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3/08 01:05:11
Name 아케이드
File #1 대한민국.png (31.1 KB), Download : 59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nominal)_per_capita
Subject [기타] 2020년도 1인당 GDP 순위 (수정됨)


IMF에서 발표한 2020년도 1인당 GDP 순위입니다.

우리나라는 30,644달러로 26위네요

2018년에 33,346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찍은 후 2년 연속 감소했습니다.

2018년에만 해도 일본 금방 따라갈 줄 알았는데 이게 더 벌어져 버렸네요...

뭔가 응원하는 해축팀이 우승을 노리고 있다가

두게임 연속 승점 드랍해 버린 그런 느낌이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3/08 01:13
수정 아이콘
와 샌 마리노라는 국가도 있군요. 샌 마리노 스트리트에 살고 있어서 그런지 눈에 확 들어오네요 크크
아케이드
21/03/08 01:15
수정 아이콘
이탈리아에 둘러싸인 도시국가라고 하네요.
21/03/08 08:05
수정 아이콘
샌 마리노가 아니라 산마리노에요.
Cazellnu
21/03/08 08:11
수정 아이콘
세인트피러버그?
빛폭탄
21/03/08 01:18
수정 아이콘
2015년 10월 IMF 기준
일본 32,481
대한민국 27,513

이 가장 근접한 수치같은데 일본은 환율에 따라 출렁임이 심해서 그거 감안하고 봐야 할거에요.
아케이드
21/03/08 01:20
수정 아이콘
확실히, 숫자로는 그때가 더 근접했었네요
근데, 그때까지만 해도 뭔가 일본과는 아직 격차가 있는 느낌이었고 2018년에는 다 따라 왔다는 느낌이 들었었던거 같아요
같은 3만대라서 그런 건가...
DownTeamisDown
21/03/08 01:19
수정 아이콘
작년은 많이 떨어진게 맞는데 올해는 선방한게 맞을겁니다.
그게 코로나 여파에서 덜떨어져서... 일본이 2019년엔 43,000달러 수준이었거든요.
아마 올해는 한국도 올라갈만한게 D램값이 이미 많이 오르고 있고 또 엄청 오를꺼라서 아마 또 올라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2022년은 모르지만 말이죠
21/03/08 01:22
수정 아이콘
3만-4만선 중간이 없네요 저 구간에 뭔가 있나...?
21/03/08 01:31
수정 아이콘
18년도 언저리까지 중국꿀 아주 잘 빨았던 시기죠. 괜히 정부에서 중국을 쉽게 포기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고요.
Chandler
21/03/08 01:48
수정 아이콘
갓직히 중국의 젖꼭지가 우리나라 입장에서 달긴 달았죠...

앞으로는 모르겠지만...특히 경쟁산업에서 중국이 치고 나오기 시작하면...그래도 중국의 시장크기가 무시할 사이즈는 절대 아니겠지요.

