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3/15 23:30:19
Name Fysta
File #1 화면_캡처_2022_03_15_232543.png (82.8 KB), Download : 16
출처 트위치
Subject [게임] 뜬금없이 물들어오고있는 보드게임


살다살다 한국에 리치마작 물들어오는 날이 올거라고는 생각도 못했는데

현재 한국 마작 커뮤니티중에 그나마 활성화되어있는곳인 마작갤러리의 한 갤러가 따효니한테 독을 풀고

그 독이 옥냥이 풍월량으로 넘어가면서 뜬금없이 시청자 2만명 후려치고있는 상황;;

그저께부터 마작갤러리 유저들은 제발 이 쓰레기게임 시작조차 하지 말라고 뜯어말리고있지만

야한냄새나는 뉴비들이 마구 유입되는중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그럴거면서폿왜함
22/03/15 23:35
수정 아이콘
기본 룰은 간단하다고 하는데 용어가 너무 많아서 뭔지
모르겠네요
22/03/15 23:43
수정 아이콘
게임 자체 용어는 아주 많은건 아니라 하다보면 배워지는데 각종 상황을 설명하는 조어들이 많아서 그럴겁니다.
ioi(아이오아이)
22/03/15 23:38
수정 아이콘
스트리머가 재미있어 하면 컨텐츠는 별 의미 없다는 것의 증명인듯, 전 인원중에 10분의 1도 규칙 모를 거 같음
유자농원
22/03/15 23:42
수정 아이콘
그냥 리치마작 게임이에요? 그런데 저게 가능하구나;
22/03/15 23:46
수정 아이콘
프리투플레이에 미소녀캐릭 가챠요소가 들어간 게임이고요 현재 넷마작중엔 UI가 제일 괜찮습니다.
이히리기우구추
22/03/15 23:43
수정 아이콘
뭔가 보고는 있는데 뭐가뭔지 하나도모르겠네요 머리가 진짜 굳었나..
22/03/15 23:53
수정 아이콘
족보를 가장 먼저 만드는 사람이 이기는 게임인데

족보의 형태가 딱 두개를 제외하면 머리하나(원페어)+몸통4개(똑같은거세장or234같은 세개의 연속된 숫자)의 형태를 띄기때문에
족보를 외우지 않아도 대략적인 흐름은 알수있을거예요.
처음이란
22/03/16 00:15
수정 아이콘
오 몬가 말씀들으니 쉬워보이네요. 효니가어젠가부터하던데 몰라서 패스했거든요. 담에봐봐야겠네요
22/03/15 23:46
수정 아이콘
밥먹듯 사기치는 마작만화 보고서 리치마작 건드려 봤지만 역이 너무 많아서...
22/03/16 00:49
수정 아이콘
그래봐야 기본역은 고정이고, 특수역만 외우면 되기때문에 사실 맘먹고 이해만 하면 쉽습니다.
그 다음이 어렵죠.
절대불멸마수
22/03/16 01:15
수정 아이콘
선생님.. 보통 그런걸 어렵다고 부릅니다.
롤은 피하고 때리고 두가지만 하는 게임이니까요..
22/03/16 01:37
수정 아이콘
롤에 챔피언이 150개가 넘고 각 챔피언이 스킬 다섯개씩만 갖고 있다고 쳐도 750개 이상의 스킬이 있습니다.. 거기에 룬, 아이템에 물공 마공 물방 마방 물관 마관 치감 등등..
12년째도피중
22/03/16 04:01
수정 아이콘
선생님. 제가 마작룰을 먼저 알고 롤을 나중에 배웠는데 롤이 외워야 하는게 훨 더 많습니다. 크크크.
심리싸움은 사람이 하는 이상 똑같은데 피지컬이 요구되니 피로도가 더 큼.
22/03/16 05:11
수정 아이콘
롤이 그 두가지만 한다구요..? 상대 스킬 쿨타임 계산, 와드 계산 심리, 움직임으로 정글 동선 예측, 미니맵 확인하며 팀원과 적팀 위치 파악해서 라인 조율하기, 상대 움직임으로 와드 어디에 있는지 파악해서 갱 들어가기, 상대의 스펠, 스킬 유무로 교전판단 및 포지셔닝. 이 외에도 더 있는데 너무 많은데요. 여기까지만 봐도 생각할 게 너무 많은데요?
김지원
22/03/16 08:32
수정 아이콘
선생님 아이언이 있습니다
카미트리아
22/03/16 09:01
수정 아이콘
마작 초보는 패 가져오고 내기만 하면 됩니다..
+ 숫자 or 그림 맞추기
22/03/16 10:22
수정 아이콘
그래서는 게임을 이길 수 없잖아요?
최소 '남이 버린 패 받기'+'만들 수 있는 기본역'을 숙지하지 않으면 정상적인 게임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롤은 일단 뭔지 몰라도 때리고 스킬 쓰다보면 가장 낮은 난이도에서는 이길 수 있습니다.
'상대 스킬 쿨타임 계산, 와드 계산 심리, 움직임으로 정글 동선 예측, 미니맵 확인하며 팀원과 적팀 위치 파악해서 라인 조율하기, 상대 움직임으로 와드 어디에 있는지 파악해서 갱 들어가기, 상대의 스펠, 스킬 유무로 교전판단 및 포지셔닝'
이런거 하나도 몰라도요.

