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9/01 19:09:30
Name 하루빨리
출처 뭐랭하맨 유투브 채널
Link #2 https://youtube.com/shorts/u3RibfVvpV8?feature=share
Subject [유머] 461450글 관련) 기여는 제주어입니다.


여기서 긴가? 는 기여의 의문문 형태, 즉. 표준어로 치면 그래+니은가 가 붙은 그런가? 죠. 즉, 기여 = 그래. 긴가? = 그런가? 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옥동이
22/09/01 19:10
수정 아이콘
전라도 인줄
오곡물티슈
22/09/01 19:13
수정 아이콘
기-이? = 그래? 이거였던가... 가물가물하네
고란고란
22/09/01 19:17
수정 아이콘
충청도에서도 쓰는 말인데요...
하루빨리
22/09/01 19:21
수정 아이콘
정확히는 충청도 방언이 아니라 충청도에서도 남부, 옥천쪽에서 쓰이는 진짜 로컬한 단어입니다. 그래서 네이버 국어사전에서는 기여를 부사어로서의 경남 방언과 감탄사로서의 제주 방어으로만 취급해주고요. 충청도 방언이라고 소개하진 않습니다.

제주어랑 쓰임이 비슷한걸로 봐선 완전 옛 언어를 저 지역만 계속 써온거라 추측됩니다.

http://www.d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6541
고란고란
22/09/01 19:22
수정 아이콘
그런가요.... 충남 태안 친가 가면 대화할 때 맨날 듣는 말인데.... 링크해주신 내용과 쓰임이 일치합니다.
하루빨리
22/09/01 19:24
수정 아이콘
요즘은 방언 쓰는게 어색하지도 않고 오히러 장려하고 있으니까요. (특히나 제주어 같은 경우는 요즘은 초등학생들이 성인들보다 잘 구사하더군요. 학교에서 배워서요. 일부러 쓰진 않지만 제주어 써보라고 하면 잘합니다.)

더군다나 기여는 쓰기가 편하잖아요. 앞으로도 계속 쓰일 방언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고란고란
22/09/01 19:26
수정 아이콘
이게 뭔가 별거 아닌걸 제가 계속 반박?하게 되는데... 제 친가는 태안 시내에서도 한참 들어가야 있는 깡촌입니다. 제 아버지 세대에게서만 들어봐서... 젊은 세대도 쓰는 줄은 전혀 몰랐어요.
우울한구름
22/09/01 21:20
수정 아이콘
서태안 쪽에서 옛날부터 많이 썼어요. 그쪽 출신입니다.
카르페디엠
22/09/01 19:53
수정 아이콘
서산쪽 출신인데 그냥 서태안쪽에서 옛날부터 완전 흔한말 맞아요.
맨날 긴가? 기여? 쓰다가 대학다니면서 놀림 당하던 기억도 선명함.
살려야한다
22/09/01 19:32
수정 아이콘
아산인데 많이 씁니다
Janzisuka
22/09/01 19:35
수정 아이콘
충남 홍성이 본적인데...저희 친가들 전부 쓰는..!!
Equalright
22/09/01 19:36
수정 아이콘
어 저 논산인데 엄청씁니다..
남부면 맞긴하네요
NT_rANDom
22/09/01 20:33
수정 아이콘
대전인데
q.기여?
a. 겨.
엄청쓰는데요
Foxwhite
22/09/01 20:47
수정 아이콘
저도 대전입니다. 겨는 많이 써요 크크크
Dear Again
22/09/01 19:22
수정 아이콘
긴가민가하네요
캐러거
22/09/01 19:23
수정 아이콘
충청도에서도 씁니다. 겨(기여) 아녀 참고로 해안쪽(충남 보령)입니다.
하루빨리
22/09/01 19:25
수정 아이콘
위에 댓글 달았듯이 원래 충청에선 완전 로컬한 단어입니다. 요즘 점점 쓰임새가 넓어지는거 같네요.
캐러거
22/09/01 19:29
수정 아이콘
충북에서도 남부지역에서만 쓰는 진짜 로컬한 말이라는거에 선뜻 그렇구나가 라고 하기엔
충청도에서는 전반적으로 다 쓰는 것 같아서 하는 말입니다.
외가 충청 보령, 홍성, 서천 이쪽도 다쓰고 천안 청주 등 북부 도시지역에서도 다 쓰는 말인데요
하루빨리
22/09/01 19: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ko.dict.naver.com/#/search?query=기여

