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1/06 13:59:46
Name Lord Be Goja
File #1 42.png (502.7 KB), Download : 16
출처 LG젠자 /기글 하드웨어
Link #2 https://live.lge.co.kr/lg-oled-evo-92g2/
Subject [기타] 좀더 작아지려고 노력중인 전자제품 (수정됨)


LG OLED 티비/모니터

이전세대는 48인치라인이 컴피타용으로 인기가 있었지만 그래도 책상위는 좀.. 이라는 분위기가 있었죠
저는 42인치는 좀..[34인치 219 커브드가 책상위게임은 한계치 아닌가 파]라 이번세대도 거를거같지만 아무튼 작아지니 좋네요.
이런거 홍보를 QR코드로 때우는 lg는  전설이다..


삼성의 미니LED 신제품은 더 커졌더군요.
( https://news.samsung.com/kr/%EC%82%BC%EC%84%B1%EC%A0%84%EC%9E%90-ces-2022%EC%84%9C-tv-%EC%8B%A0%EC%A0%9C%ED%92%88-%EA%B3%B5%EA%B0%9C%EB%A7%9E%EC%B6%A4%ED%98%95-%EC%8A%A4%ED%81%AC%EB%A6%B0-%EC%8B%9C )
작은거 만들어서 팔면 단가소화가 안되는거라 그런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동년배
22/01/06 14:06
수정 아이콘
48인치 C 모델 쓰고 있는데 눈에서 1미터 거리에 두고 쓰기에 크기는 큽니다. 모니터암도 버텨주는게 아슬하고. 눈하고 거리를 80cm 벌릴 수 없는 책상에서는 확실히 3x 인치가 한계인 것 같습니다.
22/01/06 14:07
수정 아이콘
작거나 크거나 결국 둘다 수익성 문제가 큽니다.

라인업을 아무리 많이 늘려도 일반적인 TV 소비층이 구매할 TV 수요는 한정적인데, 불필요한 라인업을 늘려봐야 결국 단가만 늘어나고 제 살 깎아먹기에 가까워서요. 특히 요즘 TV는 대형 인치가 대세가 되어서 어설픈 소형 인치는 좀 안팔리는 경향이 있기도 하죠

다만 42인치같은 경우는 본문처럼 기존 TV 소비층이 아닌 신규 수요 공략 (모니터 대체, 책상 거치 및 콘솔용 티비 활용 등) 목적으로 한번 내 볼 만한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22/01/06 14:09
수정 아이콘
42인치 모니터는 쓰는거는 봤는데 못쓰겟던데.. 차라리 지금쓰는 27 듀얼이 나은 느낌이라 제가 생각하는 모니터의 한계는 32까지인듯.. 혹은 34
시무룩
22/01/06 14:10
수정 아이콘
홈케이드 구성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것 중 하나가 모니터인데 42인치 쓰면 딱 좋을 것 같아요
아케이드 기기들이 40인치 전후인게 좀 많다보니 32인치는 부족한 느낌이 들거든요
42인치 모니터 높게 매달고 기타나 투덱 하면 정말 재미있을 것 같은데 항상 돈이 문제네요 흑흑
22/01/06 14:15
수정 아이콘
티모알못이라 그런데 티비와 모니터를 구분짓는 차이점이 뭘까요?
그걸 몰라서 그런지 본문 내용처럼 작은 티비를 만드려는 의도를 잘 모르겠네요
아니면 OLED는 작게 만드는 게 힘들어서 그런 건지?
Lord Be Goja
22/01/06 14:21
수정 아이콘
OLED디스플레이는 가격이 비싸다보니 가격대를 낮춰파는것에 한계가 있어서 (48인치가 130만원이라 비싸서 못 접근하는 층에게는 80만원에 27인치 제품을 판다고 날개돋힌듯이 팔릴수는 없다는 이야기) 기본적으로 수요가 한정적인데,같은 라인으로 많이 찍을수록 생산비는 싸지니까 티비랑 모니터를 겸용해서 조금이라도 더 팔수 있는 라인 부터 만들고 싶어하는거죠.
쿠퍼티노외노자
22/01/06 14:25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사이즈였는데, 요즈음은 해상도입니다.
아무리 작은 사이즈의 TV라도 해상도 때문에 모니터로는 사용을 하기에 어렵죠.
따라서 같은 사이즈 42"라도 TV보다 모니터의 해상도가 훨씬 높을 겁니다.
Lord Be Goja
22/01/06 14: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티비와 모니터는 인풋렉/잔상 사이의 최적화정도,색영역,PPI등 최적화면/편의성에서 좀 다릅니다.
단순한 예로 모니터로 인기있는 48CX 티비의 경우도 모니터로 쓸걸 상정을 안하고 만들어서 컴퓨터를 끄면 티비 전원 끌때까지 신호없음이 계속 뜹니다.(모니터는 신호끊기면 그냥 절전모드로 들어가는데,티비는 신호가 사라진게 중대사항이라 계속 보여주는..)
22/01/06 14:47
수정 아이콘
진짜정말리얼로 간단히 설명하면 같은인치 면 TV가 모니터보다 훨씬 쌉니다

