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8/21 16:39:17
Name 추천
File #1 0821163450306883.jpg (1.65 MB), Download : 33
출처 https://theqoo.net/2130343019
Subject [유머] 한국 화장품 성분표기읽기 (수정됨)


수입제품 아니고 국산제품들
모두 국내 소비용으로 출시된 제품

적어도 한글정도는 병기해줘야하지않나싶은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깃털달린뱀
21/08/21 16:40
수정 아이콘
UED 출현이 멀지 않았습니다
포도씨
21/08/21 16:46
수정 아이콘
이게 사대주의 라던가 허영심 이런거 보다는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한글보다 알파벳이 훨씬 낫다는게 가장 큰것 같습니다.
빛폭탄
21/08/21 17:02
수정 아이콘
경고문에까지 디자인을 따지면 잘못된거죠.
포도씨
21/08/21 17:07
수정 아이콘
저게 잘했다는 의미는 아닌데요?
원래 본문 글에 영어로만 써 있지 않으면 잘 안 팔린다는 식으로 써있었고 그 이유에 대해 언급한 댓글이었는데 작성자가 본문을 왜 수정하셨는지 모르겠네요.
醉翁之意不在酒
21/08/21 17:09
수정 아이콘
역으로 지금은 알파벳이 뭔가 더 있어보이고 멋있어보이는게 예전에 한자가 그랬던것처럼 사대주의가 기저에 깔려있으어서 그런거 아닐까요?
사대주의라면 뭔가 부정적인데 그냥 뭐 선진문화에 대한 동경? 정도로 생각하면 또 별것도 없고.....
포도씨
21/08/21 17:16
수정 아이콘
아니요 자음, 모음을 조합하고 겹받침까지 사용하는 한글의 특수성때문에 정말 글자가 안 예뻐요. 고딕계열로 타이포그래픽 해보시면 딱 감이오실겁니다. 이건 사대주의랑은 관계없고 우리보다 획이 훨씬 많은 한자는 더하죠. 일정굵기 이상은 사용이 불가능하다는게 상당한 디자인제약이거든요.
21/08/21 18:13
수정 아이콘
원 댓글님의 의도는 그 한글의 특수성을 안 예쁘다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사대주의에서 온지 모른다는 뜻 아닐까요?
포도씨
21/08/21 18:32
수정 아이콘
예, 저는 사대주의와 전혀 관계없이 실제 미적으로 떨어진다고 하는거고요.
특정 굵기 이상의 글자로 디자인을 할 때 한글은 불가능한 굵기가 상당히 낮아요.
예를들어 '이' 와 '뷁' 두 자를 비교해 보세요.
또한 폰트를 제작하는데 있어서도 난이도가 비교할 수 없는 차이가 폰트의 다양성도 떨어지고요.
21/08/21 19:39
수정 아이콘
무언가를 아름답다고 느끼는 것(아름다움 뿐 아니라 다른 모든 느낌)은 한 인간의 경험에 의해 형성 되는 것 아닌가요? 그리고 그걸 계속 물려받으면서 변형 되고요. 그렇기 때문에 시간적 지리적 환경에 따라, 그리고 개개인에 따라 미의 기준이 조금 혹은 아주 많이 다르기도 하고요.

말씀하신 것 처럼 한글은 알파벳 보다 '안 예쁘다' 라는 절대적인 기준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 하신다면, 나라 마다 선호하는 이성의 외형적인 특징이 다른 건 어떻게 생각 하시나요?
포도씨
21/08/21 20:09
수정 아이콘
이건 미에대한 가치관과 다른 얘기입니다.
레고로 자동차를 만들때 기존 레고를 받은 사람과 레고 듀플로(저연령을 위해 만든 커다란 레고)를 받은 사람이 있다면 어느쪽이 생각하는대로 만들기 쉬울지 뻔한거니까요.
사람의 외모야 인종별로 달라질 수 있겠지만 동물과 곤충을 막론하고 새끼가 성체보다 귀엽다는걸 반박하실 분은 없겠죠.
디자인적인 제약이 상당히 많습니다. 한글은 한문은 더하고요.
