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5/10 14:44:00
Name Leeka
출처 코라이즌
Subject [LOL] MSI 핑에 대한 임팩트의 인터뷰


요약하면..

중국하고 할때만 35 고정이였으면 좋겠다고 하는.. 

(저는 전부 35로 고정되는게 차라리 적응이 편하지 않나 했는데.. 왔다갔다 하더라도 평소엔 0핑인게 더 좋은거 같네요. 연습해본 선수들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새벽하늘
22/05/10 14:46
수정 아이콘
그냥 중국팀만 35핑으로 하면 되는데 여러팀이 피해보고 있어요. 축구에서 축구장잔디 안좋은 팀이 원정온다고 일부러 최고급잔디를 망치고 겜하는거나 마찬가지에요. 온라인참가 허용해준거만으로도 충분히 배려해준건데 뭔짓을 하는건지
스위치 메이커
22/05/10 14:47
수정 아이콘
그냥 말도 안 되는 특혜를 주는 거죠. 본인들이 못 오면 본인들이 50핑에서 게임해야지 왜 애먼 다른 나라 선수들에게 피해를 주는 지...
22/05/10 14:48
수정 아이콘
중국이 예선 탈락하면 35핑 안 해도 되죠?
박민하
22/05/10 14:50
수정 아이콘
'그 나라'
22/05/10 14:51
수정 아이콘
중국 때문에 전부 다 피해보는데 원래는 중국이 온라인으로라도 참여하겠습니다 했으니 혼자 손해 감수하고 했어야 맞는 거죠
League of Legend
22/05/10 14:54
수정 아이콘
핑이 35라고 표기는 되는데 기술문제인지 70수준이라는 인터뷰 같네요
22/05/10 15:35
수정 아이콘
혹시나 표시와 적용이 다른것은? 하는 생각이 든다면 너무 편향된걸까요
League of Legend
22/05/10 15:37
수정 아이콘
그런거라면 라이엇이 책임을 져야겠죠 무효게임 선언을 해서라도..

제가 할 수 있는건 그렇지않기를 바랄뿐입니다..
자두삶아
22/05/10 14:56
수정 아이콘
왜 저번 롤드컵에 베트남팀한테는 이런 혜택 안 줬나 라이었아...
아 중국회사라서?
22/05/10 15: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베트남에서 아이슬란드는 온라인으로도 불가능합니다.

베트남하고 중국이 가깝지가 않아요. 절대 거리가 아니라 숙소와 경기장 거리로 계산하면 부산에서 중국보다도 3배 이상 거리가 나옵니다..
거리만도 3배 이상인데 베트남과 한국의 회선 퀄리티를 생각하면...


의외로 20~21년에 라이엇이 베트남 어떻게든 합류 시키려고 정부랑도 협상하고 전용 전세기부터 해서 오만가지 옵션도 제안하고
자리도 맨날 비워둬서 어떻게든 하려고 했는데 결국 안되서 막판에 불참처리 했던........
승률대폭상승!
22/05/10 15:03
수정 아이콘
전세기 띄워주려고 했는데 베트남정부에서 거부해서...
백수아닙니다
22/05/10 14:59
수정 아이콘
온플릭좌 오늘도 연전연승... 그립습니다...
메가트롤
22/05/10 15:14
수정 아이콘
반박의 여지 없이 역체정
22/05/10 15:47
수정 아이콘
온클릭 선수의 발언의 의미를 잘 생각해봤을 때 이런 식의 옹호는 매우 부적절해 보입니다.
22/05/10 19:58
수정 아이콘
매우 적절한 발언이었죠. 적극적으로 동의합니다.
한량기질
22/05/10 15:00
수정 아이콘
선수들이 전부 입을 모아 불만을 표시하고 있죠. 여기에 오늘 '경기 중 마스크 착용 강제' 이슈까지 터졌더군요.
솔직히 LPL이 우승하면 개인적으로는 최악의 대회로 남을 것 같습니다.
아무리 중국 게임이고 중국 회사라지만 적당히 특혜를 퍼줘야지...