네이버 국어사전에서도 오픈사전에 등재되어 있고, 그럼에도 충남내륙 방언이라 콕 집어 적혀 있습니다.

위에 기사 기고문과 국어사전을 참고하면 아무리 제가 충청도 사람은 아니라지만 그래도 제 의견이 더 정확한거 같습니다만....

요즘에야 이동수단 발달로 생활권도 넓어지고 해서 충남 방언이라고 충북에서 안들릴 리 없다고 보고요. 그렇다고 충청도 전체 방언이라고 하기엔 서울에서 기여 쓴다고 서울 방언이라고 하는 수준인거 아닌가 조심스럽게 이야기 해봅니다.
캐러거
22/09/01 19:45
수정 아이콘
아니 할아버지 할머니들 하시는 사투리들 들으면서 자랐는데 뭔 생활권이 넓어지고 말고가 있을까요.
그리고 지금 윗 댓글 쓰신분들만 해도 충청도 곳곳에서 사용한다고 경험을 말들 하시는데
네이티브들이 더 정확할까요 아니면 사전과 신문에서 본 것만으로 확신하는 글쓴 분께서 더 정확할까요.
하루빨리
22/09/01 19: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지금 댓글 쓰시는 분들 다 충남 이야기 하시지 충북이야긴 안하시거든요.

위에부터 충남 태안, 아산, 홍성, 논산, 보령 여기가 충남이지 충북 아니잖아요.
캐러거
22/09/01 19:50
수정 아이콘
충북 내륙의 옥천 지방서 로컬하게 쓰이는 말이라고 하셔서 생활권이 다른 충남 남부해안지역 북부해안지역도 통용되는 말이라고 반박드린겁니다.
하루빨리
22/09/01 19: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정확하게 '충청도에서도 남부, 옥천' 이렇게 적었잖아요. 충청도 남부와 옥천 지방에서 쓰인다고요. 근거는 기사 내용이고요. 왜 잘못 읽어놓으시고 제가 틀렸다고 자꾸 이야기 하시는지...

뭐 다시 기사 보니 충북 남부 지방이라고 적혀 있네요. 거기 옥천이 포함이고요. 이러면 캐러거님의 말씀도 맞네요.
캐러거
22/09/01 19:54
수정 아이콘
기사로 보여주신거는 충청도 남부지역에서 사용한다고 보내주신건데 아산,태안,홍성을 충청도를 전체로봤을 때 남부지방이라고 칭하진 않죠.
서로 생각하는 충청도 남부에 대한 인식이 달랐던 것 같네요.
댓글 확 따지듯이 달아서 미안합니다.
하루빨리
22/09/01 19: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캐러거 님// 제가 약간 충청도에 대한 이해가 떨어졌네요. 충청 남북도가 동서로 갈라졌단건 머리론 이해했었는데 그래도 글로 쓰니깐 진짜 남 북 지방이라 착각하며 적었습니다. 저도 죄송합니다.
Janzisuka
22/09/01 19:35
수정 아이콘
저희는 충남 홍성이 본적이라 친가들은 다 쓰는듯요
깻잎튀김
22/09/01 19:23
수정 아이콘
청주 후배 만나서 충청도 말 해보라 하면 그냥 튀어나오는게 기여였는데...
jjohny=쿠마
22/09/01 19:24
수정 아이콘
부모님 충남 천안/공주 출신이시고, 친척 모임 가면 자주 들었습니다.
김성수
22/09/01 19:25
수정 아이콘
기다 아니다의 그건가요? 그거라면 서울에서도 많이 들어 봤습니다.
하루빨리
22/09/01 19: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주도 사람이면 가장 흔하게 쓰는 방언이라서요. 젊은이들이 많이 쓰죠

