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2/10 12:38:07
Name 삭제됨
출처 뉴스
Subject [유머] 숭실대 공대 = 연세대 문과.jpg (수정됨)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경규
22/02/10 12:39
수정 아이콘
근데 공대가는게 취업은 나을텐데
레드벨벳 아이린
22/02/10 12:58
수정 아이콘
포털 보면 꼭 그렇지도 않더라구요. 학벌이 더 중요 할수도 있죠. 대학을 어떻게 보내냐가 더 중요할듯
물맛이좋아요
22/02/10 12:39
수정 아이콘
사실상의 우열반이죠
EpicSide
22/02/10 12:40
수정 아이콘
이과 망했으면....... 문과는 이미 망했으니까..... ㅜㅜ
바닷내음
22/02/10 13:13
수정 아이콘
예체능이 희망이다
다시마두장
22/02/10 16:30
수정 아이콘
사실 타율이 낮아서 그렇지 대박을 노린다면 예체능이 맞긴 하죠 크크
22/02/10 12:41
수정 아이콘
수능으로 ky 문과 상위과 가려면 정말 개빡셌던걸로 아는데, 어느덧 입시상황이 많이 바뀌었네요
모나크모나크
22/02/10 12:44
수정 아이콘
저도 이렇게 알고 있었는데 진짜 옛날 이야기네요. 문과는 전국 석차대로 줄서서 SKY 들어가는줄 알았는데...
겨울삼각형
22/02/10 13:04
수정 아이콘
문이과 통합하니 그 문과 전국석차에 이과생들이 침투한것이죠.
모나크모나크
22/02/10 13:06
수정 아이콘
문과생들 수학점수가 낮아서 그런걸까요?
22/02/10 13:10
수정 아이콘
그게 가장 클 겁니다..
썬업주세요
22/02/10 13:11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그렇죠.
이번 수능에서 수학 1등급 내 문이과 비율이 1:9, 2등급 내 문이과 비율이 2:8정도 된다고 보는것 같습니다.
모나크모나크
22/02/10 13:35
수정 아이콘
헉...... 진짜 충격이네요. 이번 문과 학생들은 어떻게 보면 좀 똥 밟은건가요? 이게 미리 다 공지된 정책이었나요?
22/02/10 15:06
수정 아이콘
정책이야 당연히 몇 년 전에 공지가 되었던 건데 적용된 게 올해 처음이죠. 이게 생각하던 것보다 실제로 보니 문이과 격차가 훨씬 더 컸던거예요.
모나크모나크
22/02/10 15:09
수정 아이콘
네 감사합니다. 놀랐네요. 그래도 상위권은 비슷할줄알았는데 그게 아니었군요.
손금불산입
22/02/10 13:21
수정 아이콘
요즘 세상이면 이미 문과를 선택한 피지알 아저씨들도 수학 포기 수준이 아닌 이상 무조건 이과 가겠죠. 수학 꽤 하는데 문과 간다고 하면 담임선생님이 상담 들어와도 이상하지 않을 세상이니...
22/02/10 14:52
수정 아이콘
이거 리얼입니다. 지금이라면 통계학으로 가서 경제학 복수전공할듯
22/02/10 12:4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법대 없어지고 로스쿨 생기면서 사실상 문과 최상위권의 매력도가 사라졌죠.

ky 공대 다녀도 로스쿨가는게 어렵지 않아서.(요새는 모르겠네요.)
달마야놀자
22/02/10 13:49
수정 아이콘
제가 그 루트인데 제생각에는 문과보다는 확연히 어려운 것 같습니다. 일단 로스쿨 예과로 운영되는 상경대, 문과대와 다르게 공대는 아직 학점을 상대평가로 주거나 절대평가라도 칼같이 주고 리트 적합적인 공부를 4년동안 놓다보니 공대 리트 평균이 꽤나 낮게 나오기는 해서... 학점+리트 둘다 밀리니 공대 출신이 로스쿨에 많지도 않고 로스쿨 갈 정도로 공부하는 공대생들은 이미 로스쿨만큼or더 좋은 길이 많아서...