+ LPL 외 다른 팀이 우승하면 좀 낫긴 하겠지만, 계속 이렇게 LPL에만 특혜를 준다면 그냥 관심이 식을 거 같네요.
22/05/10 15:04
수정 아이콘
35핑이 생각보다 변수가 될거같아서 좀 걱정되네요
다레니안
22/05/10 15:07
수정 아이콘
핑이 저러면 아지르, 이렐리아,요네 등 1초 이하의 차이로 슈퍼플레이와 쓰로잉이 오가는 챔프는 절대 못 하죠.
22/05/10 15:08
수정 아이콘
결국 저런 특혜들이 보는재미를 망치는 행위죠.
팬들은 안중에도 없는...
55만루홈런
22/05/10 15:10
수정 아이콘
LPL이 역대급 꿀이죠 이미 35핑 단련되어있고 경기를 어디서하는지 모르지만(숙소에서 하는지 상하이 경기장에서 하는지 모르지만) 본인들이 제일 편안한 곳에서 경기하니.... 관객도 없을거니 긴장감도 없을거고 그냥 lpl최고의 혜택만 받으며 대회하는 크크크크

이번 롤드컵이 미국에서 하는걸로 아는데 만약 계속 봉쇄되면 억지로 한국에서 롤드컵 변경할지도 모릅니다 크크 중국이 참여해야하니깐
반니스텔루이
22/05/10 15:13
수정 아이콘
개판이네.. 선수가 북미섭에서 하는 수준의 핑 수준이라니
데이나 헤르찬
22/05/10 15:14
수정 아이콘
아시안게임도 내년이라는데 이제라도 오지 참 크크크크
절대 손해 안보려고 크크크크크
22/05/10 15:22
수정 아이콘
얼마전에 pgr에서 봤던 것 같은데 오고 싶어도 아예 집에서조차 나올 수가 없다고..
닉네임을바꾸다
22/05/10 15:22
수정 아이콘
뭐 아겜 밀린거와 별도로 지금 중국팀들이 한국오는건 불가능에 가깝긴합니다... 크크
커피소년
22/05/10 15:23
수정 아이콘
35핑이면 좋은 플레이가 나올 수 있는 마지노선 수준인데 이거보다 더 높으면 플레이하면서 죄다 핑탓하는 게 당연한 수준일 정도로 게임 환경 처참할텐데 걱정이네요
감자채볶음
22/05/10 15:24
수정 아이콘
그 나라
제주산정어리
22/05/10 15: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실제 영상을 보니 저 말이 사실이면 기술적으로 넷코드 해결을 못했다는 뜻이 됩니다. 즉 클라이언트에서는 35ms로 보이지만 현실은 그게 아닌... 물론 아무 불만이 없을 수는 없겠으나 9ms to 35ms 대비 70ms over면 확실히 일반인들도 역체감이 확 들거든요. 다시금 찾아보니 중국 당국이 올해 4월 새로운 규제안을 통해 텐센트 해외 VPN 게임 가속기 사업에 제재를 내린 바가 있는데, 롤 클라 자체는 자국 내의 프로그램이라 하더라도 가속기 관련 사업부나 기술부의 인력이 그 사이에 조금이라도 철수했으면 MSI 넷코드 안정성 문제에 일정 부분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겠습니다.
22/05/10 15:32
수정 아이콘
퍼즈 걸리고 이러면 암울하겠는데요
제주산정어리
22/05/10 15:39
수정 아이콘
퍼즈는 그냥 대놓고 양측 다 멈추는 것이니만큼 상관없겠지만, 제 추측이 사실이 되면 중국팀과 게임할 떄는 특히 한타 단계에서 심각한 버벅임, 스케이팅 등의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게 문제겠습니다. 어쩌면 70ms over로 느껴지는 부분도, 중국을 제외한 부산 내 타국끼리 게임할 때는 같은 의미로 오히려 안 느껴지거나 덜 할지도 모릅니다. 그러면 뭐... 한숨만 나오는거죠.
22/05/10 16:20
수정 아이콘
아니 시청자가 암울하다고요 (..........)
제주산정어리
22/05/10 16:24
수정 아이콘
아... 그건 그냥 암울합니다(...)
22/05/10 15:36
수정 아이콘
중국편의 봐서 모두가 핑을 적용받았으면
중국도 경기장 안왔지만 마스크 쓰고해야겠죠?
22/05/10 15:48
수정 아이콘
이렇게 계속 특혜 논란이 불거지고 선수와 팬 양쪽에서 불만이 나오는 상황이면 라이엇에서도 중국을 이번 MSI에서 아예 빼는 것을 포함한 개선 방안을 생각했으면 좋겠습니다.
칰칰폭폭
22/05/10 15:51
수정 아이콘
역체정은 온플릭입니다.
백수아닙니다
22/05/10 16:04
수정 아이콘
반박불가
22/05/10 16:09
수정 아이콘
어쩔수 없지.. 하다가도 평소에 보기힘든 이상한 플레이가 나온다?
빡칠거같습니다..
22/05/10 16:12
수정 아이콘
그냥 꺼지라고 하고 싶네요. 중국팀 없으면 뭐 어때서요.
소믈리에
22/05/10 16:25
수정 아이콘
핑이 민감한게 북미섭 100-150핑에서 하다가

한국섭 오픈해서 10핑에서 하니까

Cs가 안먹어지던....