아... 기다 아니다의 그건 아닙니다. 기여는 그래 라는 의미의 감탄사입니다.
장헌이도
22/09/01 19:39
수정 아이콘
어원적으로는 "기다 = 그 + 이다"이고 "기여 = 그 + 이여(감탄조사)"입니다. 제주 방언은 전라 방언과 유사한 부분이 많습니다. 윗분들 말씀으로는 충남 전역에서 쓰인다고 하니 아마 전라도를 중심으로 남북으로 퍼져나간 표현이 아닐까 싶네요.
김성수
22/09/01 20:19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흐흐
콘칩콘치즈
22/09/01 19:25
수정 아이콘
충남 예산 씁니다
삭삭삭삭삭
22/09/01 19:29
수정 아이콘
겨? - 부모님 세대가 많이 씀
기야? - 젊은 사람들이 많이 씀
사투리 거의 없다고 말하는 대전에서도 많이 쓰는 말입니다
한화거너스
22/09/01 20:03
수정 아이콘
대전 출신입니다. 어려서부터 입에 달고 살았고 온 친척 분들이 다 썼습니다.
하루빨리
22/09/01 20:04
수정 아이콘
다 좋은데 왜 제주도 지방 인증은 하나 없고 다 충청도 지방 인증인가요 ㅠ.ㅠ
포프의대모험
22/09/01 20:12
수정 아이콘
기여 <-> 아니여
전라도사투리인줄
김뮤즈
22/09/01 20:25
수정 아이콘
제주도는 약간 느낌이 달라요
기? 기수꽈? 기~ 이런식으로 쓰더라구요
시댁이 제주도인데 저는 기여 쓰는건 진짜 한번도 못들어봤고
남편은 기여 도 쓰긴 하는데 빈도가 떨어지긴 한대요
충청도쪽에서 기여 쓰는건 많이 들어봤습니다..
카페알파
22/09/01 20:40
수정 아이콘
청주에서는 들어봤는데, 충주/제천에서는 못 들어본 듯 하네요.
Dark Swarm
22/09/01 20:54
수정 아이콘
제 주위 경험으로 보기로는 청주 대전 쪽이 여~ 발음이 주로 쓰이고 충주는 유~발음을 주로 쓰죠. 제천이야 충청도라기엔 강원도 쪽 사투리가 더 강세인 지역이고
카페알파
22/09/02 00:05
수정 아이콘
굳이 이야기하자면 충주 쪽도 '~유' 는 잘 안 씁니다. 근처 시골 좀 들어가거나 아주 옛날 분이면 모를까...... 대신 '~여' 를 쓰기는 쓰는데 청주 쪽과는 좀 다르게 '~야' 가 들어갈 자리에 쓰죠. 물론 청주 쪽도 비슷하게 쓰이기도 합니다만 발음을 짧게 줄이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네 거야? (표준어)
니 거여? (충주)
니껴? (청주)

