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3/14 13:43:11
Name 아롱이다롱이
File #1 1615606191.jpg (97.6 KB), Download : 61
출처 군사마이너갤
Link #2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1728096&exception_mode=recommend&page=1
Subject [기타] 2021년 만장일치 선진국 24개국


Oece imf cia 등 공신력 있는 국제기관 8개 만장일치 선진국 목록임

민주주의척도, 경제, 삶의질, 교육, 인간개발지수, 자연환경, 노동의질 등등 다 고려한거임.

경제 상위 티어지만 만장일치 못 받은 국가들.
대만은 나라로 인정 못 받아서 없고, 싱가폴은 독재국가, 이스라엘 uae나 카타르는 종교땜에 없다고 보면됨.

비유럽 6개국
한국 일본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유럽 18개국
독일 오스트리아 체코 스위스 이태리 그리스 포루투갈 스페인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프랑스 영국 아일랜드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출처 - 군사마이너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중년의 럴커
21/03/14 13:46
수정 아이콘
프랑스는?
닉네임을바꾸다
21/03/14 13:52
수정 아이콘
선진국에 있는데요?
닉네임을바꾸다
21/03/14 13:47
수정 아이콘
아 개발도상국이라고...
ComeAgain
21/03/14 13:48
수정 아이콘
저기서 24강(4팀*6조)으로 축구를 한다면...?
한국 몇 위 갈까요. 16강?
스위치 메이커
21/03/14 13:52
수정 아이콘
비유럽끼리 붙자!
21/03/14 14:37
수정 아이콘
대충 13~14등 언저리 되보이네요.
WeakandPowerless
21/03/14 16:15
수정 아이콘
와 생각해보니 축구로는 저기서 중간은 가겠네요 크크 (희망회로 가미)
유재석
21/03/14 13:49
수정 아이콘
개도국 꿀 빠는게 나은거죠???
아롱이다롱이
21/03/14 13:53
수정 아이콘
원출처 게시글 댓글보면 그러더군요. "개도국 지위 달라고"
21/03/14 13:54
수정 아이콘
개도국 꿀 빠는게 농업분야한정인데 솔직히 일반인들 입장에서는 개도국 지위 없는게 단기적으로는 낫습니다.장기적으로는 모르겠고요.
당장 관세가 줄어서 수입품 싸게 가져오는데요.(본인들 탓이든 환경탓이든)농산물 물가가 정말 너무합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1/03/14 13:56
수정 아이콘
환경분야에서도....
21/03/14 14:24
수정 아이콘
이제는 빨래야 빨 꿀도 없어서 그냥 인정하는게 맞죠.
장단점이 있는데 한국인이 꿈꾸는 갑질하는 열강 꼬리라도 하고 싶으면 선진국 인정하고 할 의무 다하는게 맞습니다.
21/03/14 13:52
수정 아이콘
개발도상국 꿀좀 더 빨게 해주새오...
21/03/14 13:52
수정 아이콘
응애 우리 개도국
개도국 혜택 줘..
죽력고
21/03/14 13:53
수정 아이콘
중국도 독재라서 없는건가요?
사나없이사나마나
21/03/14 13:53
수정 아이콘
아마도 경제, 자연환경 정도 빼고 나머지 분야에서 높은 점수를 못 받지 않았을까요?
닉네임을바꾸다
21/03/14 13:54
수정 아이콘
아뇨 그냥 소득에서 컷당하는데요...
1인당 만불 이제 넘었...
선진국과 강대국은 다른용어입니다...
21/03/14 13:56
수정 아이콘
인당 gdp로 치면 언급되는게 오히려 특이한거죠.이제 겨우 중진국입니다.
예니치카
21/03/14 13:53
수정 아이콘
우리 개도국 응애
지구특공대
21/03/14 13:53
수정 아이콘
중국과 인도가 없군요.
닉네임을바꾸다
21/03/14 13:56
수정 아이콘
강대국일 순 있어도 선진국이라 보기엔 가장 대표적 수치인 1인당 GDP에서 컷당해요...
Bronx Bombers
21/03/14 14:17
수정 아이콘
선진국=강대국이 아니니까요.
Scavenging Hyena
21/03/14 15:39
수정 아이콘
중국과 인도는 후진국인데 당연히 없죠.
미메시스
21/03/14 13:54
수정 아이콘
막상 선진국이 된 한국은 이제 뭘해야 할지 갈피를 못잡고 있다고 한다 ..
스덕선생
21/03/14 13:56
수정 아이콘
선진국으로 뽑혀봐아 보통 국제사회 기여 더해라, 환경오염 방지책 동참해라 이런거라...
퀀텀리프
21/03/14 13:58
수정 아이콘
에헴.. 나 선진국 국민임
답이머얌
21/03/18 10:03
수정 아이콘
미국 거지도 영어할 줄 안다고 하는데 우리 나라에서 못사는 사람은 뭘로 자랑질을?
유니언스
21/03/14 14:03
수정 아이콘
아 순간 선지국으로 보고 뭐지? 했습니다.
배고파서 그런가
21/03/14 16:25
수정 아이콘
선지국은 만장일치 나올만 하죠. 끄덕
시나브로
21/03/14 14:04
수정 아이콘
이거 엄청 관심 있는 분야인데 흥미롭네요. 그리스, 포르투갈, 체코는 의외에요.

