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3/20 12:46:24
Name 아롱이다롱이
File #1 1_vert.jpg (353.2 KB), Download : 13
출처 펨코
Subject [LOL] 도인비 " 너구리가 lpl 은 안온다고 본인이 직접 말했다, 담원도 못갈것 " (수정됨)


간밤에 도인비가 개인방송을 통해 너구리를 언급했나봅니다

일단.. 요약인 즉슨


1. 너구리 본인피셜로 " lpl 은 안간다 "
2. 도인비 개인적인 생각으로 담원도 돈이 없기때문에 못 갈것이다 라고 추측

  

개임 내외적으로 의사소통 문제로 고생도 많이하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고 들어서
중국은 다시 안가지 않을까 예상은 다들 했었는데
본인이 직접 말했다고하니 "오피셜" 이고

도인비 개인적인 생각으로 돈문제 때문에 담원도 가기 힘들것이다 라고 예상
" 담원은 돈이 없을것이다" 라고 추측

그건 그렇고 담원 바텀라인에도 많은 돈을 쏟아 부었나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EpicSide
22/03/20 12:48
수정 아이콘
수상할 정도로 돈이 많은 뜬금없는 팀으로 갈 수도...?
환경미화
22/03/20 12:49
수정 아이콘
10-10의 한화가 또?
데몬헌터
22/03/20 12:50
수정 아이콘
행복한 그팀이려나요?
하이버리시절
22/03/20 12:51
수정 아이콘
그럼 북미로 간다!!
스위치 메이커
22/03/20 12:54
수정 아이콘
반 시즌 쉬었다고 해도 그게 너구리급의 선수라면 얘기가 다르죠
22/03/20 12:56
수정 아이콘
고베보다 덕켈이 비쌀것 같지는 않은데요 흠
Bronx Bombers
22/03/20 12:59
수정 아이콘
덕담이 롤드컵 진출은 실패했지만 어쨌든 작년 서머 퍼스트 원딜이라 수요가 상당했을겁니다.(작년 LCK 원딜 풀이 좀....그랬지만)
퍼스트 원딜이라는게 선수들과 기자들이 뽑는거다보니 관계자들 평이 아주 좋았다는 얘기고, 아마 그것땜에 가치는 높았을거예요.
22/03/20 13:04
수정 아이콘
그래도 월즈 2연속 결승 바텀보다 더 비쌀것 같지는 않아서요. 도인비말이 신빙성이 없어보임
헤나투
22/03/20 13:34
수정 아이콘
고스트가 재계약이 아니라서 고베보단 확실히 비쌀겁니다
22/03/20 13:01
수정 아이콘
그렇지 않다해도 정글 미드에 많은 돈을 쓴것도 포함시켜야
22/03/20 13:34
수정 아이콘
저도 고베(특히 베릴)가 더 비쌀거라 생각 하지만
캐니언 쇼메 잡는데 일단 돈이 너무 많이 들었고 그렇다고 덕켈이 저렴한 봇듀오는 아닐거기 때문에
담원이 현재 돈이 적다는 추측은 합리적이라 봅니다.
썬업주세요
22/03/20 14:01
수정 아이콘
고스트는 계약안끝났고 베릴은 계약끝나고 나간거라
신 덕켈계약 > 구 고베계약 일거로 봅니다
22/03/20 12:57
수정 아이콘
봇에 입찰 많았을꺼라고 시즌전부터 예상했던거라
22/03/20 12:58
수정 아이콘
복귀 자체에 의미를 둔다면 페이컷도 가능할 것 같은데.. 일단 복귀 여부가 궁금합니다.
복귀한다면 좋은 모습을 보여줄겁니다.
22/03/20 13:00
수정 아이콘
베릴 몸값이 너무 비쌌을거 같고... 켈린 버돌은 약점이 머리 위에 써놓고 다니는 수준으로 명확하고 후벼파기도 쉬워서 참 어떻게 극복할지
캬옹쉬바나
22/03/20 13:02
수정 아이콘
HLE 너구리..?
허저비
22/03/20 13:05
수정 아이콘
LPL 안온다고 말한건 당사자로부터 들은 확실한 팩트이니까 신빙성 높겠습니다만 담원 못간다고 하는건 도인비도 뇌피셜이니 뭐 걸러들으면 될 것 같습니다. 팀상태 보고 안되겠다 싶어서 추가로 예산 타내서 쉬고있던 네임드 복귀시킨 경우가 없던것도 아니고(프레이라던지).