21/08/21 20:28
수정 아이콘
예쁘다 안예쁘다를 언급 하면서 미에 대한 가치관과 다른 얘기다 라고 하는건 조금 말 장난 아닌가요?
포도씨
21/08/21 21:06
수정 아이콘
그럼 야수님은 사람들이 영어로 패키징된 물건을 더 잘 구입하는데 이유가 사대주의 vs 디자인 우위 둘 중 뭐로 생각하시는데요?
저는 그걸 디자인이라고 얘기하는거에요. 그런데 자꾸 절대적인 기준이 다른 개취의 영역에서 말씀하시니 대화가 겉도는거죠. 야수님이 사대주의라고 주장하신대해도 그걸 반박할 생각은 없어요. 그런데 타이포그라픽의 영역에서 한글은 영어에 뒤쳐진다라는게 그렇게 받아들이기 힘든 주장이 아니에요. 디자이너들은 모두 알고있는 얘기니까요. 당장에 폰트숫자만 비교해도 백배는 차이나죠.
21/08/21 22:24
수정 아이콘
포도씨 님// 다시 원 댓글로 돌아가보면 사대주의 vs 디자인이 아니라 디자인적으로 영어가 우위를 가지는 데에는 사대주의가 원인일지도 모른다 하는게 애초에 전하고자 하는 내용 같습니다.

사람들이 어떠한 디자인을 더 선호함에 있어서 미가 유일한 기준이 아니다 라고 하시면 그건 이해가 안가는게 아닙니다. 만약 님이 하고자 하는 말이 그거라면요.

그런데 앞에선 '예쁘다', '미적으로 떨어진다고' 같은 표현을 쓰시다가 갑자기 '미에대한 가치관과 다른 얘기입니다.' 라고 하시면서 영어가 디자인이 더 낫다고만 하시는데, 애초에 '미적으로 떨어진다' 이런 말은 왜 하신건가요?
포도씨
21/08/22 01:15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사대주의가 원인이 되려면 미적우의는 없고 사대주의만 영향을 끼친거잖아요. 저는 사대주의 영향으로 나아보이는것이 아니라 실제로 알파벳이 미적으로 나은거다 라는것입니다.
사람 얼굴이야 시대와 역사에따라 바뀌는것이 당연하지만 황금비, 구도의 안정감, 색의 조화 같은건 인류가 존재하는 한 뒤집힐 일이 없어요.
글자가 가지는 형태적 한계로 인해 다양한 모습으로 배열하고 바꾸는데 어려움이 있으면 디자인적으로 떨어지고 쉽게말해 안 예쁜게 맞는거지 시대나 문화탓 할게 아니죠. [ABC][기억니은디귿자음]은 글자두께를 조절하고 겹치고 이리 저리 배열하는데 미적으로 차이가 없지만 [LOVE][사랑]은 다양한 폰트와 굵기로 이리저리 배열하다보면 분명히 차이가 나요. 이 차이가 없다고 말씀하시고 싶으시면 본인에게 미적감각이 없으신겁니다.
21/08/22 03:32
수정 아이콘
포도씨 님// 님이 언급하신 황금비, 구도의 안정감, 색의 조화 같은것. 인류가 그 것들을 아름답다고 느끼는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그냥 거기에 아름다움이란 절대적인 가치가 있어서가 아니라요. 혹은 위에 언급하신 모음이나 겯받침 같은 것도 그냥 절대적으로 아름답지 않은게 아니라 그러한 패턴들을 덜 아름답다고 여기게 되는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결국 '미'란 인간이 무언가를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대한 문제이고, 그래서 정의 하기가 아주 어려운 것인데
님은 '미'에 절대적인 요소가 몇가지 있고 그 외에는 미적인 인식을 할 수 있는 요소로 여기지를 않으시는 것 같네요. 물론 어떤 특정 분야에선 그게 정답일 수도 있는데, 그런건 처음부터 명확하게 말씀하시는게 좋을 거 같습니다.
포도씨
21/08/22 09:11
수정 아이콘
전 처음부터 명확하게 단정지어 말씀드렸어요. 왜냐면 그래도 되는 문제거든요. 어느 누구도 자연현상이나 과학적 원리에 대해서 가치관이라 하지 않습니다.