22/02/10 13:52
수정 아이콘
사실 지금은 없어졌지만 공대생 입장에선 의전 가는 게 훨씬 쉽기도 했죠 크크... 학점도 저는 이과고 동생은 문과인데 동생 학점 보고 진짜 깜짝 놀랐습니다. 이과에서 그 학점이면 전액 장학금에 3,4학년 내내 미국 탑티어 대학에 공짜로 교환학생할 점수였거든요 크크...
달마야놀자
22/02/10 14: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그리고 말씀하신 자료가 궁금해서 검색해보니 사실 약간은 오류가 있다고 하는 자료로 보이기는 합니다. 실질적인 급은 연대 상경= 서성한 공대~연고대 낮은 공대쯤으로 보인다네요. 연고대 낮은 과가 일부 중경외시 라인으로 내려간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제가 지금 다시 고3되면 서울대 문과 가거나 연대 상경가서 영어랑 중국어만 줄창 팝니다 크크크 당장 두나무는 설경 밭이고 어딜가나 서울대는 먹어주는데요. 연대로는 라임사태로 잘 알려진 YFL 라인도 있고 여기저기 나와서 어디서 잘나가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데 크크크크 암만 봐도 지금 sky 문과는 저점매수 타이밍인 것 같습니다.
22/02/10 14:08
수정 아이콘
반대로 저는 고3되면 재수 안하고 그냥 원래 있었던 데 있었을 것 같네요... 쓸데없이 재수해서 후..
케이아치
22/02/10 14:31
수정 아이콘
맞아요 저 입시(00년 초중반)때 이공계위기다 뭐다해서 설공입시가 낮아진적이 있는데.. 그때가 딱 저점이었것 같아요.
그때만해도 설카포로 묶였는데 지금은 다른 변수없으면 웬만하면 설대로 가는 분위기가 된것도 같구요.
22/02/10 12:43
수정 아이콘
문과가 진짜 많이 떨어지긴 했네요.
22/02/10 12:44
수정 아이콘
대학들이 이과-> 문과 교차지원은 허용하면서 문과 -> 이과 교차지원은 막은 것만 봐도 예상되던 결과였죠..
22/02/10 16:32
수정 아이콘
굳이 안막아도 갈사람 없을거 같은데요.
유자농원
22/02/10 12:45
수정 아이콘
수학통합이 크죠 몇년간은 저럴듯
유자농원
22/02/10 12:51
수정 아이콘
근데 신학과는 좀...
바로 전과할 생각인가
22/02/10 12:46
수정 아이콘
우리때만해도 차이 좀 났었는데 격차가 더 벌어졌나보네요
비오는풍경
22/02/10 12:48
수정 아이콘
제 생각보다도 격차가 심하네요
데이터과학부는 언제 생겼지
탑클라우드
22/02/10 12:49
수정 아이콘
저는 문과 출신이지만, 기본적으로 우수한 이과 학생이 문과에 지원 가능한 것에 찬성합니다.
한편으로는 소수이기는 하지만 문과 출신의 개발자가 우수한 개발력을 보여주는 경우도 존재하기도 하구요.
22/02/10 12:49
수정 아이콘
그냥 공대가지..
사울 굿맨
22/02/10 12:49
수정 아이콘
한 10년 전만해도 대기업 공채할 때 '상경계 우대'가 항상 적혀있었는데, 정말 문과는 개같이 멸망하고 있군요...
22/02/10 14:51
수정 아이콘
지금도 상경우대하는 직무 있긴 있습니다
공고10개뜨면 1개정도..
그마저 엔지니어 뽑는 인원 oo일때 상경은 o명..