우리입장에선 미중 적당히 싸우고 우리는 꿀이나 빨던 때가 제일 좋았죠.
21/03/08 01:52
수정 아이콘
정말 중국꿀 달달했죠. 그렇게 달달하게 먹어놓고선 왜 중국꿀 샀냐고 욕하는 분들보면 참 뭐 어쩌라고 싶어요
21/03/08 10:1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는 개인적으로 친중은 아니지만, 작년까지 대학원 재학중에 학교 커뮤니티에서 혐중 드립들은 진짜 심하긴 했습니다. 물론 저도 중국발 미세먼지 짜증나고 홍콩 탄압 같은거 반대하지만, 학교 유학생들 상당수가 중국학생이고 막말로 걔들이 학교 등록금 대주는게 얼마인데 그냥 대책없이 욕하면 다냐고요. 저는 학교라는 작은 사례에서 말한거고 국가적 차원에서도 대중무역으로 이득보는게 얼마인데요. 반대로 너무 굽실거리는 것도 웃기지만 비즈니스마인드로 접근을 해야 할거 아니겠어요.
그랜드파일날
21/03/08 10:42
수정 아이콘
미국조차도 기업가들이 손절 못하는걸 정치가 억지로 떼어내는 모양새죠. 저도 취준하면서 느낀건데 오히려 대기업들은 신규 시장 찾아서 이동해온지 좀 됐는데 중국 하나로 먹고 사는 중소기업들이 꽤 된다 였습니다...
21/03/08 13:25
수정 아이콘
중국은 좋든 싫든 핵심 비즈니스 파트너인데 무작정 탈중해라는 말은 진짜 의미없는 말이죠
21/03/08 01:43
수정 아이콘
룩 룩 룩셈부르크
21/03/08 01:44
수정 아이콘
아 아 아르헨티나
키비쳐
21/03/08 01:49
수정 아이콘
석유가 넘쳐나는 사우디
21/03/08 01:52
수정 아이콘
이런거 보면 한국이 삶의 질 상위 10퍼는 택도 없습니다.
이스칸다르
21/03/08 02:29
수정 아이콘
gdp 순위를 보면, 인구가 적은 나라들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를 제외하면, 대한민국 보다 인구가 많고 gdp 도 높은 나라는 없습니다. 한국 정도면 괜찮은 수준이지요.
21/03/08 06:12
수정 아이콘
저기있는 한국보다 1인당 GDP 높은 나라 인구 다합치면 10퍼센트는 당연히 넘고 10-15퍼 사이일겁니다. 그것만 봐도 상위 10퍼는 아니라고 봅니다.
물론 삶의 질이 gdp에 어느정도 비례한다고 가정하는거겠죠.
닉네임을바꾸다
21/03/08 02:4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마 우리보다 1인당 지디피 위에 있는 국가 인구 합쳤을때 미국+일본이면 3분의 1은 차지할거같은데...
계화향
21/03/08 06:02
수정 아이콘
일본에서 끊어야 10% 조금 넘겠네요. 한국까지 넣으면 한 12~13%...? 근데 삶의 질은 일본이나 우리나라나 큰차이 없을겁니다. 생활수준은 보통 명목보다 ppp기준으로 보는게 그래도 좀 더 낫다고 하니까요.
내년엔아마독수리
21/03/08 02:29
수정 아이콘
아랍에미리트가 엄청 높을 줄 알았는데 그건 또 아니네요
Zakk WyldE
21/03/08 02:44
수정 아이콘
오스트리아는 왜 저렇게 높은건가요?
가보면 그냥 뭐 별거 없는 그냥 평화로운 동네랑 시골 같은 느낌인데..
Lord of Cinder
21/03/08 03:37
수정 아이콘
인구가 천만 명도 안되는데, 레드불이나 스와로프스키, 마그나 슈타이어 같은 세계적인 회사들이 좀 있다보니...? 얼핏 생각하기로는 소위 강소기업들이 경제를 받치고 있지 않나 싶네요.
음란파괴왕
21/03/08 02:51
수정 아이콘
저걸 보면 우리나라는 아직 개도국임에 틀림없습니다. 제발 개도국 하게 해주세요.
지니팅커벨여행
21/03/08 07:43
수정 아이콘
20위 안에도 못 드는데 제발 개도국 좀... 굽신굽신
몽키.D.루피
21/03/08 02:54
수정 아이콘
미국 사이즈에 저 액수는 진짜 말도 안되는 거죠. 괜히 갓조국이 아님.
김재규열사
21/03/08 03:12
수정 아이콘
한국 순위가 너무 높은거 아닌가요. 이탈리아랑 비슷하고 제가 못찾은건지 스페인보다 높다고요?? 한 40위권이겠거니 예상하고 클릭했다가 순위가 너무 높아서 당황하는 중입니다
21/03/08 05:20
수정 아이콘
스페인 경제 맛간지 꽤 오래되었습니다.
AaronJudge99
21/03/08 06:50
수정 아이콘
옛날의 한국이 아닙니다 크크
고란고란
21/03/08 09:13
수정 아이콘
인구 천만 이하 소국들이랑 중동국가들 제외하면 12,3위쯤 할겁니다. 스페인은 제친지 몇년 됐어요. 이탈리아랑 비슷한 게 맞을겁니다.
김재규열사
21/03/08 11:10
수정 아이콘
전체 GDP는 10위권인데 1인당 GDP도 상당히 높아졌군요. 전혀 예상치 못한 곳에서 국뽕 한스푼 맛봤네요.
평행선
21/03/08 12:08
수정 아이콘