춥다라는 표현이 사람마다 다를수는 있어도 남극은 춥다라는건 이견의 여지가 없죠. 세계에서 가장 추운곳이라는 과학적 근거가 있으니까요.
마찬가지로 알파벳이 한글보다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는 우수하다라는 표현은 해도 됩니다. 과학적으로 설명가능합니다.
안정감을 예로 들면 단어로 빌딩을 짓는다고 했을 때 LOVE는 가능 사랑은 불가능하죠.
구조적으로 단순하다는건 말은 더 예쁘다는거에요. 네모보다 원이 더 아름답다라는 말은 참입니다. 네모가 더 예뻐보이는 사람의 존재유무와는 별개로요. 전 그걸 말씀드리고 싶었어요.
사대주의에 쩔어서 영어가 멋져보이는 한국인이 아니라 크지 않은 차이이지만 분명히 인식하는 미의 영역이라는것이요.
21/08/22 10:58
수정 아이콘
처음부터 엄청 혼란스럽게 말씀하셨습니다.
애초에 원 댓글이 '알파벳이 뭔가 더 있어보이고 멋있어보이는게 예전에 한자가 그랬던것처럼 사대주의가 기저에 깔려있으어서 그런거 아닐까요?' 입니다.
더 멋있어 보인다는 말 자체가 미적인 것에 대한 평가이고 그 이유중에 하나로 사대주의일 수도 있다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 말은 '사대주의'가 미의 요소라고 전제하고 말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님은 쭉 보니 사대주의 같은 다른 요소는 미의 요소가 될 수 없다고 느끼시는 것 같고요.
님이 말하고 싶었던건 사대주의 외에 인간이 인식하는 '안정감', '황금비' 그런 것 때문에 영어가 더 뛰어나다고 말씀하고 싶으셨던 것 같은데, 그건 이해가 가는데 그렇게 설명하는 것 자체가 미의 요소를 임의로 축소해서 말하신 겁니다.
물론 그렇게 정의를 하는게 더 유리한 특정 분야는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점을 분명히 하고 표현을 했으면 맥락을 파악하기가 더 쉬웠을 것입니다.

생각하시는 '안정감', '황금비율' 같은 것들을 절대적인 가치로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 계속 말하지만 어떤 특정한 비율이나 패턴에서 더 안정감을 느끼고 그게 아름답다고 느끼는 것도 그게 그냥 아름다워서가 아니라 예를 들면 생존에 유리하든지 하는 어떤 이유가 있기 때문에 인간이 그렇게 느끼는 겁니다. 실제로 인간이 황금비율이 더 아름답다고 느끼는건 지금 보다 더 이른 시절의 인류의 본성과 관련이 있지 않나 짐작합니다. 그래서 그런 것에서 오는 아름다움과 예를 들면 '사대주의' 같은 다른 인식에서 오는 아름다움은 언뜻보면 엄청 다른 층위에 있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포도씨
21/08/22 12:26
수정 아이콘
대체 말장난은 누가 하고 있는건지 모르겠네요.
애초에 폰트라는게 뭔가요?
선분의 길이 곡선의 기울기 같은걸 수치화해서 일관되게 보이도록 만들어놓은거에요.
제가 미의 영역을 임의로 축소했다고요? 사람더러 예쁘다고하면 가치관의 영역이지만 디자인적으로 예쁘다고하면 기하학적인 아름다움을 이야기하는겁니다. 디자인의 요소가 뭔데요? 점, 선, 면, 입체, 형태, 질감같은 것들이에요. 색이나 질감을 얘기할리는 없으니 점과 선과 곡선의 비율과 밸런스가 낫다는 소리라고요. 거기에 자꾸 시대와 환경에따라 달라질 수 있는 요소라고하면 어쩌라는건지... 다시 말할게요.
알파벳과 한글은 가독성, 형태적 안정감, 다양성 어느면을 보더라도 알파벳에 비해 한글이 뒤떨어집니다. 그리고 이 판단은 수치화 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를 가지고 있고요.
