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0/13 13:52:41
Name
File #1 c1dcb1be09656b92f3b1d2270f4d1230.jpeg (29.6 KB), Download : 37
File #2 4e27b1be6ec41e092133f98a0fb14c9b.jpeg (54.1 KB), Download : 20
출처 Inven
Subject [유머] 게임위원장 : "꼭 게임 만들어 봐야만 전문가는 아니야."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42&aid=0000154857

rgICkch.jpg

KW3aw5J.jpg

아 그럼 나도 오늘부터 의대 법대는 안 나왔지만

의료전문가, 법조인 쌉가능인 부분? 킹정?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0/13 13:53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연애전문가 입니다.
그럴수도있어
22/10/13 14:06
수정 아이콘
너무 쎈 말은.. 약해보여요.
아브렐슈드
22/10/13 14:15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쎈말전문가 입니다
카마인
22/10/13 14:22
수정 아이콘
그럴 수도 있겠네요
22/10/13 13:54
수정 아이콘
게임은 만드는 게 아니라 많이 해 본 사람을 전문가라고 하지 않나...
캡틴에이헙
22/10/13 14:29
수정 아이콘
저고 이게 더 맞다고 생각 흐흐 애초에 전문가라는 애매한 표현이 문제고 게임위를 하려면 게임을 많이 해 본 경험만 있어도 충분하겠죠
마그너스
22/10/13 15:20
수정 아이콘
미야모토 시게루도 유저 베타테스터들 의견은 무조건 들었다고 하죠
이민들레
22/10/13 13:54
수정 아이콘
실제로 그런 의료전문가들이 아아아아주 많죠. 카레를 좋아하시던 분이 생각나네요.
NSpire CX II
22/10/13 13:56
수정 아이콘
I don't care
나는 카레 안 먹어
Careless
카레가 없는
Be careful
카레를 든든히 먹어둬라
라바니보
22/10/13 13:56
수정 아이콘
축구 전문가입니다. 벤투는 월드컵까지 쭉 가는게 맞습니다.
22/10/13 13: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영화평론가가 되려고 영화를 만든 경험이 있어야 하지는 않지만 최소한 많이 보긴 해야할텐데...과연 심의받는 작품 중 몇개나 플레이 해봤을지...모바일 확률성 강화는 12세~15세로 매기면서 나노쿠니는 슬롯머신있다고 18세 받는 거 보면 게임심의 관리위원회가 일을 어떻게 하는지 참 의문스럽습니다.
밀크티라떼
22/10/13 14:07
수정 아이콘
슬롯머신은 아마 바다이야기 때문에...
22/10/13 14:16
수정 아이콘
그런데 똑같은 슬롯머신이 있는 파판 13-1편이던가 2 편은 15세이상 이거든요. 심지어 나노쿠니 슬롯머신은 그냥 간단한 도전과제 따기용 미니게임 수준이고 파판의 슬롯머신이 딴 코인을 재화로 바꿀수도 있고 만듬새가 우월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포켓몬스터도 15세던가 그랬었다가 언론에서 두들겨맞은 후에 닌텐도에서 한국판에서 슬롯머신 삭제했던가 한 후에 재심의 받고 아동청소년 플레이 가능 등급나왔었고, 나노쿠니만 18세 나왔었는데 이런 꼴을 보면 게등위가 일을 어떤식으로 하는지 의문이 들죠.
22/10/13 13:56
수정 아이콘
다단계에 빠진 전 지인이 자기가 암도 치료할 수 있다고 나대던게 떠오르네요 하.... (사실 이게 손절의 이유, 당연히 의료계 종사자 아님)
스위치 메이커
22/10/13 13:57
수정 아이콘
제목이 좀 과하게 뽑힌 듯 합니다

그는 "그런데, 게임이라는 게 꼭 게임을 개발해보고, 저처럼 20~30년 종사해봐야만 전문가는 아니라고 본다"라고 강조했다

이렇게 말한 걸 저렇게 요약한 건 좀;;

