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3/23 14:26:17
Name 텅트
File #1 spielberg.png (634.3 KB), Download : 30
출처 데드라인
Link #2 https://deadline.com/2022/03/steven-spielberg-squid-game-changes-the-math-entirely-pga-awards-panel-1234982465
Subject [유머] 스필버그, "오징어게임, 무명 배우들로 성공하여 할리우드 공식 변화"


스필버그가 황동혁 감독 만나서 오징어게임 3일만에 다 봤다면서 극찬했는데

그 와중에

"오징어게임은 게임체인저다. 할리우드 공식을 바꿔버렸다."

면서 넷플릭스 CEO에게 감사를 표하고

"예전에는 자국 스타들로 관객들을 영화관에 끌어당겼는데

이제는 무명의 배우들이 TV쇼나 영화 주연을 맡을 수 있다"라고 발언.

어떤 의도로 한 얘기인지도 악의가 없다는 것도 알겠는데 뭔가 찝찝하네요.

무명시절의 어떤 것이 그리운가라는 질문을 받은 이정재가 떠오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3/23 14:27
수정 아이콘
우리 정재형은 자국내 탑스타였는데... ㅠㅠ
피노시
22/03/23 14:28
수정 아이콘
미국인들한텐 무명이긴한데
Naked Star
22/03/23 14:29
수정 아이콘
해외기준 무명은 맞으니까 딱히 틀린 말도 아니긴 함
이안페이지
22/03/23 14:29
수정 아이콘
아니 누굴보고 무명이라는거야.....
22/03/23 14:29
수정 아이콘
응 로컬 영화판~
파비노
22/03/23 14:29
수정 아이콘
우리도 미국TV 스타들은 잘 모르니깐요.
동년배
22/03/23 14:29
수정 아이콘
unknown actor, people을 무명이라고 번역하면 안될 것 같습니다
사경행
22/03/23 14:33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에도 우리나라에서 무명 배우란 단어가 갖고있는 어감을 생각하면 이렇게 번역하면 안될것같네요
22/03/23 14:30
수정 아이콘
뭐, 한국 밖, 특히 미국 시장에서는 'unknown people'이긴 하니까 딱히 틀린 말은 아닌데.. 이 local 놈들..
22/03/23 14:30
수정 아이콘
강새벽, 지영, 알리 배우 같은 경우는 그나마 무명에 가까웠으니 아예 틀린 이야기는 아닐거 같긴한데..
뭐 '미국 입장에서' 인지도 없는 (무명)의 배우들이 주연을 맡을 수 있다로 해석하면 될거 같습니다.
그게무슨의미가
22/03/23 14:31
수정 아이콘
그들 입장에서는 unknown이긴 하죠.
22/03/23 14:31
수정 아이콘
'미국 기준으로' 알려지지 않은 배우라고 해석해야 맞을 것 같네요.
시린비
22/03/23 14:33
수정 아이콘
할리우드가 모르는 배우 써도 된다는 이야기같은데 뭐 크게 받을 필요 없을듯요
화씨100도
22/03/23 14:33
수정 아이콘
주제와 다른 이야기인데
테마를 [PGR 클래식]으로하면 글내용이 안보이네요
[새벽안개]로 바꾸면 보입니다
22/03/23 14:35
수정 아이콘
할리우드 입장에선 무명이죠 크크
잘 모르던 배우가 그렇게 연기를 쩔게 하는 데 얼마나 충격받았겠습니까
도라지
22/03/23 14:40
수정 아이콘
저건 배우 상관없이 시나리오와 컨셉 만으로도 충분히 성공했다는걸 보여줬다는거 같습니다.
그래서 이정재님 연기력하고는 상관없을거 같아요.
샤르미에티미
22/03/23 14:36
수정 아이콘
한국에선 유명 배우니 할 것 없이 미국에서도 뭐 많지 않나요? 프렌즈도 매튜 페리만 이름 알렸었나 그랬었고 빅뱅 이론은 다 그걸로 뜬 거고... 아예 미국인 배우 없이도 이만큼 대박을 낼 수 있다는 뜻이라면 맞는 말이겠네요. 미국-영국 배우(+서양인) 없이 동서양 할 거 없이 대박 친 작품들이 극히 드문 것은 아니지만 오징어게임급으로 대박을 낸 건 찾기 힘들긴 하죠.
록타이트
22/03/23 14:41
수정 아이콘
영화판에서는 헐리우드 = 세계가 크게 다르지 않으니 사실 저희 기준으로도 무명이라는 표현이 크게 잘못됐다고 보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이탐화
22/03/23 14:45
수정 아이콘
그쪽에서는 무명 맞죠 뭐 이런걸 가지고
인생은서른부터
22/03/23 14:47
수정 아이콘
글로벌 시장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배우 정도로 해석하면 되겠네요 흐흐
니가커서된게나다
22/03/23 14:48
수정 아이콘
흥행보증수표 없이도 메가 히트할 수 있다 뭐 이런 뜻 아닐까요?