22/03/20 13:34
수정 아이콘
만약에 담기가 너구리 필요하면 어필해서 최대한 자금확보하겠죠
물론 오너가 고민 많이 하겠지만
올해는다르다
22/03/20 13:06
수정 아이콘
역체롤을 위한 한 걸음
북미를 우승시키러 간다
김첼시
22/03/20 13:07
수정 아이콘
수상할 정도로 돈을 안쓴팀 한화가 있긴한데...
모카파이
22/03/20 13:09
수정 아이콘
근데 이친구는 모르는게 없네 물어보면 다 답해줘
가나라
22/03/20 13:11
수정 아이콘
롤은 선수들 폼이 한해한해, 심하면 한시즌 마다 왔다리갔다리 하는 게 심한데
심지어 중국에서는 아쉬운 모습 많이 보여준데다가 6개월이나 쉰 너구리를
아직까지도 엄청 고평가 하면서 너구리만 데려오면 끝난다. 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게 신기하네요..
서지훈'카리스
22/03/20 20:01
수정 아이콘
버돌보단 잘하지 않을까요?
강나라
22/03/20 13:17
수정 아이콘
만약 담원이 영입할거면 당장 쓴다는거보다는 내년에 제대로 쓴다고 생각하고 미리 영입해둬야겠죠. 만약 올시즌 티원이나 젠지가 롤드컵에서 성과를 못거뒀는데 탑이 생각보다 부진했다 싶으면 노릴 가능성도 있고요.
신량역천
22/03/20 13:28
수정 아이콘
돈+본인 증명하려고 lpl진출한건데 페이컷 많이 하기는 힘들겠죠 그래도 복귀하게 되면 담원이 정배같음
랜슬롯
22/03/20 13:32
수정 아이콘
솔직히 애매하긴할껍니다. 게임 많이 하지도 않고 6개월간 쉰거면 폼 찾는데 분명히 시간이 걸릴건데, 그걸 1년계약에 돈 엄청 얹으면서 데려오는건…. 솔직히 무리수긴하죠. 차라리 스토브때 대려오는거면 모를까
22/03/20 13:35
수정 아이콘
근데 도인비 개 친절하네요 크크
가끔 유게올라오는 짤 보면
질문하는거 다 대답해주고 있음 크크
22/03/20 13:40
수정 아이콘
BJ짬이 있어서 그럴까요 크크 소통왕
키모이맨
22/03/20 14:04
수정 아이콘
도인비가 중국에서 엄청나게 인기가 많은 이유가 저렇게 개인방송을 적극적으로 많이 해서 그렇습니다
엥간한 프로게이머들 방송 보면 말이 개인방송이지 방송에서 막 적극적으로 멘트 많이 치고 시청자들이랑 소통하고
이런거 없다시피한데 도인비는 스케줄도 빡센데 개인방송도 자주 켜서 소통도 많이하고 당일 경기 끝나고 숙소와서
방송켜서 적당히 그날 경기했던거 썰푼다던가 이런식이였으니 시청자들이 싫어할수가 없는
22/03/20 13:36
수정 아이콘
쉬기도 많이 쉬었고 포지션도 금액을 많이 쓸만한 포지션도 아니라서 의외로 팁찾기 힘들 수도 있겠네요.
유자농원
22/03/20 13:38
수정 아이콘
담기라면 페이컷 할지도?
헤나투
22/03/20 13:39
수정 아이콘
lpl안간다고 하면 담원or휴식 말고는 딱히 선택지가 없을거 같아요.
본인이 돈 많이 준다고 약팀은 갈거 같지가 않아서
22/03/20 13:44
수정 아이콘
한국 안 올거면 북미가서 TSM 좀 월즈 보내주지 않을래???
전지현
22/03/20 13:46
수정 아이콘
농심
이경규
22/03/20 13:48
수정 아이콘
너구리가 연봉 비싸게 부르면 그거도 모양새가 좀 그렇죠. 반시즌 계약 하던가 하는게 좋을듯
키모이맨
22/03/20 14:08
수정 아이콘
현실적인 이야기긴 하죠 오자마자 잘할 수도 있겠지만(타잔처럼) 시간이 필요할 가능성도 굉장히 높은데 서머~롤드컵은 워낙
중요한 시키라 고액투자하기에는 너무 하이리스크이긴함
안철수
22/03/20 14:32
수정 아이콘
21너구리도 많이 실망스런 모습이었는데 추가로 6개월 휴식까지?
큰돈 주고 못 데려오죠...
55만루홈런
22/03/20 14:34
수정 아이콘
확실히 상위권 팀 중 탑 급한팀이 담원밖에 없긴 해요 티원은 제우스가 잘하고 있고 젠지는 도란 drx킹겐도 나쁘지 않고 kt는 라스칼 광동은 기인 브리온은 대황모건...