게임
NSpire CX II
22/10/13 14:00
수정 아이콘
동문서답에 가깝다고 봅니다. 게임에 대해서 아무 것도 모르는 사람들이 심의한다고 비판하니까 게임 개발자만 전문가는 아니라고 핀트를 돌린 거죠. 질문이 게임 개발 경력이 없어서 문제라는 게 아니니까요.
R.Oswalt
22/10/13 14:06
수정 아이콘
위원 9명 중에 '게임 관련 or 연계 산업 종사자'가 저 분 한 명인 것도 사실이라...
위원들 경력 보면 제조업 종사자, 뉴스미디어 연구자, 연극 하는 사람, 경제지 기자 이렇습니다. 그나마 위원회 구성인원 중에 변호사, 교육심리학자 정도나 행정/업무 관련성 있는 수준...
페로몬아돌
22/10/13 13:57
수정 아이콘
요즘 겜 만드는 사람도 겜 마니 해봤냐고 욕 먹는 시대인데 크크크
22/10/13 13:59
수정 아이콘
한석규 세종대왕님 짤이 시급합니다
빠독이
22/10/13 13:59
수정 아이콘
만들지는 않았어도 해보기는 했으려나
그리고 만들어본 사람이 없을 수야 있지만 그런 사람이 몇 명 있을까
덴드로븀
22/10/13 14:02
수정 아이콘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42&aid=0000154857
[게임국감] 김규철 게임위원장 "꼭 게임 만들어봐야만 전문가는 아니야" - 2022.10.13

김규철 위원장은 "최근 넥슨 '블루아카이브'가 15세로 서비스되다가 현재 청소년 불가 게임으로 등급이 상향되었다"라며 "그로 인해 지난 일주일 동안 10년 치 민원이 한꺼번에 몰리고 있다"라고 답했다. 김 위원장은 "언론 보도에 약간의 오해도 있지만, 이번 경우는 좀 특이한 사항으로 이해해주시면 되겠다"라고 답했다.

이 의원은 게임위 업무가 투명하지 않다는 점을 지적했다. 심의 기준부터 사후 관리, 감독 체계에 대해 이용자가 납득하지 못한다는 게 이 의원 지적이다. 이 의원은 현재 게임위 시스템에 대해 위원장의 평가를 구했다.

김 위원장은
["게임산업법에 위원 선정 기준이 있지만, 게임 관련 전공자는 몇 안 되는 것도 사실이다"]라며
["이번에도 관련 민원이 꽤 많이 들어왔다"]라고 말했다. 게임 전문가가 아닌데 게임을 심의한다는 민원이다. 그는
["그런데, 게임이라는 게 꼭 게임을 개발해보고, 저처럼 20~30년 종사해봐야만 전문가는 아니라고 본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관련 민원과 의원 지적에 대해서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개선 방향을 고민하겠다고 덧붙였다.
전자수도승
22/10/13 14:04
수정 아이콘
게임위원회에 게임 전문가가 없으면 안 된다 : O
게임위원회에 소속된 위원들은 게임을 전혀 몰라도 된다 : X
게임위원회에 소속된 위원들은 특정한 사상, 종교에 입각한 의견을 피력할 수도 있다 : O
게임위원회의 공식적인 입장은 특정한 사상, 종교에 치우쳐도 된다 : X

....... 근데 니들 어째.......
그럴거면서폿왜함
22/10/13 14:05
수정 아이콘
게임 안하는 게임 개발자 vs 게임 만든 적 없는 게임 전문가
그렇구만
22/10/13 14:06
수정 아이콘
그렇게 틀린말인가 싶네요. 애초에 질문부터가 이상하고 생각해서..
닉바꾸기힘들다
22/10/13 14:06
수정 아이콘
인싸들 논리
1:"재미있냐?"
2:"재밌는건 나도좀 같이 하자"
3:"나좀하게 넌좀 빠져라"
오분만
22/10/13 14:09
수정 아이콘
만들어보는거까진 상관없는데 많이 해보기라도 하면 괜찮을거같긴한데 그것도 아닐거같다는게..
엔타이어
22/10/13 14:10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연애 전문가입니다.
문문문무
22/10/13 14:14
수정 아이콘
롤 전문가입니다.
T1이 롤드컵우승합니다.
포프의대모험
22/10/13 14:15
수정 아이콘
내가 야스전문가라니
은때까치
22/10/13 14:19
수정 아이콘
이거 인벤 기사 제목이 오해하기 너무 좋게 쓰인거 같은데요. 심지어 답변한 김규철씨 본인은 게임업계에 30년 종사한 누가봐도 전문가 맞습니다.
이빨곰
22/10/13 14:19
수정 아이콘
X문가라는 좋은 단어가 있죠
카마인
22/10/13 14:23
수정 아이콘
항문가요?
22/10/13 14:20
수정 아이콘
뭐 워딩 자체는 틀린 말이 아니죠. 게임 개발자가 아니어도 게임 산업에서 주요한 심사직을 맡을 수 있고, 직무별 경험도에 따라 전문가로 충분히 통용될 수 있죠. 스포츠 리그를 운영하는 협회나 조직들도 선출로만 구성된 것이 아닌 것 처럼요.
라 레알
22/10/13 14:22
수정 아이콘
게임 제작, 게임 플레이, 게임 심의, 게임 유통, 게임 해설 등등 게임과 관련되어 나올 수 있는 전문분야는 많죠. 깔 거리 많아 보이는데 괜히 단어에 꽂혀서 이상한 이야기 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똥진국
22/10/13 14:29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급똥 전문가입니다
갑자기 똥이 마려우면 빨리 가까운 화장실로 달려가서 똥을 싸셔야 합니다
소독용 에탄올
22/10/13 14:31
수정 아이콘
의료, 법을 다루는 전문가중에는 의료계와 법조계에서 활동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상당수 정책관련 전문가들이 여기 해당하죠.