'게임을 잘 하기 위한 난이도'는 롤이 훨씬 높을 수 있겠지만,
'진입장벽'은 마작이 엄청나게 높은 편입니다.
프로페시아
22/03/16 11: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뇨 마작도 짝만 맞출 줄 알면 됩니다. 당요 핑허 2툴이어도 게임은 이길 수 있습니다. 보드게임, 롤 둘 다 와이프 찍먹시켜 봤는데 마작이 롤보다 훨씬 가르치기 편할 것 같습니다. 피지알 다니시는 분들이야 컴퓨터 게임의 문법에 익숙하니까 금방 게임에 적응하지만 컴퓨터 게임과 담쌓은 사람에게 롤 정도면 정말 엄청난 난이도의 게임입니다.
22/03/16 13:05
수정 아이콘
저는 그 이기는 게 팀이 이겨줘서 이긴거면 크게 의미없다고 봅니다. 그냥 다른 사람들이 4대5로 이겨주는 건데, 본인이 이겼다고 할 수 있는 것인지.

결국 롤에서 1인분으로 팀에 기여하려면 제가 위에 말한 요소들이 아니더라도 챔피언 상성구도, 라인전 딜교환 매커니즘, 한타 콤보, 합류 타이밍 정도는 알아야한다고 봅니다.
22/03/16 13:0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어... 아이언은 그렇긴한데.. 브실골부터는 어느정도 생각하면서 하지 않나요? 그리고 마작보다는 어렵다고 생각해서요. 저는 롤이 너무 어려웠습니다. 초반엔 라인전부터 계속 지기만 했어서... 왜 졌는지 분석하고 공략글 파헤치면서 어느정도 사람 구실 했거든요.

그런데 마작은 처음 입문할 때 일단 기초적인 게임 방식만 외워두면 가끔 운빨로 이기기라도 하더라구요.
절대불멸마수
22/03/16 11:20
수정 아이콘
'그렇게 따지면' 롤은 피하고 때리고만 하는 게임이다 라는의미였고