다만 담원의 자금이 문제겠죠 재계약한 쇼메 캐니언 특히 캐니언은 lck 정글러 중 최고의 금액을 줬을거고 쇼메도 페이커 아랫급 최소 쵸비급은 줬겟죠. 거기다 2년 계약..

너구리가 담원 가려면 무조건 저가 계약일수밖에 없긴 합니다. 반시즌 계약이겠지만...
22/03/20 14:45
수정 아이콘
정말 불가능하면 할 수 없지만 버돌 꽝나온거 확정적인데 너구리 배팅 안하는게 이상하죠. 쇼캐 재계약한 이상 무조건 달려야 합니다. 담기가 lck 3위 롤드컵 진출 언저리로 만족할 수 있는 팀이 아니죠. 버돌호야 끌고가는건 시즌 반쯤 버리는건데 쇼캐 프라임에 못달리는게 더 손해예요.
김하성MLB20홈런
22/03/20 15:24
수정 아이콘
너구리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서머 담기 복귀'밖에 없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서머도 쉬기' 같고...

1. 도인비 말대로 예산 문제로 인해 서머 복귀시 매우 큰 폭의 페이컷을 해야만 함.
2. 그렇다고해서 페이컷을 이유로 서머까지 쉬면 차기시즌 계약에 금액적으로는 손해가 최소화 될지 몰라도 본인 폼에 큰 부담이 됨.
3. 그래서 서머에 복귀하는게 선수생활에 있어서 더 나은 선택지인데 어차피 페이컷 해야하고 폼을 되찾는 일종의 재활기간이라고 본다면 탑에 구멍난 친정 팀의 익숙한 팀원들과 함께 하는게 베스트.

도인비야 본인 얘기가 사방으로 전파될거 아니까 저렇게 얘기한거라 생각하고 결국은 담기로 가지않을까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59518 [LOL] 더샤이 중국 인기 간접 체험 [17] Leeka9202 22/08/05 9202
459512 [LOL] 수상할 정도로 쉬운 중국어 문제 [14] 쎌라비6925 22/08/05 6925
458569 [LOL] LOL 파생게임 매출 비교 [12] Lord Be Goja7102 22/07/21 7102
458286 [LOL] [LPL] xxx차이 때문에 짐 [20] 새벽하늘6742 22/07/16 6742
455681 [LOL] 웨이보 FAW 아우디 게이밍 [2] 김연아3404 22/06/07 3404
455249 [LOL] 최근 중국과의 다전제 밴픽 [33] Leeka6432 22/05/31 6432
455230 [LOL] RNG 우승 이후 중국팬들의 반응 [50] EpicSide8569 22/05/30 8569
454384 [LOL] 미스틱 vs 칸 사진을 본 중국팬들 반응.jpg [6] insane6189 22/05/17 6189
454192 [LOL] 옛날이 좋았던 이유 [12] roqur5416 22/05/14 5416
454158 [LOL] MSI재경기 판정에 중국 선수들 반응 [49] lux8317 22/05/13 8317
453952 [LOL] MSI 핑에 대한 임팩트의 인터뷰 [45] Leeka6851 22/05/10 6851
453925 [LOL] 한국 서버 도전을 끝마친 TF 블레이드 [11] 반니스텔루이6581 22/05/10 6581
453528 [LOL] [루머] 3배수로 압축된 중국 LOL 국가대표 로스터 [24] EpicSide5392 22/05/03 5392
452234 [LOL] 이름을 빼앗긴 프로게이머 [18] roqur5351 22/04/13 5351
452162 [LOL] [LCK]中게임계 "페이커에 연봉 246억원 줘도 이득" [53] 7625 22/04/12 7625
451757 [LOL] [루머] LOL 중국 국가대표팀은 합숙과 트라이아웃을 통해 뽑는다 [41] EpicSide4813 22/04/05 4813
451685 [LOL] [루머] LPL은 MSI에 불참 할 수도 있다 [61] EpicSide7187 22/04/04 7187
450652 [LOL] 롤 매니저 베타버전 Overall [13] Leeka7166 22/03/21 7166
450547 [LOL] 도인비 " 너구리가 lpl 은 안온다고 본인이 직접 말했다, 담원도 못갈것 " [41] 아롱이다롱이6632 22/03/20 6632
450424 [LOL] 솔랭 역대 최고 점수 갱신 [20] Rain#110172 22/03/18 10172
450307 [LOL] 중국 언론, 한국에 코로나 폭증해서 msi 개최 포기해야한다??? [28] 마포구보안관7460 22/03/16 7460
449990 [LOL] 페이커 중국 프로 트롤 소식에 앰비션 반응 [5] 스위치 메이커5581 22/03/11 5581
449918 [LOL] 중국인 한섭 논란마다 떠오르는 사람 [16] 푸크린7444 22/03/10 744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