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6/07 13:16:04
Name 나주꿀
File #1 dnpej.jpg (92.3 KB), Download : 71
출처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48829260?search_type=subject&search_key=%EB%A9%94%EC%9D%B4%EC%9B%A8%EB%8D%94&view_best=1
Subject [스포츠] 메이웨더를 무시하는 여자 (수정됨)


아빠를 소환하는 건 킹쩔수 없지
(https://www.asiae.co.kr/article/2015050317551938375)

참고로 저 여자도 프로복서였다고 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W6NSe3U6JU&ab_channel=TaharkaNefertem)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tayAway
21/06/07 13:17
수정 아이콘
임요환 딸도 저러려나..
이스케이핀
21/06/07 13:22
수정 아이콘
'우리아빠? 복서야!'
21/06/07 13:18
수정 아이콘
누가 더 강한 복서인가? 하면 메이웨더일지 모르지만
누가 더 위대한 복서인가? 하면 그 누구도 무하마드 알리를 이길 수 없다

라는 말을 예전에 들은 적이 있어요.
카미트리아
21/06/07 13:21
수정 아이콘
강하다의 기준이 애매하긴 한데..
P4P 아닌 이상 체급 차이가 심해서...
올라이크
21/06/07 13:22
수정 아이콘
강하다로 따지면 메이웨더 위에 줄 어마어마하게 서겠죠. 누가 잘 이기냐로 따지면 높은 순위겠습니다만...
21/06/07 13:27
수정 아이콘
앗 P4P로.....
올라이크
21/06/07 13:34
수정 아이콘
P4P로 해도 가장 강한 건 아니지 않을까요? 경기를 잘 이기는 것 뿐이죠. 가장 스마트하다거나 가장 얍삽한-비겁한-재미없는 복서라는 타이틀은 자격 있다고 생각합니다.
에엑따
21/06/07 13:42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복싱 경기 승리를 가장 잘 하는 선수 정도는 납득합니다.
21/06/07 13:47
수정 아이콘
경기승리를 가장 잘하는게 가장 강한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In The Long Run
21/06/07 14:12
수정 아이콘
태클이 아니고 궁금해서 여쭤보는 건데요 경기를 잘 이기는게 곧 강한거 아닌가요...? 복싱 룰을 지키는 선에서 상대보다 많이 치고 상대가 내는 펀치는 덜 맞아서 이긴 거니까 상대보다 더 강한거잖아요
도라지
21/06/07 14:54
수정 아이콘
이길려고 상대를 가려서 매치업을 했다는 논란이 있습니다.
절대불멸마수
21/06/07 15:50
수정 아이콘
메이웨더의 경우 질 경기는 피한다는 점에서는 경기 승리와 강함이 꼭 일치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강함은 분명하지만, 역대 최고를 논한다면요
올라이크
21/06/07 16:19
수정 아이콘
애매하고 개인마다 판단이 다를 수 있겠지만, 복싱은 격투기라는 것에 기초한 생각입니다. 상대를 쓰러뜨리는 강한 펀치, 상대의 펀치를 맞고 견디는 터프함을 기준으로 보면 메이웨더보다 '강한' 선수는 많을 겁니다. 동체급에서도요. 기본적으로 복싱은 상대를 때려서 쓰러뜨리는 게 목적인 경기인데, 메이웨더는 그게 아니라 포인트 따서 이기려는 게임을 하죠. 이기기 힘든 상대는 피한다는 시선도 있고요.
프랑켄~~
21/06/07 13:36
수정 아이콘
메이웨더는 스포츠화된 복싱에 최적화된 대단한 선수고,(정해진 시간안에 쓰러드리든, 점수를 내서 이기든 규칙안에서 이기는 경기에 집중)
알리나 다른 복서들은 상대를 주먹으로 쓰러뜨린다는 복싱의 원초적인 의미에서 대단한 선수이고.. 저는 후자에 더 정이 가네요..
마카롱
21/06/07 13:42
수정 아이콘
게임도 메타 최적화가 있듯이 메이웨더는 복싱 룰에서 가장 잘이길 수 있도록 최적화된 복서 같아요.
스덕선생
21/06/07 13:58
수정 아이콘
누가 더 뛰어넌 미드라이너냐는데 1대1로는 A선수가 최강이다라고 하는거죠.