둘다 어렵기로 소문난 게임이다. 어려운 게임이다란 의미였습니다~
22/03/16 10:16
수정 아이콘
'게임을 정상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외워야 될 사항'이 있다는 거에서 이미 엄청 높은 진입장벽이 있는거나 마찬가지입니다.
맘먹고 이해를 할 생각이 없어도 '게임 해보니 알게 되네?' 정도는 되어야 쉽다고 얘기할 수 있죠.
22/03/15 23:51
수정 아이콘
따효니가 쓰르라미 이후로 폭주하고 있더라고요 크크
최근 로아 정도 빼곤 제일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To_heart
22/03/16 00:01
수정 아이콘
중학교 때 새턴으로 슈퍼리얼마작을 이겨보기 위해 PC 통신에서 마작하는 법 뽑아가며 했던 기억이 나네요.
쯔모나 론 같은 단어가 어렴풋이 기억나는데, 한 판 이기기가 진짜 어려웠던...
지금 하라고 하면 못할 듯.
네파리안
22/03/16 00:04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용 만드는건 쉬운데 족보가 많아서 탕야오랑 역패 말고는 아무것도 안보여서 어렵더라구요.
마작과 비슷하다는 롤토체스처럼 내가 현재 어느 족보에 걸치고있는지 실시간으로 다보여주면 좋을탠대
정발도 안되서 실행도 힘들던데 하려는 사람이 있다는게 신기하내요.
22/03/16 00:14
수정 아이콘
싱글마작은 말씀하신 기능을 탑재한 경우도 있는데
넷마작은 기본적으로 사람 넷이 치는거라 시간낭비 요소는 싹 쳐내는게 보통입니다.
22/03/16 00:26
수정 아이콘
이게 작혼이 의외로 실행 엄청나게 쉽거든요. 웹게임 버전이 있어서... 그냥 클릭 몇번으로 한패 설치하고 주소 접속하면 끝.
22/03/16 00:41
수정 아이콘
이게 흥할지는 정말 상상도 못했네요 크크
22/03/16 00:42
수정 아이콘
아 쓰르라미에서 마작만 안했어도 ...
22/03/16 00:50
수정 아이콘
이 점에서도 세가가 먼저 포문을 열었지만 ui,ux 다 구려서 밀려나가고..
작룡문이 삽질을 하면서......
서린언니
22/03/16 00:51
수정 아이콘
마작알못이긴 하지만 작룡문 열심히 하는 친구를 본게 마지막이었는데
22/03/16 01:21
수정 아이콘
작룡문.. 그립읍니다..
이로치
22/03/16 01:39
수정 아이콘
작혼 즐기는 유저인데 따효니가 이걸..!
대부분의 PVP 마작게임이 과금필수인데 작혼은 무과금으로도 충분히 즐길 수 있어서 추천합니다
마작 자체가 쉽지는 않지만 진입장벽만 넘으면 평생게임이에요
22/03/16 01:41
수정 아이콘
인류가 만든 4인 게임 중
독보적으로 재밌다는 그 게임이군요
물론 할 줄은 모릅니다
전동테이블까지 산 지인이
말리더군요 아예 시작을 하지 말라고;;;
삼화야젠지야
22/03/16 01:58
수정 아이콘
족보는 초보 구간에선 몰라도 되는게 많은데 그렇게 추려낸 것도 꽤 복잡하고
그래도 기본 룰이랑 핵심 족보 외우는건 쉽진 않지만 그렇게 어렵지도 않은데
문제는 그 족보를 갖고 경우의 수 계산하는게 더럽게 어렵고
거기서 상대가 버리는 패를 가지고 확률 업뎃하는건 머리 아프고
그 것들로 상대 패를 예상하고 수싸움하는건 제 머리로는 못따라가겠더군요.
22/03/16 02:30
수정 아이콘
저도 그거 계산할 시간에 마작판으로 상대 뚝배기 깨는게 더 빠른 승리의 지름길이라 느끼고 포기....
깻잎튀김
22/03/16 03:10
수정 아이콘
동방에서 마작하던 시절이 그립군요
랜슬롯
22/03/16 03:14
수정 아이콘
용과같이에서 항상 나오고 어떤 시리즈에서는 깨야하는 파트도 있어서 배워볼려고했는데 항상 룰이 복잡하고 배우기가 싫어서 안배웠는데 이번기회에 좀 배워볼까 싶긴하더군요.
12년째도피중
22/03/16 04:03
수정 아이콘
제 마작 선생님은 스치파이였습니다. .... 네. 야한 거 보려고 시작했습니다.
최고의 동기부여.
사이퍼
22/03/16 04:44
수정 아이콘
스노우볼의 첫 시작은 쓰르라미 아입니까
카미트리아
22/03/16 06:41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NpKhKBVnHxc

마작 기초 배우기는 이분 영상이 가장 좋았습니다.
ChojjAReacH
22/03/16 06:58
수정 아이콘
역시 따익점
ShamanRobot
22/03/16 08:23
수정 아이콘
현실 히나미자와 증후군...
SkyClouD
22/03/16 09:59
수정 아이콘
다 좋은데 오프라인에서 점수 계산이 너무 귀찮죠. 크크...
22/03/16 10:35
수정 아이콘
리플 보다보니 기준선이 오묘하게 다른 부분이 있군요.

보통 게임의 학습 난이도가 2개로 갈리게 되는데, '입문 난이도'와 '숙련 난이도'입니다.
입문 난이도 - 게임을 처음 접해서 기본적인 '완성 플레이(유저가 승패를 정확하게 인지)'를 하기 위한 최소한의 학습 난이도
숙련 난이도 - 게임을 잘 하기 위한 난이도

흔히 얘기하는 '깊이가 있는 게임'은 보통 숙련 난이도가 높은 게임입니다.
그리고 게임의 정상적인 승리를 경험하기 위해 알아야 되는 필수 요소가 적은 게임이 바로 입문 난이도가 낮은 게임이죠.
(후자 예시로 아주 좋은 게임이 있네요. 뱀파이어 서바이버즈.)