TV는 평균 시청거리가 모니터보다 멀고, 사용 분야가 상대적으로 한정되다 보니 여러가지 제약에서 모니터보다 훨씬 자유롭습니다
22/01/06 15:11
수정 아이콘
전통적인 의미에서 티비와 모니터의 차이는
튜너(외부 티비신호받아서 화면출력 가능한 모듈) 여부였는데요
실제적으로는 위에분들이 말씀하신 다른부분들도 차이가 나죠
이민들레
22/01/06 14:20
수정 아이콘
오엘이디티비들은 인풋렉은 괜찮은가요.? 인풋렉 짜증나서 콘솔기기들도 모니터에 물리곤 하는데..
몽키매직
22/01/06 15:25
수정 아이콘
OLED 가 현존하는 디스플레이 중에서 인풋랙이 압도적으로 짧습니다. 보통 통합 인풋랙은 디스플레이 자체의 지연이 가장 큰 부분인데, OLED 의 경우에 이게 0 에 가까워서 그냥 보드에서의 지연이 끝입니다. 괜히 게임용으로 완벽한 디스플레이라고 하는 게 아닙니다. 반면 로컬디밍 디스플레이들은 개선이 많이 되긴 했으나 아직 인풋랙에서는 불리합니다. 삼성 QLED TV 들은 재작년 까지만 해도 인풋랙 줄인 게임모드를 켜면 로컬디밍을 아예 꺼버렸어요...

LG OLED 의 경우에는 게임모드 켜면 인풋렉이 최상급 게이밍 모니터 만큼 빨라집니다.
이민들레
22/01/06 15:27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합니다. 다음 티비는 반드시 오엘이디로..
라이디스
22/01/06 14:20
수정 아이콘
42인치oled 저는 티비로 쓰려고 기다리는데,
기다리는 사람들이 많아서 쉽게 못구할수도 있을거 같아서 두렵네요. ps5급으로 못구하려나..
TWICE쯔위
22/01/06 14:49
수정 아이콘
2014년에 65인치 UHD-TV를 모니터로 쓰다가(하만카돈 스피커 양사이드에 붙어있던 엘쥐꺼..)
현재 2016년 모델인 75인치 삼성 QLED제품 사용중인데..(KS9000)
이것도 만족스럽지 못해서 올해 출시되는 제품들 중 8K 85인치 제품군 기다리는 중인데.....