그런데 야수님은 수치화 할 수 없는 부분을 가지고 꼬투리잡으시는건데 애초에 전 개취의 영역에서 얘기한적이 없어요. 디자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신거에요. 사람 생긴걸 디자인이 훌륭하다고 안하죠? 피카소 추상화가 아름다운 디자인이라고 하나요? 하지만 몬드리안의 그림은 디자인적으로 아름답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 요소가 들어있으니까요.
평행세계 어딘가에 우리나라가 세계제패를 한 초강대국이어서 한글이 예쁘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아무리 많아도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뒤떨어지는 글자의 구성요소들이 바뀔리 없으니 야수님의 말은 그럴 수도 있는 일이 아니라 그냥 틀린말입니다.
21/08/22 22:07
수정 아이콘
포도씨 님// 네 그러니까 님이 설명하신 '예쁘다'라는 말이 그 영역에서 구체적인 의미를 지닌 단어자나요. 그런데 예쁘다 라던가 미적으로 아름답다라는 말이 사람들이 잘 안쓰는 말도 아니고, 여기가 전공자 까페도 아닌데 별 다른 수식도 없이 '안예쁘다', '미적으로 떨어진다'라고 해놓고 특정 영역의 지식만 풀어놓고 있으면 그게 어떻게 전달이 되나요...
공부할때도 제일 중요한 것중 하나가 용어 정리인데....
21/08/21 18:02
수정 아이콘
그냥 한글도 예쁜 폰트하면 예쁘던데
포도씨
21/08/21 18:45
수정 아이콘
디자인만 고려하면 알파벳이 비해 떨어진다고요.
그냥 알파벳, 한글 6포인트로 줄여보시면 한글은 사용못할정도의 크기에요.
여기에 이정도 크기의 글자를 배치하면 예쁠것 같은데 알파벳은 가능 한글은 불가능이라는거죠.
한마디로 제약이 많다. 그 제약이 결과로 디자인적으로 완성도가 떨어진다는거죠.
히히힣
21/08/21 20:30
수정 아이콘
덕분에 몰랐던 것 배웠습니다. :D
서쪽으로가자
21/08/21 16:50
수정 아이콘
사용법,주의사항은 당연히 한글이 들어가야 할 것 같네요.
StayAway
21/08/21 16:54
수정 아이콘
한글로 해 놓으면 안팔리나
삭제됨
21/08/21 17:00
수정 아이콘
차라리 qr코드로 찍어놓든가
Janzisuka
21/08/21 17:08
수정 아이콘
그 안에 종이?에 한글 있지 않았나욤
21/08/21 17:10
수정 아이콘
별도 종이패키지에 적든지 따로 종이를 넣든지 하죠. 법상 한글로 표기는 필수입니다.
여기에텍스트입력
21/08/21 17:21
수정 아이콘
요즘 화장품 중에 종이를 넣는 경우는 드물고 아마 패키지에 표시는 되어 있었을 겁니다만.... 문제는 종이패키지 그거 천년만년 누구도 가지고 있질 않죠. 당장 눈앞에 이니스프리 로션이랑 짤 내 제품과 같은 제조사인 LG생활건강에서 나온 닥터벨머 토너가 있어서 보는데(광고는 아닙니다 크크) 두 제품 다 한글 문장으로 된 제품소개, 사용법, 피부과 테스트 완료, 제조원 및 판매원과 재활용 표시가 전부네요. 여성분들은 아마 토너라던가 패드라던가 보면 사용순서 자체는 알고 계실 확률이 크긴 한데 짤에 있는 제품들은 아무리 그래도 좀 심한 거 아닌가 싶습니다. 사용법까지 굳이 영어로 쓸 이유가...?
츠라빈스카야
21/08/21 17:25
수정 아이콘
성분표기가 아예 없는데...
21/08/21 18:50
수정 아이콘
저도 보면서 성분이 아예 안나오는데요? 라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나파밸리
21/08/21 17:29
수정 아이콘
영어로 되있으면 수출할때도 패키지만 바꿔서 팔면 되니 편하려나요

제품설명이나 성분은 패키지에 제대로 표시되어 있다면 큰 상관없을것 같기는 한데요
김첼시
21/08/21 18:13
수정 아이콘
어머니가 저한테 화장품 뭐라고 써있는지 자주 물어보시더라구요
21/08/21 18:59
수정 아이콘
화장품 사용층이 영어 읽을줄 아는 젊은 사람만 있는게 아닌데 좀 그렇긴 합니다. 저희 어머니도 저한테 화장품 뭐라 써있는지 물어볼 때가 가끔 있어요.
