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5/28 15:34:47
Name 오곡물티슈
File #1 웹_캡처_28_5_2022_153210_www.fmkorea.com.jpeg (514.2 KB), Download : 13
File #2 웹_캡처_28_5_2022_15347_www.instiz.net.jpeg (239.2 KB), Download : 4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fwgPJa8P26Q&ab_channel=SBS%EB%89%B4%EC%8A%A4
Subject [기타] 코로나가 끝났으니 넌 이제 필요없어




차라리 독일처럼 빡세게 애완동물등록제 실시하는게 맞는듯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로각좁
22/05/28 15:37
수정 아이콘
하...-_-;;
22/05/28 15:37
수정 아이콘
나중에 환생해서 똑같이 버림 받아야 합니다 아니 늙어서 자식들에게 유기당하길
매버릭
22/05/28 15:38
수정 아이콘
제목선정 잘하시네요 크크크크크
이재빠
22/05/28 15:41
수정 아이콘
동물보호협회는 다른거말고 유기문제부터 해결해야
김치맨
22/05/28 16:16
수정 아이콘
동물보호단체는 민간단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기문제에 가장 힘쓰고 있긴 하죠
22/05/28 15: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유기동물 안락사 담당하시다가
스스로 생을 마감하신 수의사분 생각나네요

세상에 업보라는 게 존재한다면
반려동물 유기하는 인간들은
부디 큰 벌을 받길 바래봅니다
22/05/28 15:41
수정 아이콘
동물을 좋아하지도 않는데 호기심으로 키웠다가 버리는거죠
새벽목장
22/05/28 15:43
수정 아이콘
아직도 등록제가 없다는게 이해가..
닉네임을바꾸다
22/05/28 15:53
수정 아이콘
등록제자체는 있을걸요...칩박거나 뭐 하여튼...
그러니 뉴스에서도 보완이라 나온거죠...없는걸 보완할 순 없잖아요...
새벽목장
22/05/28 16:22
수정 아이콘
아 그러네요
허가제로 강화가 아직 안됐다는걸 말했어야 맞겠네요
패스파인더
22/05/28 15:43
수정 아이콘
진지하게 자격증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2/05/28 15:47
수정 아이콘
대충 버려진 비죤투쨜
복타르
22/05/28 15:47
수정 아이콘
동물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동물을 버리고,
동물을 싫어하는 사람들이 동물을 괴롭히고
...
피지알맨
22/05/28 15: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시골에 사는데 시골 대부분은 개 키우다가(집지키는용) 개장수에게 파는데..
다른세상인가 싶기도 하고 등록제라니 흠흠..

중학교때 집에서 기르던 개(일본산진돗개) 개장수에게 팔려가는 뒷모습 보고 안타까웠던 기억이..
22/05/28 15:52
수정 아이콘
에라이 못된 인간들
어서오고
22/05/28 15:54
수정 아이콘
생명이 존엄하기 때문에 등록제를 해야한다고는 별로 생각하지 않구요. 다만 어차피 애완동물을 버리면 유기 애완동물 처리하는데 비용이 들기 때문에 사는 사람이 부담하는 것이 맞죠. 전체적으로 세금 많이 물어서 훨씬 비싸져야한다고 봄.
여기에있어
22/05/29 04:29
수정 아이콘
등록을 안하면 어떻게 세금을 걷죠?
어서오고
22/05/29 04:54
수정 아이콘
판매점에서 팔 때 세금을 포함한 가격으로 팔면 되죠. 그렇게 하는 나라가 몇 있습니다.
여기에있어
22/05/29 07:28
수정 아이콘
제가 동물을 키워보지 않아서 잘 모르는데, 새끼 낳았으니 나눠주는 경로로 들이는 경우만 생각했네요...
생명 존엄을 생각하면 판매하고 세금매기는게 더 비참할 것 같습니다. 사람들도 다 주민등록하는데 동물 등록한다고 존엄이 깨질것까지야.
어서오고
22/05/29 07:37
수정 아이콘
네 저런 경우 보통 개인간의 매매는 엄격하게 막습니다. 그리고 반대로 이해하신거 같은데요. 존엄하지 않다는 뜻입니다.
여기에있어
22/05/29 08:49
수정 아이콘
아 제가 오독했군요. 죄송합니다.
요기요
22/05/28 15:54
수정 아이콘
조깐들..천벌 받으리라
22/05/28 15:58
수정 아이콘
버릴꺼면 사지를마..키우지마
This-Plus
22/05/28 16:14
수정 아이콘
이런 게 소시오패스지...
22/05/28 16:15
수정 아이콘
허가제로 바껴야지..
Pinocchio
22/05/28 16:28
수정 아이콘
반려동물 키우는것도 면허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제주삼다수
22/05/28 16:47
수정 아이콘
동물 처분은 최소한 폐차정도로는 비싸고 번거로워야죠. 쉽게 버리고 그 뒷감당은 사회 전체가 하는게 정상은 아님
고물장수
22/05/28 17:27
수정 아이콘
등록제랑 입마개랑 법은 있는데 단속도 없고 단속할 방법도 없고