물론 일대일 능력이 좋으면 그것만으로도 스노우볼을 굴릴 수 있지만, 19시즌 캡스가 쇼메이커를 꺾은 것처럼 라인에 묶어놓고 로밍을 간다던가 하는 식으로 풀어나갈 방법도 있죠. 그 정점이 도인비였고요.

사실 알리 본인도 아웃복서인데다, 경기 운영의 대가인데 이미지탓에 뭔가 무식한 근성형 복서취급을 당하는게 웃기긴 합니다 크크
리자몽
21/06/07 14:02
수정 아이콘
가드 하지 않고 상대방 농락하는 짤을 보면 메이웨더와 비슷한 과인데

뭔가 이미지가 근성형 복서 처럼 박혀있긴 합니다
21/06/07 14:08
수정 아이콘
개인사적 스토리라인은 근성가이 맞긴 하죠 흐흐
약설가
21/06/07 14:15
수정 아이콘
메이웨더를 둘러싼 여러가지 이프 놀이에서 '응 로건폴'을 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잃은 게 많은 경기였지 않아 싶습니다.
우주전쟁
21/06/07 14:38
수정 아이콘
알리가 미국사회에 정치 사회적으로 끼진 영향도 크죠...단순하게 복서로만 한정하기에는 아까운 인물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24314 [게임] 아무도 예상치 못했던 귀환 [21] 이호철12303 21/06/07 12303
424313 [동물&귀욤] 싱글벙글 웰시코기.jpg [9] KOS-MOS9058 21/06/07 9058
424312 [기타] '마음의 소리' 조석, 폐결핵 확진 [28] TWICE쯔위14167 21/06/07 14167
424311 [유머] [감동실화] 이왕걸과 만두콘 [12] 거짓말쟁이12406 21/06/07 12406
424310 [유머] 금수저 남자와 과외 누나 이야기.txt [58] 삭제됨12294 21/06/07 12294
424309 [기타] 지식을 얻는데 걸리는 시간 19초(혐?) [32] 꿈꾸는드래곤11935 21/06/07 11935
424307 [연예인] 방송켠 파이의 흘리기 [14] 조휴일14402 21/06/07 14402
424306 [유머] 구독자 100만 넘은 전기 첫 컨텐츠 [16] 히히힣12204 21/06/07 12204
424305 [기타] 최후의 필살기를 꺼낸 BJ파이 [22] 묻고 더블로 가!13571 21/06/07 13571
424304 [유머] 프라모델계의 극단주의자 [7] 어바웃타임9333 21/06/07 9333
424303 [유머]  한국인도 모르는 미얀마 근황 [31] TWICE쯔위12704 21/06/07 12704
424302 [유머] 일촉즉발 바티칸 [12] 길갈8984 21/06/07 8984
424301 [기타] 임요환이 프로게이머 역사에 길이 남는 이유.JPG [26] Aqours11731 21/06/07 11731
424300 [기타] 요리영상 호불불불불호 [26] Lord Be Goja10828 21/06/07 10828
424299 [유머] 엄마 신기한 거 보여드릴게요.gif [4] TWICE쯔위9363 21/06/07 9363
424298 [기타] 침묵의 장기 간...관리합시다... [24] 우주전쟁13443 21/06/07 13443
424296 [LOL] 와 오늘 예매였지? [16] 취준공룡죠르디7918 21/06/07 7918
424295 [기타] 신입이 알려주는 술자리예절 [52] 추천12051 21/06/07 12051
424294 [유머] [약후] 적나라한 비키니 자국.jpg [8] KOS-MOS12750 21/06/07 12750
424293 [텍스트] 술자리에서 왜 라벨을 손으로 가릴까? [53] 추천15992 21/06/07 15992
424292 [유머] 이 나이에 무슨 운동이냐는 당신에게 [13] KOS-MOS10885 21/06/07 10885
424291 [서브컬쳐] 탄지로의 이름의 뜻 [17] KOS-MOS8560 21/06/07 8560
424290 [서브컬쳐] [귀멸의 칼날] 상자 속 실제 상황 [2] 세츠나7647 21/06/07 764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