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3/08 01:18
2015년 10월 IMF 기준
일본 32,481 대한민국 27,513 이 가장 근접한 수치같은데 일본은 환율에 따라 출렁임이 심해서 그거 감안하고 봐야 할거에요.
21/03/08 01:20
확실히, 숫자로는 그때가 더 근접했었네요
근데, 그때까지만 해도 뭔가 일본과는 아직 격차가 있는 느낌이었고 2018년에는 다 따라 왔다는 느낌이 들었었던거 같아요 같은 3만대라서 그런 건가...
21/03/08 01:19
작년은 많이 떨어진게 맞는데 올해는 선방한게 맞을겁니다.
그게 코로나 여파에서 덜떨어져서... 일본이 2019년엔 43,000달러 수준이었거든요. 아마 올해는 한국도 올라갈만한게 D램값이 이미 많이 오르고 있고 또 엄청 오를꺼라서 아마 또 올라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2022년은 모르지만 말이죠
21/03/08 01:48
갓직히 중국의 젖꼭지가 우리나라 입장에서 달긴 달았죠...
앞으로는 모르겠지만...특히 경쟁산업에서 중국이 치고 나오기 시작하면...그래도 중국의 시장크기가 무시할 사이즈는 절대 아니겠지요. 우리입장에선 미중 적당히 싸우고 우리는 꿀이나 빨던 때가 제일 좋았죠.
21/03/08 10:12
(수정됨) 저는 개인적으로 친중은 아니지만, 작년까지 대학원 재학중에 학교 커뮤니티에서 혐중 드립들은 진짜 심하긴 했습니다. 물론 저도 중국발 미세먼지 짜증나고 홍콩 탄압 같은거 반대하지만, 학교 유학생들 상당수가 중국학생이고 막말로 걔들이 학교 등록금 대주는게 얼마인데 그냥 대책없이 욕하면 다냐고요. 저는 학교라는 작은 사례에서 말한거고 국가적 차원에서도 대중무역으로 이득보는게 얼마인데요. 반대로 너무 굽실거리는 것도 웃기지만 비즈니스마인드로 접근을 해야 할거 아니겠어요.
21/03/08 10:42
미국조차도 기업가들이 손절 못하는걸 정치가 억지로 떼어내는 모양새죠. 저도 취준하면서 느낀건데 오히려 대기업들은 신규 시장 찾아서 이동해온지 좀 됐는데 중국 하나로 먹고 사는 중소기업들이 꽤 된다 였습니다...
21/03/08 02:29
gdp 순위를 보면, 인구가 적은 나라들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를 제외하면, 대한민국 보다 인구가 많고 gdp 도 높은 나라는 없습니다. 한국 정도면 괜찮은 수준이지요.
21/03/08 06:12
저기있는 한국보다 1인당 GDP 높은 나라 인구 다합치면 10퍼센트는 당연히 넘고 10-15퍼 사이일겁니다. 그것만 봐도 상위 10퍼는 아니라고 봅니다.
물론 삶의 질이 gdp에 어느정도 비례한다고 가정하는거겠죠.
21/03/08 06:02
일본에서 끊어야 10% 조금 넘겠네요. 한국까지 넣으면 한 12~13%...? 근데 삶의 질은 일본이나 우리나라나 큰차이 없을겁니다. 생활수준은 보통 명목보다 ppp기준으로 보는게 그래도 좀 더 낫다고 하니까요.
21/03/08 03:37
인구가 천만 명도 안되는데, 레드불이나 스와로프스키, 마그나 슈타이어 같은 세계적인 회사들이 좀 있다보니...? 얼핏 생각하기로는 소위 강소기업들이 경제를 받치고 있지 않나 싶네요.
21/03/08 03:12
한국 순위가 너무 높은거 아닌가요. 이탈리아랑 비슷하고 제가 못찾은건지 스페인보다 높다고요?? 한 40위권이겠거니 예상하고 클릭했다가 순위가 너무 높아서 당황하는 중입니다
21/03/08 09:13
인구 천만 이하 소국들이랑 중동국가들 제외하면 12,3위쯤 할겁니다. 스페인은 제친지 몇년 됐어요. 이탈리아랑 비슷한 게 맞을겁니다.
21/03/08 12:08
헬조선이라 하지만 막상 그럼 어디 가서 살고 싶냐고 하면 나오는 답이 손꼽히는 선진국밖에 없죠. 진짜 랜덤 가챠 돌리면 바로 헤븐 대한민국 소리 나옵니다.
21/03/08 03:57
미국은 저 수준에 인구 3억이 넘고 앞으로도 인구 고민은 크게 없을거라는게 진짜 힘이죠. 우리나라나 중국이나 일본이나 전부 고령화 크리맞아서 골골거릴 것 같은 미래만 예상되는데 미국은 거기서도 혼자 나홀로 비상각이 가장 높아보이는지라(세계에서 이민 치트키를 가장 쉽고 상대적으로 부작용 적게 쓸수 있는 국가의 위엄..) 중국이 왜 난리치는지 어느 정도는 이해가 가긴 하죠.
21/03/08 10:52
세계적인 불황 때는 기축통화가 평가 절상 되기 때문에 명목 gdp로 봐버리면 착시효과가 심하게 나타납니다. 모 경제 신문에서 이걸로 호도하는 기사 냈다가 욕 드럽게 먹고 삭튀했었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