확실히 사람들마다 느끼는 사이즈 체감이 각각인 모양이긴 하네요 크크크크
파랑파랑
22/01/06 15:45
수정 아이콘
근데 oled tv를 플스나 pc모니터로 사용해도 되나요?
번인 괜찮나
벌점받는사람바보
22/01/06 15: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27인치 만족하고 32써도 되겠네 해서 샀는대
문서작업이나 구석에 화면의 정보가 필요한 게임은 창모드로 하고
영화감상 이나 액션,레이싱 같은 게임은 조금더 커도 되겠다 싶더군요
그나마 절충해서 32인치 인듯
영화는 21:9 가 보기 딱 좋았는대 넷플릭스 때문에 오히려 16:9가 좋아진거 같습니다.
21:9 는 게임용으로...
단비아빠
22/01/06 16:53
수정 아이콘
42인치 TV를 실제 모니터로 쓰고 있는 사람으로서 42인치 모니터의 진가는 써보면 안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75인치 TV 샀을때보다 42인치 TV를 모니터로 썼을때가 충격도 만족도도 더 컸습니다.
42인치 OLED는 정말 탐나는 물건이군요... 100만원 언더로 나온다면 한번 욕심내볼만 할지도...
22/01/06 17:25
수정 아이콘
OLED는 실제로 작게 만들기가 어려웠다고 하는 듯 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0068 [기타] [스압]옆동네 화제의 현직 치킨 자영업자의 글 [111] 톰슨가젤연탄구이15714 22/08/12 15714
459808 [기타] 의외로 해외에서 인기라는 현대차 챌린지 [9] Lord Be Goja9613 22/08/09 9613
459733 [기타] 세계적 인기 아카펠라 유튜버 메이트리 [32] 가라한8536 22/08/08 8536
458650 [기타] 편의점 맥주 버드와이저 할인행사 근황 [23] 카루오스8902 22/07/22 8902
456967 [기타] 아다치 미츠루 히로인 38인 총선거 (ADC38) 얼굴 맞추기 퀴즈 [41] Dresden5932 22/06/27 5932
456252 [기타] 대박났다는 쌍용 토레스 실물 사진 [53] 니시무라 호노카9376 22/06/16 9376
455906 [기타] 요즘 인기 차량 출고 대기 상황 [50] 길갈12613 22/06/10 12613
454498 [기타] 신문기자들이 갖춰야할 기본소양.TXT [43] 비타에듀10932 22/05/19 10932
454155 [기타] 여러분이 생각하는 이름빨 많이 받은 인물은? [68] 이탐화7621 22/05/13 7621
453114 [기타] 자기 작품 어시엿던 작가 밑에서 어시까지 하면서 20년 존버끝에 나온 작품.jpg [29] insane10718 22/04/26 10718
452753 [기타] 인도의 백인 민족, 카슈미르인들.jpg [14] TWICE쯔위9262 22/04/20 9262
452567 [기타] 2021년 주요 ott 실적 [31] 아롱이다롱이7989 22/04/18 7989
452201 [기타] 트위치 스트리머 어벤저스 엔드게임 시청 중 오열.avi [19] 하우스9432 22/04/12 9432
452087 [기타] 갑자기 인기가 떡락 중이라는 직업 [60] 묻고 더블로 가!13962 22/04/11 13962
451997 [기타] 작가들이 위성으로 출연자 찾는다는 프로그램 [14] 니시무라 호노카7823 22/04/09 7823
451250 [기타]  레딧 인기글에 올라간 한국 풍경.jpg [61] Aqours10815 22/03/30 10815
449050 [기타] 우크라이나 사태를 보면 섬뜩한 영상(feat.58채널) [3] 길갈9756 22/02/24 9756
448718 [기타] 인터넷 커뮤니티 자막 주작 모음 3 [16] 7742 22/02/21 7742
448448 [기타] LG의 새로운 게이밍 라인 [12] Lord Be Goja9519 22/02/17 9519
448290 [기타] 아프리카에서 압도적 인기를 누리고 있는 이모티콘 [13] 묻고 더블로 가!13144 22/02/14 13144
448133 [기타]  동아시아 3국중 한국만 인기없는 게임.jpg [67] Aqours14138 22/02/12 14138
445670 [기타] 테슬라 브레이크 패드 미부착 차량 납품 발각 [29] 아케이드9440 22/01/16 9440
444744 [기타] 좀더 작아지려고 노력중인 전자제품 [19] Lord Be Goja11151 22/01/06 1115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