사울 굿맨
22/02/10 15:00
수정 아이콘
그 1개는 아마 재무, 회계 쪽 직군을 뽑으려는 거겠죠?
그런데 요즘에는 이마저도 어차피 회계사, 세무사 출신 아니면, 학사 수준에서는 이공계 데려다가 가르치는 게 더 낫다는 추세로 가는 것 같더군요.
과수원옆집
22/02/10 12:49
수정 아이콘
아 문과 출신은 웁니다…우열반 이야기가 나올 정도라니 ㅠㅠ
22/02/10 12:51
수정 아이콘
예전에 통합수능 되기 전에는 카/포 + 의치한만큼 상위권이 빠지다보니 인서울 대학 입결은 문과가 두단계 정도 높았었는데...
22/02/10 12:51
수정 아이콘
이제는 문과 이과 구분할 필요가 있나 싶은데..

고등학교 교과과정도 이제 뷔페처럼 취사식으로 가야하지 않나 싶은데요

역사 좋아하면서 과학 잘할수도 있는거고.. 그럼 이사람은 문과인가 이과인가

수학은 문과 이과가 아니라 그냥 통합으로 가서 수학을 잘한다 못한다 개념으로 가는게 맞는거 같고;;
22/02/10 12:56
수정 아이콘
이미 통합입니다.. 문이과 구분은 탐구 과목으로 하죠
유성의인연
22/02/10 12:55
수정 아이콘
최상위권이야 의대영향의 크겠지만 진짜 세상이 변하긴했네요
22/02/10 12:56
수정 아이콘
통계학과가 문과였네..
nm막장
22/02/10 13:02
수정 아이콘
학교마다 차이가 있어요. 이과 자연대에 속한 곳도 있죠.
프리군
22/02/10 14:10
수정 아이콘
이과가 더 많긴 한데, 연고대는 문과입니다.
(서울대는 이과구요.)

https://namu.wiki/w/%ED%86%B5%EA%B3%84%ED%95%99%EA%B3%BC#s-3.4

여기에 잘 정리되어 있네요.
바밥밥바
22/02/10 12:58
수정 아이콘
이젠 문과 정원좀 줄여야죠 이과 필요 없는 분야가 거의 존재하질 않는데
22/02/10 13:02
수정 아이콘
20년도 넘게 지속된 문이과 우열반 떡밥 종결이네요.
손금불산입
22/02/10 13:13
수정 아이콘
사회가 변한걸 굳이 과거 떡밥까지 끌고 갈 필요가 있나요. 예전 사람들이 멍청해서 절반 가까이 문과가고 언론학부가 최상단에 위치하고 그런게 아니고 지금 사람들이 똑똑해서 공대를 선호하고 그런게 아닐겁니다.
부질없는닉네임
22/02/10 13:27
수정 아이콘
법대 사라진 10년 이후라면 모를까 지난 20년짜리면 별 의미 없는 떡밥이죠.
imf 이전에는 의대 선호도도 그렇게 높지 않았던 걸요
바람기억
22/02/10 13:04
수정 아이콘
전 문과지만, 이과에 비하면 차이 제법 나죠
22/02/10 13:08
수정 아이콘
이렇게까지 차이나버리면 같은 학교 내에서도 은근히 문과 무시하는 경향이 생길지도 모르겠네요.
손금불산입
22/02/10 13:10
수정 아이콘
진작에 인터넷에서는 문송합니다도 불쌍해서 못쓸 정도로 쓸모없는 전공으로 치부하는 현상이 심하죠. 이공계 기피처럼 이것도 결국 사회 문제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2/02/10 13:14
수정 아이콘
이공계 기피는 그래도 같은 이과내에서의 기피 + 최상위권의 의대 선호 수준인데, 문과는 숫자 자체가 워낙 많아서... 그 후폭풍이 어떨지.