고분자
21/08/21 21:06
수정 아이콘
관련법에 없나보군요 저런건 강제해도 될거같은데 저렇게 허술할리가...
짬뽕순두부
21/08/21 21:38
수정 아이콘
있는데 작성자가 잘못캡쳐한겁니다. 종이 내지가 있어요 다
21/08/21 22:30
수정 아이콘
그런데 그러면 결국 사기 전에 확인할 방법은 없는거 아닌가요?
짬뽕순두부
21/08/21 22:49
수정 아이콘
전성분 표시는 최소한 열어서 볼수라도 있게 되어있어야 합니다. 밀봉되지 않은 상자 안에 넣어둬도 되지만 그걸 스티커로 막으면 안될거예요.
키스 리차드
21/08/22 13:15
수정 아이콘
전성분표시는 법적 의무사항이라,
패키지 상자 뒤쪽에 무조건 써 있을겁니다
21/08/21 21:21
수정 아이콘
화장실 가고 싶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41352 [텍스트] 이제 막 취직한 사회 초년생인데.TXT [7] 10415 21/11/27 10415
441249 [텍스트] (2ch)미래에서 왔습니다.txt [4] 11237 21/11/26 11237
441247 [텍스트] 3일간의 행복 三日間の幸福.txt [3] 12665 21/11/26 12665
441163 [텍스트] Sensual Love 모텔 야간직원을 위한 메뉴얼.txt [16] 11801 21/11/26 11801
441162 [텍스트] (엄청스압) 설명 좀 천천히 해.txt [8] 18055 21/11/26 18055
441099 [텍스트] 머리위에 학벌이 보이게 되는 소설.txt [9] 10003 21/11/25 10003
441075 [기타] 한 번 알고 나면 다시는 돌아가기 어려운 것... [2] 우주전쟁8112 21/11/25 8112
439115 [텍스트] "누나는 왜 다리를 안 먹어" [64] 14718 21/11/08 14718
438366 [유머] 여배우화장 전후 [2] 메롱약오르징까꿍11298 21/10/31 11298
438028 [기타] 의외로 화장실에서 평일에는 할수 있는것?! [18] Lord Be Goja10438 21/10/28 10438
437181 [유머] 화장실에서 담배 꽁초가 나왔어요.txt [65] KOS-MOS12291 21/10/21 12291
436935 [유머] 제발 화장실에서 담배좀 그만 [6] SaiNT10014 21/10/18 10014
436468 [서브컬쳐] (공포) 화장실 귀신 이야기 [10] Anti-MAGE9138 21/10/14 9138
435582 [유머] 전구만 갈아끼우면 되는 알바 [48] 길갈11173 21/10/06 11173
435162 [유머] 락스에 대한 오해.jpg [17] KOS-MOS11280 21/10/02 11280
434710 [텍스트] 개드립에 교사가 올린글 [60] 추천15004 21/09/27 15004
434230 [유머] 대체 화장실에 왜 그렇게 음료컵을 버리나요? [34] 라콩10455 21/09/23 10455
433470 [유머] 화장실 변기에 붙은 괴담같은 문구.jpg [8] 동굴곰10094 21/09/15 10094
432685 [유머] 판타지에서 무영창 마법을 보고 놀라는 이유 [31] 길갈13559 21/09/08 13559
432192 [기타] 중국, 여성스럽고 계집처럼 행동하는 남자 TV출연 금지 [38] 아롱이다롱이12764 21/09/03 12764
432190 [연예인] 뭐?! 요즘은 90년대식 선 굵은 미남은 안통한다고?!! [7] Lord Be Goja9715 21/09/03 9715
432010 [기타] 100일 후에 먹히는 돼지 주인 인터뷰 [114] 말랑요괴18091 21/09/01 18091
431115 [유머] [실제뉴스]지하철역 알몸으로 뛰어다닌 현역 군인 검거 [13] 추천11041 21/08/24 1104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