문화상품에 대한 전문가들이 해당 문화상품을 생산하고 판매해본 경력이 있어야 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게임을 만들어보지 않은 게임전문가는 얼마든지 있을수 있습니다.
심의/평가는 컨텐츠에 대한 사회의 요구사항을 반영하는 정책영역이지 게임산업 영역이 아니니까요.....

업계 종사자나 게임구매소비자 대표가 포함될 수는 있고, 후자는 포함되는것이 좋은 일입니다만 해당하는 사람들로만 구성되어야 하는건 아니죠.
22/10/13 19:19
수정 아이콘
아무리 그래도 명색이 정부기관이라는 부처가 해당 분야에 관심이 하나도 없거나 적대적인 인원들로만 구성될 이유도 없죠.
소독용 에탄올
22/10/13 22:07
수정 아이콘
업계종사자가 규제기관에 들어가는것도 부정적인 일이라서요.

다른 문화컨텐츠 전문가를 대신 넣은듯 한 모양새라고 봅니다......
얼우고싶다
22/10/13 14:31
수정 아이콘
기사 제목만 보고는 기사 내용을 알 수가 없죠 사람들이 클릭을 해줘야 되니 자극적으로 뽑는거죠
물론 업무와 기관에 대한 논란이 있을 순 있어도 저 타이틀만으로 보고 깔만한 내용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꼭 해당 상품에 대한 엔지니어내지 창작자가 아니더라도 기존의 가이드라인을 보면서 평가하고 등급을 매길 수는 있으니까요
이런 글은 기사 본문이나 링크도 같이 첨부해주시는게 좋지 않은가 하는 생각입니다
22/10/13 14:34
수정 아이콘
당장 영화평론가만해도 영화제작한건 아니니깐요
츠라빈스카야
22/10/13 14:45
수정 아이콘
뭐...김실장도 게임을 만들진 않았지만 누구나 전문가라고 인정하긴 하죠.
하지만 최소한 그쪽 분야에 깊은 조예가 있어야 하는 건 맞는데, 지금 저 기사의 위원회 위원 중 그런 분이 몇인가...가 문제.
The)UnderTaker
22/10/13 14:52
수정 아이콘
본문 댓글논리는 제대로된 반박이 전혀 아니죠
NewJeans
22/10/13 15:02
수정 아이콘
오 법을 전공하지 않은 헌법전문가 1명이 생각나는 이야기네요.
MissNothing
22/10/13 15:05
수정 아이콘
다른 부분은 이런말 꺼내지도 못할텐데 유독 게임은 크크크
냠냠주세오
22/10/13 15:15
수정 아이콘
저분 이야기 하는게 아니라 만드는 것보다 많이 접해보고 고민해보면서 그 분야에 이해가 있어야 하는데...
일반 유저들보다 이해도도 떨어지는데 심지어 많이 접하지도 않는걸 당당하게 말하면서
전문가라고 밥벌어 먹는 사람들이 특히나 게임관련쪽에 많은거 같아요.
12년째도피중
22/10/13 15:36
수정 아이콘
아 그런데 이게 블루 아카이브 관련이었어요?
햐. 요새 인터넷 돌아가는 모양새들이... 틈만나면 지붕가리키고 자리 까네.
벌점받는사람바보
22/10/13 15:43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전문가들은 맞나요? 크크크
톰슨가젤연탄구이
22/10/13 16:12
수정 아이콘
게임에 대한 이해는 고사하고 적대적인 인간들을 박아놨으니..
Euthanasia
22/10/13 16:30
수정 아이콘
김정민 해설위원도 스스로 게임 전문가라고 소개하는데 딱히 틀린 말은 아닌 것 같습니다.
폰지사기
22/10/13 17:00
수정 아이콘
많이 해보고 다양한 장르를 접했다면 전문가라고 생각하는데
저 사람이 해당할 것 같지는 않네요
작은대바구니만두
22/10/13 17:04
수정 아이콘
저 반론에 대한 반례로 군사전문가가 있죠
군대 나왔다고 군사전문가는 아니고, 군대 안나왔다고 군사전문가가 될 수 없는 것도 아니고.