22/02/10 13:09
수정 아이콘
이야...이정도인줄은 몰랐네요
케이아치
22/02/10 13:09
수정 아이콘
문과로 수능보고 이공계 입학후 디자인으로 밥벌어먹고 살고있네요 크크
제목있음
22/02/10 13:43
수정 아이콘
저랑 같은 인생루트를 타고계신 분이 또 있을 줄이야
케이아치
22/02/10 14:04
수정 아이콘
오 신기하네요 크크
서린언니
22/02/10 14:17
수정 아이콘
전산과로 입학해서 프로그래밍 때려치고 그림그립니다 크크
케이아치
22/02/10 14:24
수정 아이콘
오 저도 컴퓨터학과 졸업후에 그림그리고있습니다 크크
제랄드
22/02/10 14:26
수정 아이콘
반갑습니다.
상업계고 > 디자인과 > 중소기업 총무팀 > 디자이너 테크트리입니다.
케이아치
22/02/10 14:28
수정 아이콘
저도 반갑습니다! 진로 바뀌신분들이.. 많이계시는군요 크크
지니팅커벨여행
22/02/10 15:38
수정 아이콘
트리플크라운이군요!!
Janzisuka
22/02/10 15:40
수정 아이콘
전 이과-예체능입학-사무-커피 트리.......커피대신 치킨 할껄
22/02/10 13:10
수정 아이콘
크크 갑자기 레벨업된 기분이네요
그 닉네임
22/02/10 13:17
수정 아이콘
갈수록 학교 이름보다는 학과가 중요해집니다.
같은 학교 내에서도 과별로 편차가 점점 심해지는 느낌입니다.
심지어 이공계 안에서도 차이가 심해요.
22/02/10 13:22
수정 아이콘
전년도 데이터가 없어서 예측이 어렵긴 했는데, 적어도 서강대까지는 이과생들이 점령할거라고 예상들 하긴 했었죠.
아라라기 코요미
22/02/10 13:23
수정 아이콘
오우야...
22/02/10 13:23
수정 아이콘
수학통합이 수학 약한 문과생들에게 치명타로 들어갈거란 예상이 적중해버렸죠. 수학 통합되면 이과생들에게 난이도 맞춰 낼 수밖에 없으니.
깃털달린뱀
22/02/10 13:25
수정 아이콘
상위권 대학은 저걸 가만 안두고 이과에서 쉽게 못넘어오게 할 거라는 전망도 보이더라고요.
문과든 이과든 최상위권 대학으로 남아야 하기에.
22/02/10 13:27
수정 아이콘
상위권 대학들이 문과 -> 이과는 막고 이과 -> 문과는 풀어준 거 보면 오히려 의도적인거 아닐까요..
깃털달린뱀
22/02/10 13:32
수정 아이콘
흐흐 저야 입시판 떠난지 꽤 된 알못이라.
메타 변하고 첫 입시라 다들 우왕좌왕 할텐데 아마 내후년 쯤 보면 어떤 방향으로 바뀔지 보이지 않을까요.
저하곤 아무 상관 없어서 팝콘각입니다만 흐흐흐흐흐흐.
부질없는닉네임
22/02/10 13:25
수정 아이콘
법대 사라진 이후로는 문과 최상위권의 메리트가 거의 없어졌고 10년 간 쭉 우하향이었죠.
법대 vs 의대에서 선택지가 의대만 남았으니...
여덟글자뭘로하지
22/02/10 13:28
수정 아이콘
이과가 국어 외국어를 버리고 간게 아니라 문과가 수학을 버리고 간거라서 당연한 결과긴 하죠.
뭐 학문에 있어서 우열이 있는가.. 하면 없다고 생각하긴 하는데, 직업에 있어서 우열이 있냐라고 하면 있다고 봐서.. 당장 연봉이..
빼사스
22/02/10 13:28
수정 아이콘
모든 학생이 과연 수학이 필요할까 싶어요. 실생활에서 방정식 이런 건 안 배워도 되잖아요.