마작은 생각보다 입문 난이도가 높은 게임입니다. 게임의 진행 룰은 어렵지 않으나, 승패 판정에 잡룰이 많이 들어가고
이게 잡룰이라고 아예 무시할 수 없으니까요.
펑, 캉, 치 등 남의 버림패를 받는 규칙과 남의 패를 받아서 나의 패 일부가 공개된 상태가 되었을 때의 역 변동사항은 잡룰이긴 하지만
필수 학습요소에 가깝습니다. 그냥 패 숨김 상태로 받고+버리고만 하면서 운빨경쟁 하는 게임만 마작은 아니잖아요?
삼화야젠지야
22/03/16 11:35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버림패를 보통 '울다'라고들 많이 하는데, 저도 그 우는 것까지 포함한 1~3역까지를 외우는걸 입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좀 높죠. 그렇다고 숙련이 쉬운 것도 아니죠. 역을 더 많이 외우고 그 많은 역에 대한 심리전을 하고....보통 룰을 익히는게 입문, 몇몇 빌드를 잘 수행하는게 숙련, 심도 있는 수싸움에 들어가는걸 마스터로 말하곤 하는데 마작은 한단계씩 밀려 있는거 같아요.
아지매
22/03/16 10:36
수정 아이콘
역 외우는게 압박이라 대중적으로 흥할 수가 없는데 신기하네요.
F1rstchoice
22/03/16 10:44
수정 아이콘
보는 것과 하는 것은 다르다~
네~ 다음
22/03/16 12:49
수정 아이콘
마작은 배우고싶은 것중하나죠.
민초단장김채원
22/03/16 13:25
수정 아이콘
용어가 입문 장벽의 90% 이상을 차지한다고 봅니다.
역을 제외하고도 쯔모, 론, 치, 퐁, 캉, 리치, 커쯔, 슌쯔같은 단어들 듣다보면 정신나갈 것 같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54557 [기타] 한때 커뮤니티들을 뜨겁게 달궜던 [222] 퍼블레인12891 22/05/20 12891
454520 [게임] 메갈 14 공지사항 [38] 톰슨가젤연탄구이7772 22/05/19 7772
454500 [유머] 애플 ios 신규 기능 공개 [18] Leeka8497 22/05/19 8497
454404 [게임] 게임에서 업데이트와 커뮤니티 관리의 중요성 (햄탈워) [25] Lord Be Goja6213 22/05/17 6213
454364 [유머] [승우아빠] 유료광고 참사(?) [50] 사경행11092 22/05/16 11092
453528 [LOL] [루머] 3배수로 압축된 중국 LOL 국가대표 로스터 [24] EpicSide5392 22/05/03 5392
453466 [게임] [홀덤] 1% 대 확률도 안심할 수 없다 [22] 일신6996 22/05/02 6996
453268 [기타] 세계의 방산물자 상인, 대한민국 + 밀리매니아들의 가슴을 뛰게하는 소식 [5] 아롱이다롱이8021 22/04/28 8021
453208 [유머] 여성 커뮤니티에 올라온 여행경비.JPG [68] 김치찌개11633 22/04/27 11633
452947 [기타] 각종 부동산 커뮤니티에서 핫한 실거래가 (feat 인덕원) [7] 니시무라 호노카6557 22/04/23 6557
452877 [유머] 스타크래프트를 좋아한다면 추억에 빠지기 좋은 다큐 [15] 아수날10586 22/04/22 10586
452733 [기타] 아파트 단지에 생긴다는 커뮤니티 [31] 니시무라 호노카9070 22/04/20 9070
452414 [유머] 의외로 개쩌는 커뮤니티 [3] roqur6762 22/04/16 6762
451596 [LOL] lck 결승전, 타 커뮤니티등에서 화제??가 된 한 사람 [14] 아롱이다롱이6218 22/04/03 6218
451347 [유머] 실명인증 커뮤니티의 미래 [29] 삭제됨8680 22/03/31 8680
451302 [기타] 중국 비행기 추락 설명하는 대만방송 논란 [23] 아롱이다롱이8152 22/03/31 8152
450927 [게임]  그란 투리스모 7 사과와 보상 제공 및 향후 업데이트에 대해 [10] TWICE쯔위6073 22/03/25 6073
450821 [LOL] 너구리 솔랭근황 [14] 아롱이다롱이7384 22/03/24 7384
450687 [유머] 어제의 피지알 [56] 진산월(陳山月)6470 22/03/22 6470
450279 [게임] 뜬금없이 물들어오고있는 보드게임 [50] Fysta10872 22/03/15 10872
449639 [유머] 페라리 SUV 논란 [7] TWICE쯔위8787 22/03/05 8787
448718 [기타] 인터넷 커뮤니티 자막 주작 모음 3 [16] 7770 22/02/21 7770
448715 [유머] 인터넷 커뮤니티 자막 주작 모음 2 [17] 6471 22/02/21 647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