [53] 사당동커리15047 22/12/16 15047
469478 [기타] 의외로 우리의 전통문화 [27] Lord Be Goja11702 22/12/16 11702
469477 [기타] 아래 BTS 굿즈 관련 놀라운 점 [10] BTS12385 22/12/16 12385
469476 [기타] 머스크: 트위터의 자유를 지키겠다. [23] 달은다시차오른다8535 22/12/16 8535
469475 [유머] 유치원 선생님의 출근룩 [62] 메롱약오르징까꿍17676 22/12/16 17676
469474 [방송] [한문철] 쉬웠던 운전면허의 피해자중 한명(어린이) [7] Croove9147 22/12/16 9147
469473 [기타] 특이점이 온 부동산 상승률 표 [37] 꿀깅이11072 22/12/16 11072
469471 [연예인] 슈퍼맨 하차한 헨리 카빌 아마존 워해머 드라마에 합류 [35] 흰긴수염돌고래11319 22/12/16 11319
469470 [기타] 조훈현 9단과 이창호 9단을 [34] kurt15088 22/12/16 15088
469469 [기타] 후발업체라 기술력 부족이 걱정된다면 [29] Lord Be Goja14032 22/12/16 14032
469468 [LOL] ??? : 한화생명은 바이퍼라는 브랜드를 사신겁니다 [9] Leeka8288 22/12/16 8288
469467 [LOL] ??? : 담원기아는 데프트라는 '브랜드'를 사신겁니다 [12] Leeka9429 22/12/16 9429
469466 [유머] 감도 3000배 [10] NSpire CX II11683 22/12/16 11683
469465 [게임] 어느 게임 마망케의 업데이트 목록 [7] 네야6747 22/12/16 6747
469464 [방송] 재벌집 막내아들 자동차 사고씬 어떻게 촬영했는지 알아보자.mp4 [8] Davi4ever10594 22/12/16 10594
469463 [유머] [토하하] 회를 사주는 사람을 조심해! + 토하하 2.0 [29] 토루10947 22/12/16 10947
469462 [기타] 오싹오싹 핫초코 겨울 한정판 [10] 쎌라비10992 22/12/16 10992
469461 [연예인] BTS 굿즈 근황 [41] 로즈마리11604 22/12/16 11604
469460 [서브컬쳐] 슬램덩크 극장판 한국 개봉일 확정 [14] 아케이드9071 22/12/16 9071
469459 [스포츠] 한화 김태균이 말하는 벤투의 빌드업.jpg [14] insane12375 22/12/16 12375
469458 [게임] 크리스 멧젠, 워크래프트 복귀 [12] 길갈9509 22/12/16 950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