썬업주세요
22/02/10 13:31
수정 아이콘
기초적인 방정식은 생활에 다 녹아 있고 별것도 아니죠
22/02/10 13:32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고연봉 직업을 바라지 않는다면 수학이 필요없지만 고연봉 직업 중에 방정식 수준의 수학적 사고조차 안 쓰는 직업은 없습니다. 냉정하게 말해서 방정식도 모르는 수포자가 로스쿨에 들어가기란 불가능하죠.(기본적으로 남들과 경쟁해야 하는 수험에서 고득점을 맞아야 하는데, 거기서 고득점 맞을 인지 능력이면 아무리 문과라도 해도 수학을 못하지 않죠 보통.) 마이클 패러데이 수준의 천재가 아니고서야.
달마야놀자
22/02/10 13:52
수정 아이콘
저는 공대 출신이고 리니어 어프록시메이션부터 손 놨는데 리트 메가 200등대입니다 진리의 케바케...
22/02/10 13:54
수정 아이콘
일단 대학은 들어가서 수포하셨다는 거니 크크...
만취백수
22/02/10 18:14
수정 아이콘
저도 편미방에서 손 놨습니다. 문제를 풀긴 푸는데 테이블 보면서 답 써내려가는 와중에도 제가 문제를 풀고 있긴 한건지 의구심이 ㅠ.
달마야놀자
22/02/10 18:51
수정 아이콘
많이 가셨군요 저는 1학년 1학기 미적부터 놓은건데 크크크
더파이팅
22/02/10 14:17
수정 아이콘
수능 수학은 실생활 산수능력을 평가하는게 아니라 수학적 사고 능력을 평가하는 거죠.
Rouge Scout
22/02/10 16:08
수정 아이콘
그렇게 치면 실생활에서 대학나올 필요도 없겠죠.
유료도로당
22/02/10 13:29
수정 아이콘
대학 서열화도 별 의미 없어지겠네요 이런식이면
이민들레
22/02/10 13:30
수정 아이콘
그냥 수학에 자신없으면 문과에 그렇다고 수학 못하는 학생이 국어 영어는 잘하느냐..?
22/02/10 13:34
수정 아이콘
우열이 가려진 거죠 뭐...
교대가즈아
22/02/10 13:35
수정 아이콘
근데 뭐 당연한 게 생물1이 사탐 3과목 급 분량인데다(유전 다 맞는 수준까지 가려면 그 이상이라 봅니다)

제일 핫바지인 지구과학마저 1컷 43나오는 시험이 됐으니 어쩔 수 없죠.


오히려 수학이 문이과 편차가 더 적다 생각될 정도로 지금 과탐은 미쳤습니다
부질없는닉네임
22/02/10 13:36
수정 아이콘
탐구 2과목으로 줄인 거는 진짜 정신나간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상대평가 시험에서 시험 범위 줄여봤자 더 고이기만 할 뿐, 학습 부담이 줄지가 않는데..
22/02/10 13:50
수정 아이콘
오 이런 이유가 있었군요
혹시 요즘도 물리 1,2가 생물 지구과학보다 빡센가요? 그럼 격차 벌어진게 이해가는데
더파이팅
22/02/10 14: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물리는 제2외국어로 치면 일본어 처럼 매니아 고인물들이 항상 있는 분야니 가장 빡세지 않을까요?
수학으로 이과 한번 거르고 그 안에서 물리로 한번 더 걸러 궁극의 이과형 인간 최종화가 물2 였는데...
교대가즈아
22/02/10 14:32
수정 아이콘
물리는 아무래도 재능러들이 가는 느낌이죠. 난이도는 생물이나 물리나 비슷합니다. 생물이 예전 암기 과목 시절이 아니라 극한의 귀납적 사고력을 요구하는 시험으로 바뀌어서요. 지구과학이 젤 쉬운 건 맞구요.