이런 분야에는 엄벌주의라도 하면 좋겠어요.
메가카
22/05/28 18:31
수정 아이콘
생각없이 동물키우는 사람이 많죠. 어처구니 없는 사람들이 정말 많아요
감전주의
22/05/28 18:38
수정 아이콘
식구라고 하면서 잘만 버리네요
CP Violation
22/05/28 19:12
수정 아이콘
고려장
22/05/28 19:41
수정 아이콘
원래 88%는 끝까지 책임안져요.
PolarBear
22/05/28 20:03
수정 아이콘
진짜 나쁜...
터치터치
22/05/28 23:44
수정 아이콘
고현준 화이팅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0763 [기타] 사전적으로 아무 문제없는 뜻임 [11] Lord Be Goja9377 22/08/22 9377
458909 [기타] 폴란드 근현대사 애니메이션 [7] 그10번5166 22/07/27 5166
458478 [기타] 유럽 날씨 근황 업데이트 [62] 맥스훼인10941 22/07/20 10941
457768 [기타] 아베 사망 각 국가 정상들 트윗 [19] 오곡물티슈8741 22/07/09 8741
457747 [기타] 뭐 독일놈들이 마우스딸칵질로 고객 차 옵션을 끄고 킨다고?! [14] Lord Be Goja8878 22/07/08 8878
456864 [기타] 중국에 이어 독일에서도 테슬라 금지구역 설정 [36] Lord Be Goja10103 22/06/25 10103
456383 [기타] 독일 신형전차 KF51 팬서 [34] 산밑의왕7568 22/06/18 7568
456085 [기타] 조금 전 우크라이나 대변인이 공개한 중화기 필요 수량 [54] 아롱이다롱이10444 22/06/13 10444
455895 [기타] 태국 잠수함 근황... [13] 판을흔들어라9016 22/06/10 9016
455884 [기타] 2만 여명의 라이더들이 모인 이유 [33] TWICE쯔위7886 22/06/10 7886
455269 [기타] 좀전에 폴란드 국방장관이 올린 트위터글 [39] 아롱이다롱이9525 22/05/31 9525
455089 [기타] 코로나가 끝났으니 넌 이제 필요없어 [35] 오곡물티슈8639 22/05/28 8639
454614 [기타] 주식) 어제 하락이 원숭이 때문이라고? [3] 니시무라 호노카6257 22/05/21 6257
454299 [기타] 애플,아마존,구글,마소 1년매출 비교 [11] Heretic7487 22/05/15 7487
453833 [기타] 임신 공격의 위험성 [7] 니시무라 호노카10362 22/05/08 10362
453015 [기타] 자동차 유튜브 사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기차 무게 논란 [42] 첫수10287 22/04/24 10287
452182 [기타] 지구에 인구 더 늘어도 충분할 것 같은데?!... [28] 우주전쟁9632 22/04/12 9632
450934 [기타] 한국남자를 속이는 독일여자.jpg [34] 일사칠사백사14183 22/03/25 14183
450782 [기타] 팀플레이에서 노배럭 더블 커맨드, 사이언스 퍼실리티 테크의 결말 [6] 판을흔들어라5525 22/03/23 5525
450229 [기타] 진정한 용기 [5] kolori5864 22/03/15 5864
449729 [기타] 이때를 기다렸다?? 독일 정계에서 징병제 재도입 논의 시작 [36] 아롱이다롱이11195 22/03/07 11195
449558 [기타] "독일인으로써 여러분들에게 확실히 하고 싶은 점이 있습니다" [28] 아롱이다롱이10002 22/03/04 10002
449227 [기타] [오피셜] 독일, 군비증강 공식 선언 [54] 아롱이다롱이10311 22/02/27 103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