이런 식으로요.
이탐화
22/09/01 20:44
수정 아이콘
충청도 북부에서 많이 씁니다..
락샤사
22/09/01 21:32
수정 아이콘
겨, 아녀 이거 태안은 확실히 씁니다 크크
우울한구름
22/09/01 21:44
수정 아이콘
이게 이렇게 반응이 오는게, 저게 저를 포함해 주변의 이쪽 출신들이 생각하는 충청도 사투리의 대표격이라서가 아닐까싶습니다. 충청도는 사투리가 거의 없는 곳이 많은데 저건 쓰거든요. 누가 충청도 사투리 물어봐도 제일 많이 언급하고요. 사실 다른건 아예 생각이 안 납니다. 그런데 충청도 사투리가 아니라고 하니 읭? 하게 되서요.
22/09/01 21:59
수정 아이콘
저도 왜 알고 있지 했는데 할아버지가 홍성 출신이시네요.
MyBloodyMary
22/09/01 22:28
수정 아이콘
제주어든 아니든 관계없이 충남 방언 맞습니다.
하루빨리
22/09/01 23:18
수정 아이콘
아니라고 한 적 없습니다.
22/09/01 23:20
수정 아이콘
충청도 사투리 아녀?
겨~ 매일 듣구 사는디 그걸 아니라구 하믄 되간?
12년째도피중
22/09/02 01:24
수정 아이콘
둘 다 쓰는데 용법이 좀 다른 것 뿐입니다. 한정짓지 말아요. 우리.
(제주사람. 천안 일대 군무원 아저씨들과 2년여 복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1583 [LOL] 2019~2022 유럽 월즈 진출팀 정리 [13] Leeka6568 22/09/03 6568
461582 [게임] (포켓몬) 동료가 되라! [9] 요그사론8173 22/09/03 8173
461581 [게임] 드디어 칼을 뽑은 닌텐도 [18] 코우사카 호노카10745 22/09/03 10745
461580 [유머] 올드 게이머들이 믿기 싫어하는 사실 [22] 동굴곰13541 22/09/03 13541
461579 [LOL] 프로 4명이 칼바람 하면 얼마나 양학할까? [25] 이브이10250 22/09/03 10250
461578 [텍스트] 리헨즈 신지드 보고 감명받은 젠지 사장님.jpg [7] insane10859 22/09/03 10859
461577 [기타] 휘발류가 아닌 자신의 칼로리를 태워서 달리는 오토바이.jpg [17] 물맛이좋아요12218 22/09/03 12218
461576 [유머] 불륜영화 평점 10선.jpg [18] 삭제됨10106 22/09/03 10106
461575 [유머] 자동차 서열 계급도.jpg [66] 김치찌개11987 22/09/03 11987
461574 [유머] 한국 30대 초반 남자 평균 맞다 vs 아니다 말나온다는 조건 [54] 김치찌개11687 22/09/03 11687
461572 [유머] 국내에서 신드롬을 일으켰던 연예인들.jpg [12] 김치찌개9664 22/09/03 9664
461571 [유머] 포켓몬도 영어를 공부해야하는 이유 [6] AeonBlast7532 22/09/03 7532
461570 [유머] 대하드라마 반지제왕 [21] 길갈10889 22/09/02 10889
461569 [LOL] 22 서머 결승전 3세트 마지막 한타 오프더레코드 [16] Leeka9854 22/09/02 9854
461568 [유머] 키움증권 광고 근황 [16] 맥스훼인11285 22/09/02 11285
461567 [LOL] 진짜 빅게임 헌터 [15] Leeka10735 22/09/02 10735
461566 [LOL] RNG가 역사적인 기록 달성까지 단 한경기 남았습니다 [28] Leeka9083 22/09/02 9083
461565 [게임] 계속 터지는 우마무스메 근황 [17] 대장햄토리10389 22/09/02 10389
461564 [LOL] 슬슬 고향으로 돌아갈 기미가 보이는 그 남자 [5] 아슬릿10005 22/09/02 10005
461563 [기타] 스포티파이,멜론 꺼져라! 의문의 한국 1위 인기 음악앱 [3] Lord Be Goja9326 22/09/02 9326
461562 [LOL] AI 승부예측 근황 [5] Leeka6905 22/09/02 6905
461560 [게임] 유저 적대적 운영의 끝은 어디인가 [18] Seed9654 22/09/02 9654
461559 [기타] [원시기술] 일반 시냇물 모래로 철광석 제련하기.ytb [3] VictoryFood7945 22/09/02 794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