물2는 설대생 전용인데 그 중에서도 물리에 미친놈들이 하는 이미지죠.
도들도들
22/02/10 13:35
수정 아이콘
20년 전 고등학교에서는 문과 1,2등이 전교 1,2등이었는데 ㅠㅠ
22/02/10 13: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건 좀 학바학인게 저도 20년전 사람인데 이과 20-30 등이 문과로 전과해서 1등하고 그랬습니다. 그렇다고 제 경험을 기준으로 그 당시에 이과 학생 수준이 문과보다 뛰어낫느냐?라고 말 할 수는 없는 것이죠.

또한 단순 최상위권만 비교를 해도 인서울 의대랑 카이 법대(설의 설법은 제외)를 비교해야 하는데 당시 이과 최상위권인 인서울 의대가 연고대 공대 정도는 상대도 안 되게 압살하고 있었고 인서울 법대면 뭐 비교 자체가 안되는 수준이었죠. 인서울 의대랑 비비려면 연고대 법대도 좀 무리고 서울대 경영 경제 정도는 들고 와야 했거든요.

더 범위를 좁혀서 특목고끼리 비교해보면 지금은 아니지만 과거 특목고는 시험 보고 전국단위로 뽑고 그랬는데 문과 부동의 탑티어인 대원외고가 서울 과학고 떨어지면 가는 곳이었죠. 최근 20년간 문과가 이과보다 우월했던 적이 있었을 지는 잘 모르겠네요. 물론 그 반대도 증명하기 쉽지 않지만.
부질없는닉네임
22/02/10 13:38
수정 아이콘
저도 저 어릴 때랑 요즘이랑 문이과 차이에서 괴리를 느낍니다.
예전에는 법대 때문에 중위권이면 몰라도 최상위권은 문이과가 큰 차이가 안 났는데 이제는 의대때문에 최상위권은 서열정리되었으니 문과는 사실상 쩌리가 되었죠.
그 닉네임
22/02/10 13:43
수정 아이콘
로스쿨은 건재하고, 의전원은 사라진게 큰거같아요
갤러리
22/02/10 13:54
수정 아이콘
저희 학교도 전체 1등 문과 간 다음 설법갔어요. 전체 2등은 누구였는지 잘 모르겠는데 확실한 건 그 당시 최상위권 사이에서 문과 간 사람들 꽤 있었던 건 사실이죠.
22/02/10 14:13
수정 아이콘
20년 전 전교 1등 - 문과 설법 / 전교 2등 - 이과 설기계 / 전교 3등 - 문과 설경 / 전교 4등 - 문과 설경 / 전교 5등 - 이과 설의

지금이랑 비교하면 시절이 많이 변했네요
지니팅커벨여행
22/02/10 14:55
수정 아이콘
문이과 합쳐서 등수가 나올 수 있나요? 저희 학교는 그렇게 등수 매긴 적이 한번도 없었는데..
모나크모나크
22/02/10 15:10
수정 아이콘
1학년 때 전교 등수 아닐까요. 그 때는 문이과가 없으니
22/02/15 09:03
수정 아이콘
1학년 등수요. 그 때는 통합이라서요.
22/02/10 16:53
수정 아이콘
저는 90년대 후반 학번이라 20년 좀 더 되긴 했는데.. 저희 고등학교는 전교 2등만 문과고 전교 6~7등까지 싸그리 다 이과였습니다.
학교 바이 학교인 거 같아요.
22/02/15 09:07
수정 아이콘
저도 90년대 후반 학번이에요. 저희 학교는 최상위권은 문과, 그 다음 상위권은 이과, 그 다음은 또 문과 이런 식으로 좀 갈렸는데
아무래도 당시만 해도 서울 법대의 위상이 의대나 공대보다 약간은 높다는 인식이 조금이라도 있어서 그랬나 봅니다.