헬조선이라 하지만 막상 그럼 어디 가서 살고 싶냐고 하면 나오는 답이 손꼽히는 선진국밖에 없죠. 진짜 랜덤 가챠 돌리면 바로 헤븐 대한민국 소리 나옵니다.
영양만점치킨
21/03/08 03:14
수정 아이콘
미국 위엄이네요 미국사이즈에 저 순위라니.. 미국 제외하면 독일 나올때까지 인구 5천만 이상인 나라가 없는거 같은데
21/03/08 03:43
수정 아이콘
진짜 미국이 굉장하다는 건 잘 알겠네요 차원이 다름
kartagra
21/03/08 03:57
수정 아이콘
미국은 저 수준에 인구 3억이 넘고 앞으로도 인구 고민은 크게 없을거라는게 진짜 힘이죠. 우리나라나 중국이나 일본이나 전부 고령화 크리맞아서 골골거릴 것 같은 미래만 예상되는데 미국은 거기서도 혼자 나홀로 비상각이 가장 높아보이는지라(세계에서 이민 치트키를 가장 쉽고 상대적으로 부작용 적게 쓸수 있는 국가의 위엄..) 중국이 왜 난리치는지 어느 정도는 이해가 가긴 하죠.
21/03/08 08:56
수정 아이콘
중국 손절 여론이 높아지니 국민 감정 반영해서 손절하고 다시 2만불 가는 걸로?
히이짱
21/03/08 10:05
수정 아이콘
스페인이 완전 폭망했네요.
21/03/08 10:06
수정 아이콘
ppp 기준으로는 우리가 일본 이기는데... 물론 구매력평가 기준이 의미가 크지는 않습니다만
21/03/08 18:23
수정 아이콘
대만이 한국/일본 다이기는 지표는 큰 의미없다 봐야죠
한방에발할라
21/03/08 10:52
수정 아이콘
세계적인 불황 때는 기축통화가 평가 절상 되기 때문에 명목 gdp로 봐버리면 착시효과가 심하게 나타납니다. 모 경제 신문에서 이걸로 호도하는 기사 냈다가 욕 드럽게 먹고 삭튀했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15646 [유머] 폰 살 때마다 생각나는 K-애덤 스미스 [13] 취준공룡죠르디8689 21/03/08 8689
415645 [LOL] ??"돌려돌려~ 돌림판!" [14] roqur8914 21/03/08 8914
415644 [기타] 이번은 확실히 달라보이는 갤럭시 A시리즈 스펙루머 [41] 별빛정원8580 21/03/08 8580
415643 [LOL] 페이커님 나만의 상자 까주세요!!! [10] 따라큐9194 21/03/08 9194
415642 [방송] 다람쥐썬더 영화 [2] 예익의유스티아6923 21/03/08 6923
415640 [기타] 깍두기 재사용 식당 사과 [37] 톰슨가젤연탄구이11122 21/03/08 11122
415639 [서브컬쳐] 피카츄 모음 (데이터) [7] 따라큐7355 21/03/08 7355
415637 [기타] 나라별 5개씩 세는법 [15] 추천8886 21/03/08 8886
415636 [유머] 모든 문화를 빼앗긴 중국 [24] 나주꿀10861 21/03/08 10861
415635 [서브컬쳐] 오늘 개봉한 에반게리온 결말(초초초초강스포) [84] 실제상황입니다15792 21/03/08 15792
415634 [유머] 금딸..해야하는 이유.jpg [41] 마늘빵13417 21/03/08 13417
415633 [게임] 디아블로2 리마스터 호재... [14] Lord Be Goja10569 21/03/08 10569
415632 [유머] 대충 킹룡 나오는 판타지 만화.manwha [13] 파랑파랑6598 21/03/08 6598
415631 [기타] 문화상품권 더 싸게 구매하기 [7] 판을흔들어라8384 21/03/08 8384
415630 [유머] 자취 단계별 혼잣말.JPG [33] 파랑파랑9681 21/03/08 9681
415629 [LOL] T1의 상황에 대한 더블리프트의 코멘트 (feat. meteos) [13] 아지매8479 21/03/08 8479
415627 [기타] LG 레인보우폰(V70) 국내출시 무기한 연기 [18] Lord Be Goja10423 21/03/08 10423
415626 [유머] 한국과 일본. 지금부터 서로 죽여라.jpg [6] AKbizs12769 21/03/08 12769
415625 [유머] 유부남 자위의 위험성 [21] 파랑파랑12092 21/03/08 12092
415624 [기타] 찐 여초사이트 피지알 [15] 우스타8990 21/03/08 8990
415623 [유머] 어른이 되면 로보트 장난감 다 살꺼야! .jpg [13] 마늘빵9473 21/03/08 9473
415621 [유머] 포경수술 안하면 냄새가 심합니다 [27] 솜사탕라떼12404 21/03/08 12404
415620 [유머] 한번도 안만나고 결혼까지 [15] 인간흑인대머리남캐14313 21/03/08 143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