게임을 만들어보는게 필수는 아니지만 그렇다면 그에 준하는 경험이 필요하긴 하겠죠.
22/10/13 17:18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주식전문가입니다.
제가 추천하는거 안심하고 넣으시면 됩니다~~
22/10/13 17:25
수정 아이콘
교육부장관 중에 교사 경력 있는 사람이 더 적을텐데
깜디아
22/10/13 17:47
수정 아이콘
게임 제작이랑 게임 플레이로 따로 나누면 좋을 거 같은데....
신성로마제국
22/10/13 18:16
수정 아이콘
뭐...김성회도 개발자 출신이긴 해도 커리어가 빈약하고(본인도 인정하는 사실)
김실장도 개발자 출신은 아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4715 [기타] 토마토 수프 테러당한 반 고흐의 작품 해바라기... [21] 우주전쟁11771 22/10/15 11771
464714 [게임] AI가 그린 SOO장님 [3] 별가느게10428 22/10/15 10428
464713 [기타] 수리남으로 떠난 곽튜브 근황.jpg [11] insane10971 22/10/14 10971
464711 [연예인] 가짜 홍콩말 1타강사.swf [13] Starlord11132 22/10/14 11132
464710 [유머] 중세 왕의 삶도 힘든 이유 [41] 퍼블레인14179 22/10/14 14179
464709 [유머] 좋은 대학에 가야하는 이유 [16] 길갈12446 22/10/14 12446
464708 [유머] 님엄삼 [10] 10131 22/10/14 10131
464707 [게임] [EZ2AC] yak_won 스페셜 [7] 손금불산입5376 22/10/14 5376
464706 [게임] [로스트아크] 플레체 티저 [4] 혈관6744 22/10/14 6744
464705 [유머] 이렇게 운전이 되는군요?! [10] 하얀샤프란8834 22/10/14 8834
464704 [기타] 대인배 화백 [6] 꿀깅이8897 22/10/14 8897
464703 [게임] 드디어 발매된 기거 스타일 게임 scorn의 오픈크리틱점수 [6] valewalker7555 22/10/14 7555
464702 [LOL] A조 경기 끝나고 LPL관계자들의 우승팀 예상 [11] Avicii8198 22/10/14 8198
464701 [유머] 본인이 자초한 트램펄린 대형사고..gif [26] Starlord14334 22/10/14 14334
464700 [유머] 갑자기 급발진하는 기안84.jpg [19] 캬라13970 22/10/14 13970
464699 [기타] 이정도면 선녀인 포켓몬 피자 [12] 라스10860 22/10/14 10860
464698 [기타] 북한 : 오늘은 내가 쏜다! [40] 카루오스14241 22/10/14 14241
464697 [유머] 대종상 근황 [47] 마음에평화를12267 22/10/14 12267
464696 [기타] 밑글보고 모아본 포켓몬 피자후기 [11] Lord Be Goja10378 22/10/14 10378
464695 [기타] 갈치 뼈 발라서 나온다는 제주도 식당.jpg [33] insane11442 22/10/14 11442
464694 [유머] 회사의 즐거운 추억 [11] 인간흑인대머리남캐8477 22/10/14 8477
464693 [유머] 과거에 강자만 운전면허 딸 수 있었던 이유 [31] 인간흑인대머리남캐11849 22/10/14 11849
464692 [기타] 포켓몬 피자 후기 [8] 똥진국9396 22/10/14 939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