22/02/10 13:43
수정 아이콘
문과 학생 학업 수준이 이과보다 많이 낮다라고 이해하면 되는건가요? 아님 다른 무언가가 있는건가..
손금불산입
22/02/10 14:00
수정 아이콘
문과 취업 박살나고 있다는 이야기 나온지가 10년이 다 되어가죠. 애초에 문과가는 학생풀과 이과가는 학생풀부터 차이가 날겁니다.
Liberalist
22/02/10 14:03
수정 아이콘
법대 소멸 이후로는 이과가 문과보다 학업 성취 뛰어난거 부정하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문과 최상위가 이과 최상위와 그나마 비빌 구석이라도 있었던건 07-08 때가 마지막이었다고 보네요.
22/02/10 14:06
수정 아이콘
법대 폐지+취업난으로 최상위권 학생들이 이과로 몰리기 시작했고 이번 수능 수학 통합으로 쐐기 박았다고 봐야죠.
통합 이전부터 문과수학 1등급=이과수학 4등급이 정설로 통했는데 이번에 증명되버렸구요.
CP Violation
22/02/10 13:46
수정 아이콘
공부를 잘하든 못하든 이과 가는 게 무조건 좋아요
쓸데없이 범위만 줄이고 있는 판에 실질적으로 아는 게 훨씬 많아지는거
로피탈
22/02/10 13:50
수정 아이콘
아니 근데 솔직히 문이과 통합이라면서 기사는 왜 다 문과 이과를 나눠서 말하는 건지 모르겠네요
Liberalist
22/02/10 13:58
수정 아이콘
저도 문돌이입니다만, 대체로 자기 소신껏 진로 정하고 가는 0.X% 극상위권 아니면 이과 > 문과는 그냥 주어진 현실인거죠. 당연합니다.
22/02/10 14:01
수정 아이콘
문이과 통합하면 무조건 문과가 불리합니다. ㅠㅠ 결국 수학에서 갈리는건데요.....최상위문과는 간판지키려면 논술같은걸로 변별력을 키우거나 해야할거같네요.
파핀폐인
22/02/10 14:01
수정 아이콘
저도 문과인데 솔직히 말하면..

애초에 수학을 못한다는것 자체가 머리가 그만큼 뛰어나지 않다고 생각해서
이상하지 않다고 봅니다.
22/02/10 14:06
수정 아이콘
여태까지의 문이과 입결은 착시였죠. 10년전기준으로도 상위권중 80~90%는 다 이과로 몰렸습니다. 수능통합으로 이번에 제대로 뽀록난거구요.
22/02/10 14:30
수정 아이콘
누구나 알고 있었지만 쉬쉬하고 있던 일이죠
성큼걸이
22/02/10 14:34
수정 아이콘
본문과도 연관된 얘기입니다만 정부 대학 지원금 기준을 빡세게 만드는 등의 방법으로 간접적으로 문과 대학 정원을 줄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문과 정원이 필요 이상으로 많아요. 국가와 산업체는 이과 인력을 더 필요로 하는데 문과 정원이 더 많은게 이상해요. 인구가 줄어드는데 기존 대학 정원을 유지할 이유도 없구요.
전체 대학 입학 정원을 절반 이하로 줄여도 국가적으로 별 부작용 없을 거고, 오히려 등록금과 각종 사교육비+4년의 기회비용이 절감되어 사회적으로 선순환이 될거라 봅니다
MISANTHROPY
22/02/10 14:58
수정 아이콘
서울과기대 자연계열에서 연세대 "국어국문"으로는 교차지원 안할거같은데 왜 했을까요?
씹빠정
22/02/10 15:18
수정 아이콘
무조건 이과가야죠
바이바이배드맨
22/02/10 15:19
수정 아이콘
20년전에는 같은 학교 들어온 상경인 제가 공대 친구보다 성적이 더 좋았는데 말이죠 (이과로 시험치고 교차지원) 상경이 초핫하던 시절....