그리고 지금도 의문인(데 그냥 탐구 안 하고 지나친 관심 안 갖는) 아일랜드 적은 인구수 감안해도 정말 1인당 gdp 7만 8,660.96으로 3위급 맞냐.

스위스급인데 스위스 사람들은 그 정도로 잘사는 거 맞는 거 같은데 아일랜드는 영 아닌 것 같아서요.

(라고 쓰면 좋은 답변 얻을 수 있으려나요 흐흐)
닉네임을바꾸다
21/03/14 14:14
수정 아이콘
그런건 PPP를 보면 대강 느낌적 느낌을...
21/03/14 14:23
수정 아이콘
아일랜드가 조세피난처 & 금융 허브로 펌핑해놓은 GDP라서 실제 생활 수준이 명목 GDP를 따라오지는 못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1인당 GDP로 따지면 홍콩 시민이 한국인 평균보다 많이 높지만 실제 생활 수준은 그렇게 크게 차이 나지 않는 것처럼요.
번개크리퍼
21/03/14 14:15
수정 아이콘
개도국으로 해줘라 좀
닉네임을바꾸다
21/03/14 14:16
수정 아이콘
그럼 찐 개도국들이...?
앗!힝!엨!훅!
21/03/14 14:16
수정 아이콘
체코는 우리나라 기업들 공장짓길래 인건비가 싼 동유럽인가했는데 그게 아닌가보네요.
Zakk WyldE
21/03/14 16:32
수정 아이콘
테코는 실제로 가보고 선진국이라기 보다는 아~ 물가 참 싸네 라고 느끼긴 했는데 뭐 그다지 좋아 보이는것도 없고
근데 옆에 오스트리아 소득은 높은데 거기도 마트가보면 참 쌌던거 같기는 합니다
21/03/14 14:21
수정 아이콘
한국인은 한국보다 1인당 GDP가 낮으면 전부 개도국으로 간주하는 버릇이 있는데, 올해 처음으로 이탈리아를 1인당 GDP로 넘기면서 이탈리아를 개도국으로 보내버렸죠 크크
닉네임을바꾸다
21/03/14 14:23
수정 아이콘
앗...
한방에발할라
21/03/14 14:27
수정 아이콘
인식이 우리나라=개도국 수장 or 선진국 수문장이니 우리나라보다 밑이면 개도국인 거죠 크크크
이선화
21/03/14 16:57
수정 아이콘
이제 진짜 로마의 후예가 누구지? 크크
21/03/14 14:23
수정 아이콘
그리스가?? 이건 좀 납득이 안가네요. 내가 유럽에 대해 너무 무지한건가?
닉네임을바꾸다
21/03/14 14:25
수정 아이콘
선진국이면서 나름 체급도 있었으니까 그런 복지 정책을 수행할 수 있었고 망한다니까 국제경제가 휘청인거죠...
베네수엘라같은 나라가 폭망한다고 국제경제가 휘청이진 않잖...
21/03/14 14:32
수정 아이콘
그렇네요. 북한 망한다고 경제위기 안오죠. 위키 찾아보니까 인구 천만 정도던데 그 인구수로 그정도 파괴력이었으니..
닉네임을바꾸다
21/03/14 14: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덤으로는 유로존으로 얽혀있어서 증폭된것도 있긴합니다...
그런데 북한 망하면 그걸 수습할 우리나라에 여파가 오면서 약간 충격이 될수는 있고 상황에 따라선...
21/03/14 14:25
수정 아이콘
그리스가 금융위기때매 망했지만 한때는 인당 GDP 3만불도 찍었습니다. 한번 선진국은 전쟁으로 폭망하지 않는 이상은 영원히 선진국이죠.
냉정하게는 포르투갈같은 쩌리도 선진국 마지노선으로 들어가고요.
21/03/14 14:30
수정 아이콘
하긴 상위 10개 국가 정도면 모를까 24개국이면 생각보단 널럴하긴 하네요. 중국이나 이슬람국가보다 순위 높은 것도 인정이구요
깃털달린뱀
21/03/14 14:40
수정 아이콘
이게 우리나라 사람들은 한국이 개도국이거나 선진국이라도 말석이다 라는 관념이 있는데 아닙니다. 선진국 내에서도 중위권은 돼요. 우리보다 많이 구려보여도 선진국일 수 있습니다.
AaronJudge99
21/03/14 22:53
수정 아이콘
오...이건 몰랐네요
하긴 우리가 대충 세계에서 10~13등인데
저기에는 24개국이니까요
21/03/14 14:24
수정 아이콘
이교도약제사
21/03/14 14:39
수정 아이콘
24개 이내가 아니라 10개로 해도 10위내지 11위정도는 충분히 되는거 같긴 합니다.
생각보다 한국이라는 브랜드 인지도도 꽤 있는거 같네요;
캐나다 이민와서 다양한 사람들.(캐나다출생자와 여러 출신 이민자들)과 얘기해봐도
South Korea가 선진국 이라는 이미지는 뭐 거의 확실한거 같더라고요;;
아마 일본사람빼고는 거의 다 선진국 맞다고 할거 같긴 합니다 킄킄
닉네임을바꾸다
21/03/14 14:43
수정 아이콘
한국사람도 인정안하는데요?
이교도약제사
21/03/14 16:54
수정 아이콘
한국사람을 빼먹고 있었네요...킄킄
특히나 오래전에 이민온분들은 더 그렇습니다;;;
21/03/14 14:45
수정 아이콘
크크 일본한테 인정받으려면 GDP로 독일 영국 꺾고 올라와야 가능할 듯요
21/03/14 14:46
수정 아이콘
일본도 젊은 애들은 선진국으로 인정하죠 크크
일본 애들도 한국인이 대만보듯해서 그렇지 사실 선진국으로 봐주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크크
21/03/14 15:56
수정 아이콘
근데 출처가 일본어 위키..
이교도약제사
21/03/14 16:55
수정 아이콘
재일 위키러가 악의적으로 편집했다고 5ch같은데서 우기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킄크
21/03/14 14:43
수정 아이콘
북한이랑 전쟁날까봐 매일매일 노심초사하며 지냅니다. 아 저 말구요.
동년배
21/03/14 15:51
수정 아이콘
그리스 포르투갈 체코는 우리가 보기에 ... 이지만 세계 평균 생각하면 선진국 맞죠.
중국인도브라질은 강대국-지역강대국지만 선진국은 아니고
21/03/14 16:14
수정 아이콘
영프독 보다는 아래고 이태리 스페인은 비슷하거나 넘어서는 중이고. 일본 미국 보다는 아래고 호주 캐나다랑 비슷할듯 하네요.