이병헌 송강호 이경영 이런 캐릭터의 익숙함이 없더라도

스토리 연기 연출 이런부분만으로도 성공할 수 있다는 뜻이 아닐까 싶습니다

감독이나 제작자 입장에서는 환영할만하죠
쟤한테 천만달러 박느니 백만짜리 쓰고 연출에 힘줄거다 라고 해도 투자자를 설득할 수 있다는 뜻이니까요
상하이드래곤즈
22/03/23 15:02
수정 아이콘
저도 같은 의견입니다
당장 제작비가 비교도 안되는 수준이었죠.
앵글로색슨족
22/03/23 14:49
수정 아이콘
무명 말고 미지의 배우 어떻습니깟
갑의횡포
22/03/23 14:51
수정 아이콘
그래 촌구석 배우가 어딜 감히
달달한고양이
22/03/23 14:56
수정 아이콘
월드 와이드 입장에서는 잘 모르던 배우들 (unknown) 이라는 거고 틀린 말은 아니죠. 근데 번역을 했을 때 무명이란 단어는 말 자체가 주는 어감이 좀 쎄달지 (무명 = 듣보잡 같은) 지금 상황을 표현하는 것과는 좀 맞지 않는 것 같기도 하고 흐흐
양을쫓는모험
22/03/23 15:01
수정 아이콘
애초에 번역을 잘못하신 거 같은데 크크
만약 번역가가 했으면 무명으로는 절대 번역하지 않을 건입니다.
22/03/23 15:14
수정 아이콘
저도 이건 무명배우로 번역하면 안될것 같은 느낌이 ;;;;
전지현
22/03/23 15:29
수정 아이콘
왕이될 상
Rorschach
22/03/23 15:39
수정 아이콘
그냥 무명 아니고 [헐리웃에는 알려지지 않은]이 맞네요.

그리고 사실 우리나라에서도 이정재만 매우 잘 알려져있고, 박해수나 허성태 정도가 이정재와는 한참 비교되지만 그래도 알려진 편이고 나머지는 모르는 사람이 훨씬 많지않았나요 크크
새벽목장
22/03/23 16:09
수정 아이콘
무명이 맞긴한데 굳이 저 단어를 무명이라고 해석할 필요는 없어보이네요
AaronJudge99
22/03/23 16:55
수정 아이콘
미국 기준 유명한 배우들은 아니긴하..죠..
22/03/23 17:07
수정 아이콘
한국 기준으로도 이정재 이정재 어머니역할 배우 공유 빼면 유명한 배우들이 아니긴 하죠.
간손미
22/03/23 17:09
수정 아이콘
unkown이면 "알려지지 않은" 번역이 맞을듯요;; 뉘앙스가 좀 크게 달라져서
22/03/23 17:13
수정 아이콘
맞는 말인대? 흐흐
22/03/23 17:51
수정 아이콘
이병헌도 있는데....
이민들레
22/03/23 18:44
수정 아이콘
헐리우드 스필버그 기준 무명배우 맞죠. 기분나빠할 필요가 있나요.
22/03/23 20:21
수정 아이콘
결국 기준에 따라 다른데, 이 아티클처럼 기준을 할리우드급 히트로 잡으면 무명 기준도 올려서 해석할 수 있겠죠. "글로벌 스타가 아니어도" 정도..
장가갈수있을까?
22/03/23 22:02
수정 아이콘
아니 정재형은 이제는 무명시절 기억도 안난다구
리얼월드
22/03/24 11:52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국내배우들이 관객을 불러모았지만, 이제는 모르는 배우가 미니시리즈나 영화를 맡을 수 있다.
딱히 틀린말은 아닌것 같은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50858 [유머] 정상수 근황.jpg [3] TWICE쯔위9162 22/03/24 9162
450857 [유머] 퍽퍽하지만 촉촉한 [19] Rain#18020 22/03/24 8020
450856 [스포츠] 대한민국 vs 이란 선발라인업 나왔네요... [20] Starlord8259 22/03/24 8259
450855 [유머] 뇌절도 반복하면 장르가 된다.commercial [17] Rain#17104 22/03/24 7104
450854 [유머] 꼭 연고전을 가고 싶었던 고등학생 [17] TWICE쯔위8020 22/03/24 8020
450852 [방송] EBS사장 퇴사가 슬펐던 펭수근황.jpg [14] 명탐정코난11671 22/03/24 11671
450851 [유머] 회장님 우리도 남는 게 없어요... [32] 우주전쟁10706 22/03/24 10706
450850 [LOL] lck시빌워 [10] 카루오스5804 22/03/24 5804
450849 [기타] 삼성, 진짜 플래그쉽 등장?! [35] Lord Be Goja9644 22/03/24 9644
450848 [기타] BBQ 회장이 말하는 적정 치킨 가격 [92] 카루오스10990 22/03/24 10990
450847 [서브컬쳐] 팬케이크.jpg [12] KOS-MOS7181 22/03/24 7181
450846 [기타] 생각보다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별자리 별들... [23] 우주전쟁7421 22/03/24 7421
450845 [LOL] 팀명 붙으면 이상하게 더 쎄보이는 선수 [13] Leeka6747 22/03/24 6747
450844 [유머] 천사와 악마.manhwa [9] KOS-MOS6380 22/03/24 6380
450843 [서브컬쳐] 볶음밥 빨리 먹는 방법 [9] 이브이8175 22/03/24 8175
450842 [게임] 킹오파 vs 스파 콜라보 [24] 니시노 나나세6209 22/03/24 6209
450841 [유머] 항상 입조심을 해야 하는 이유 [11] TWICE쯔위9274 22/03/24 9274
450840 [LOL] 롤 이스포츠 매니저 근황 [45] Leeka8959 22/03/24 8959
450839 [유머] 평택 아울렛 근황 [16] TWICE쯔위11110 22/03/24 11110
450838 [유머] 액정필름 쉽고 빠르게 붙여주는 혁신적인 기계.gif [6] TWICE쯔위8624 22/03/24 8624
450837 [유머] 나 이거 삼국지에서 봤어! [12] 일신7846 22/03/24 7846
450836 [연예인] 구준엽의 재결합으로 20년만에 풀릴 비밀 [48] 김티모14218 22/03/24 14218
450835 [기타] 화재 발생시 꼭 알아둬야하는 것 [24] 길갈9149 22/03/24 914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