긴 하루의 끝에서
22/02/10 17:04
수정 아이콘
이공계(수학/과학) 만능주의/우월주의/중심주의에서 비롯되는 문이과 우열 논란은 이전부터 있어왔는데 혹여 근래의 일을 바탕으로 이 모든 걸 정당화하려는 듯한 모습들이 있지는 않을까 우려가 되네요.
공인중개사
22/02/10 17:29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22/02/10 17:13
수정 아이콘
이게 문이과 통합 첫 세대라서 드러난거지
상위권 이과 쏠림 현상 즉,최근 5년까지의 같은 학교내에서 문이과는 수준차가 있었다는거죠.
삼성전자
22/02/11 07:32
수정 아이콘
거짓 등가성의 원리가 적용되어 뭔가 두 집단이 동등하게 대우받고 차별받지 않아야 한다고 많이들 생각하게 하죠.
문과 이과라는 건 남자-여자처럼 동등하고 대등한 집단이 아닌데 말입니다.
그저 입시 편의성을 위해 설정해놓은 범위에 불과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57490 [기타] 누리호 큐브 위성 근황 [12] 니시무라 호노카10378 22/07/04 10378
452916 [유머] 우리 아이한테 연세대 나왔다고 말하지 마세요.jpg [28] 훈수둘팔자10073 22/04/23 10073
452236 [기타] 지원동기 같은 거 물어보는 게 아니었나요?...;; [30] 우주전쟁8140 22/04/13 8140
448709 [기타] 연세대 졸업한 기생수... [46] 우주전쟁10227 22/02/21 10227
447954 [유머] 숭실대 공대 = 연세대 문과.jpg [119] 삭제됨13950 22/02/10 13950
446274 [기타] 요즘 대학 등록금 상황... [46] 우주전쟁8585 22/01/21 8585
444743 [기타] 대학입시 판에서 불리는 대학별 묶음 명칭... [35] 우주전쟁9980 22/01/06 9980
441963 [기타] 서울 소재 주요 4년제 대학 캠퍼스 크기... [32] 우주전쟁12325 21/12/04 12325
438782 [기타] 연세대 논란중인 여성 교수 발언.jpg [95] 파랑파랑17515 21/11/04 17515
434735 [기타] [단독]女43% 男29% “성관계 안한다”… 한국인 ‘섹스리스’ 21년 만에 3배로 [60] 추천10397 21/09/28 10397
429765 [기타] 연세대 강의 근황.jpg [45] insane14509 21/08/10 14509
426247 [유머] 연세대 면접 합격하는법.jpg [29] 동굴곰12399 21/06/29 12399
425072 [유머] 한국 병원들의 분야별 세계 순위 [53] Leeka14632 21/06/16 14632
423915 [기타] 2021 THE 아시아 대학평가 순위 [27] 아츠푸10474 21/06/03 10474
417299 [텍스트] 연세대 줌 강의... 대참사 [24] 추천13094 21/03/24 13094
414812 [연예인] 연세대 최고 미녀였던 벡터맨 메두사 누나 근황.jpg [14] insane11241 21/02/28 11241
412492 [유머] 안티 코로나 바이러스 카드! [46] 마바라9943 21/02/05 9943
406504 [유머] 연세대학교 근황.jpg [185] 삭제됨18577 20/12/08 18577
404034 [기타] 전국 편의점 매출 1위.jpg [22] VictoryFood15413 20/11/15 15413
403217 [게임]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가 전부 여대가 된다면? [32] 추천13006 20/11/07 13006
398594 [기타] 등록금 순위표 1~60위 [2020ver] [43] 불행8777 20/09/25 8777
396443 [LOL] 재경기하면 0대0부터 시작할까 기대하는 DRX 단장.jpg [12] 살인자들의섬9669 20/09/03 9669
394430 [기타]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1년치 요금비교.jpg [24] 프테라양날박치기8978 20/08/11 897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