이렇게 보면 선진국의 잣대로 한국보다 확실히 앞선다고 할 만한 나라가 5-6개 정도 밖에 없는것 같기도 합니다.
21/03/14 17:07
수정 아이콘
우리가 보기엔 쟤네들 선진국 아닌데? 하는 목록 보고 우리나라 다시 돌아보면
이미 10위권 상위의 선진국이죠. 나라파워나 군사전력만 보면 나름 강대국 목록에도 끼일만한데 주변이 헬..... 지역강국도 아니고 크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17063 [유머] 3만 2천년 전 씨앗의 꽃을 피움 [37] 길갈12126 21/03/22 12126
416296 [기타] 2021년 만장일치 선진국 24개국 [63] 아롱이다롱이12714 21/03/14 12714
415523 [기타] 독일국민들이 1차대전 패배를 믿지 않은 이유 [6] 블랙번 록11363 21/03/07 11363
414771 [기타] [미스테리] 피터 버그만 사건 [4] 문문문무9090 21/02/27 9090
410974 [기타] 산에 올라가야 한다고 남들이 했는데 안 올라간 장군 [3] 블랙번 록7125 21/01/20 7125
407662 [유머] 나폴레옹이 만족하면 벌어지는 일 [12] 추천10325 20/12/19 10325
406882 [기타] [펌]세계 가장 잘사는 30개국 현황 [31] 우그펠리온11602 20/12/12 11602
402895 [기타] 오스트리아의 사례 [27] 퀀텀리프11252 20/11/04 11252
400200 [기타] 프랑스에게 전쟁 선포하던 시절 히틀러의 인기...... [57] TWICE쯔위15369 20/10/11 15369
398401 [유머] 2020 이그노벨상 수상자 목록 [16] 불행10297 20/09/23 10297
394061 [유머] 폴란드볼)폴란드의 수도는? [21] 동굴곰9558 20/08/06 9558
387781 [기타] '카이에 뒤 시네마' 선정 2010년대 영화 TOP 10 [11] 실제상황입니다9085 20/06/01 9085
386569 [기타] 1990년대를 대표하는 감수성 [29] 불같은 강속구13934 20/05/19 13934
379789 [스포츠] 눈물없인 볼 수 없는 SPOTV 현재상황.jpg [21] Do The Motion10460 20/03/13 10460
378944 [유머] 1차 대전 당시 독일군 최대 숙적 [14] 블랙번 록10119 20/03/05 10119
371333 [유머] 모짜르트는 오스트리아인인가 독일인인가 [17] 길갈8747 19/12/09 8747
370007 [서브컬쳐] 칼 리히터 폰 란돌 [15] 류지나7380 19/11/23 7380
367446 [기타] 익스트림 사다리 [25] 한박8454 19/10/28 8454
360912 [기타] 전세계 브랜드 가치 순위 2019.jpg [37] 홍승식13955 19/08/21 13955
358400 [유머] 세계의 역사를 바꿔버린 아카데미 [24] 이호철9738 19/07/23 9738
356135 [유머] 프랑스 대포는 뭔가 다르다?? [2] 겨울삼각형8690 19/06/26 8690
351650 [유머] 세계 각국의 최초 지하철 개통 연도.txt [31] 홍승식13146 19/04/30 13146
349499 [기타] 18억짜리 소방차 [36] 어강됴리14340 19/04/05 1434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