초반에 적응하느라 고생 좀 했습니다

원래 못먹는거 아니냐구요? 그땐 어렸다구요ㅜㅜ
22/05/10 16:36
수정 아이콘
하루만에 폭삭 늙으셨군요?
썬업주세요
22/05/10 16:48
수정 아이콘
어리다고 다 잘먹으면! 예?
AaronJudge99
22/05/10 16:47
수정 아이콘
진짜 중국팀 특혜만 계속 받네요
홈어드밴티지라고는 없고 디스어드밴티지만 잔뜩
너무합니다..
22/05/10 17:09
수정 아이콘
결국 흥행과 참여의 기회에 대한 기준을 라이엇이 스스로 박살냈다고 봅니다.
만약 T1이 결승 진출 후 선수 1명이 아파서 '부산에 못 간다, 숙소에서는 진행할 수 있다' 라고 한다면 부전패처리를 시킬 것인가 결승전 진행을 위해 이 부분도 혜택을 줄 것인가 또 고민해야겠죠.
정말로 대회의 흥행을 위한다면 결승없는 우승보다 팀이 편한대로 해주고 진행하는게 맞잖아요?

라이엇이 준비된 대회를 위해 어디까지 봐줄 수 있는지 모르겠는데 다른 참여 팀들이 뻣뻣하게 굴면 패널티없이 편의 봐줄진 모르겠네요.
하프늄
22/05/10 18:10
수정 아이콘
개최는 한국이 하는데 가장 큰 혜택은 중국이 보고 있는 크크크
아우구스투스
22/05/11 08:40
수정 아이콘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59518 [LOL] 더샤이 중국 인기 간접 체험 [17] Leeka9203 22/08/05 9203
459512 [LOL] 수상할 정도로 쉬운 중국어 문제 [14] 쎌라비6926 22/08/05 6926
458569 [LOL] LOL 파생게임 매출 비교 [12] Lord Be Goja7103 22/07/21 7103
458286 [LOL] [LPL] xxx차이 때문에 짐 [20] 새벽하늘6742 22/07/16 6742
455681 [LOL] 웨이보 FAW 아우디 게이밍 [2] 김연아3404 22/06/07 3404
455249 [LOL] 최근 중국과의 다전제 밴픽 [33] Leeka6433 22/05/31 6433
455230 [LOL] RNG 우승 이후 중국팬들의 반응 [50] EpicSide8569 22/05/30 8569
454384 [LOL] 미스틱 vs 칸 사진을 본 중국팬들 반응.jpg [6] insane6189 22/05/17 6189
454192 [LOL] 옛날이 좋았던 이유 [12] roqur5416 22/05/14 5416
454158 [LOL] MSI재경기 판정에 중국 선수들 반응 [49] lux8318 22/05/13 8318
453952 [LOL] MSI 핑에 대한 임팩트의 인터뷰 [45] Leeka6852 22/05/10 6852
453925 [LOL] 한국 서버 도전을 끝마친 TF 블레이드 [11] 반니스텔루이6582 22/05/10 6582
453528 [LOL] [루머] 3배수로 압축된 중국 LOL 국가대표 로스터 [24] EpicSide5392 22/05/03 5392
452234 [LOL] 이름을 빼앗긴 프로게이머 [18] roqur5352 22/04/13 5352
452162 [LOL] [LCK]中게임계 "페이커에 연봉 246억원 줘도 이득" [53] 7625 22/04/12 7625
451757 [LOL] [루머] LOL 중국 국가대표팀은 합숙과 트라이아웃을 통해 뽑는다 [41] EpicSide4814 22/04/05 4814
451685 [LOL] [루머] LPL은 MSI에 불참 할 수도 있다 [61] EpicSide7187 22/04/04 7187
450652 [LOL] 롤 매니저 베타버전 Overall [13] Leeka7167 22/03/21 7167
450547 [LOL] 도인비 " 너구리가 lpl 은 안온다고 본인이 직접 말했다, 담원도 못갈것 " [41] 아롱이다롱이6632 22/03/20 6632
450424 [LOL] 솔랭 역대 최고 점수 갱신 [20] Rain#110172 22/03/18 10172
450307 [LOL] 중국 언론, 한국에 코로나 폭증해서 msi 개최 포기해야한다??? [28] 마포구보안관7460 22/03/16 7460
449990 [LOL] 페이커 중국 프로 트롤 소식에 앰비션 반응 [5] 스위치 메이커5582 22/03/11 5582
449918 [LOL] 중국인 한섭 논란마다 떠오르는 사람 [16] 푸크린7445 22/03/10 744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