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3/06 09:13:32
Name 우주전쟁
출처 https://story.kakao.com/_B5ZZd7/kHMHUhfGqvA
Subject [기타] 1억7천만원 짜리 TV
lwc1Ivw.jpgYSmo1GW.jpgVjcUhZL.jpg

삼성에서 나온 마이크로 LED TV 110인치라고 하네요.
삼성 말로는 마이크로 LED가 향후 OLED를 씹어먹을 차세대 소자라고 합니다.
가격은 1억7천만원 입니다.

그렇다면 좀 기다렸다가 다음 생에 일론 머스크로 태어났을 때 구매하도록 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eturn Of The N.ex.T
21/03/06 09:18
수정 아이콘
당장 두께만 봐도 할 일이 많아 보이네요
삼성이니 괴물같이 해법을 찾겠지만요
21/03/06 09: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실물을 봤는데, 벽에 고정된 상태를 재현하기 위해 거치대가 두꺼운거지 TV 자체 두께는 3cm 이하입니다.
(스펙 찾아보니 24.9mm라네요.)
아직 기존 슬림형 LED TV 보다는 두껍긴 합니다만.
네이버후드
21/03/06 10:05
수정 아이콘
OLED는 동전 두께라 ...
The)UnderTaker
21/03/06 10:54
수정 아이콘
oled도 어차피 뒤에 보드단자들때문에 두꺼운데요 뭐
네이버후드
21/03/06 12:14
수정 아이콘
비싼거는 안그래요...
21/03/06 09:19
수정 아이콘
만드는데 한 달이 걸린다고....
21/03/06 09:19
수정 아이콘
요즘 건물 외벽에 스크린이 보일 때마다 블레이드 러너가 생각납니다.
혜정은준아빠
21/03/06 09:23
수정 아이콘
두께는 별 문제 없을꺼요. 다만 해상도 × 3 만큼의 많은 led 를 패널에 어떻게 효율적으로 붙이는지가 더 어려울 것 같네요. led 단가도 문제구요..
VictoryFood
21/03/06 09:24
수정 아이콘
이거 여러개 붙여서 더 크게 만들 수도 있는 그건가요?
우주전쟁
21/03/06 10:15
수정 아이콘
그런 동영상을 본 것 같습니다...
마늘빵
21/03/06 09:29
수정 아이콘
내방 책상에 걸만 할까요?
21/03/06 09:44
수정 아이콘
화장실에 걸어두면 똥 쌀때 큰 도움이 될 겁니다.
스카이다이빙
21/03/06 09:40
수정 아이콘
일반티비 170개 정도 살 수 있군요 크크
Lord Be Goja
21/03/06 09:45
수정 아이콘
https://gigglehd.com/gg/lifetech/9566399

에서 코멘트들을 보니까 만드는게 굉장히 힘든거같더군요
몽키매직
21/03/06 10:00
수정 아이콘
마이크로 LED 양산화하는 난이도가 최상이라....
양산전자에서도 시제품은 꾸준히 어필하는데 양산 소리 안나오는 거 보면...
대박났네
21/03/06 09:47
수정 아이콘
두번째 짤 기둥 확대는 어떤 의미인가요
forangel
21/03/06 09:53
수정 아이콘
1억4천짜리 옷, 1억5천짜리 침대 생각하면 나름 저렴해보이네요..
블리츠크랭크
21/03/06 09:54
수정 아이콘
대형 OLED, 즉 지금의 LG의 방식은 white LED를 뒤에 깔고 위에다가 color filter를 올리는 방식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광원에 해당하는 white LED를 만드는 난이도는 낮은편입니다. 반면, 지금 삼성이 하고 있는 micro LED 같은 경우는 삼성의 소형 OLED와 같은 방식입니다. 각 화소에 해당하는 LED를 따로 만들어야하기 때문에 굉장히 난이도가 높습니다. 그럼에도 110인치 이상으로 하는 이유는 아직까지 픽셀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방법 - LED를 작게 만드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입니다. 동일한 PPI에서는 화면이 클 수록 픽셀도 커질 수 있으니까요.
그놈헬스크림
21/03/06 10:58
수정 아이콘
3/3 행사에서 99인치 88인치 추가로 발표되긴 했습니다.
가격이 어떨지는 모르겠지만...
블리츠크랭크
21/03/06 11:00
수정 아이콘
해상도를 봐야할거 같습니다. 크기만 줄이는거야 뭐 쉽죠...
그놈헬스크림
21/03/06 11:03
수정 아이콘
지금 상황에서 8k 는 말이 안되고 4k로 나오는거 같습니다.
블리츠크랭크
21/03/06 11:08
수정 아이콘
작아졌는데 가격이 역주행하는 기적을 볼지도 모르겠네요 크크크크크크
21/03/06 10:11
수정 아이콘
정확한 비유가 아닌 듯하지만 OLED가 전기차라면 이쪽은 최첨단 디젤차 같은 느낌이에요.
아지매
21/03/06 11:22
수정 아이콘
그냥 비싼거 빼고는 oled랑 비교 안됩니다.
마이크로LED 가 모든면에서 더 좋습니다.
비싼게 크리티컬한 문제라 그렇지.

https://byline.network/2020/12/15-96/


마이크로 LED는 결국 AMOLED의 장점을 모두 가졌으면서 번인, 해상도, 크기에서 모두 AMOLED 이상의 강점을 갖고 있다. 속도 면에서도 OLED보다 장점이 있으므로 미래의 디스플레이라고 부르기에 무리가 없다.
으촌스러
21/03/06 10:18
수정 아이콘
일론 머스크 벼락거지 됐답니다.
21/03/06 10:43
수정 아이콘
십만전자!? 호재?
퓨쳐워커
21/03/06 10:53
수정 아이콘
그래도 십년만 기다리면 아예 vr쪽으로 산업구조가 개편된게 아니라면 여기 댓글다는 우리도 충분히 살만한 가격 될겁니다.
그놈헬스크림
21/03/06 11: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마이크로 led가 단순 led 갯수만 해도 4k 기준 3840*2160*3 이니... 거의 2500 만개가 들어갑니다...
가격이 쌀수가 없죠...
블리츠크랭크
21/03/06 11:05
수정 아이콘
80인치 이상에 대응 할 수 있는 리소그라피용 렌즈가 나오면 공정가격이 싸질지도.... 말해놓고 보니 판타지네요 완전
그놈헬스크림
21/03/06 11:07
수정 아이콘
진짜 번인 걱정없이 리얼블랙이 가능한 마이크로led tv를 일반인들이 살수있는 시대까지 살수있을지...
기대반 걱정반이네요... 이제 남은 인생이 반정도 밖에 안남은것 같은데...
블리츠크랭크
21/03/06 11:08
수정 아이콘
카푸어도 아니고 티비푸어가 된다면 가능할지도 (...)
그놈헬스크림
21/03/06 11:08
수정 아이콘
집도 tv 크기가 큰만큼 큰 집이 필요해서...
블리츠크랭크
21/03/06 11:09
수정 아이콘
ㅠㅠ
서지훈'카리스
21/03/06 13:01
수정 아이콘
OLED는 110인치 못 만들거에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15525 [유머] 일본 맥도날드 메뉴 [18] 블랙번 록13448 21/03/07 13448
415524 [동물&귀욤] 진정한 전투적 식사 [10] 흰긴수염돌고래8219 21/03/07 8219
415523 [기타] 독일국민들이 1차대전 패배를 믿지 않은 이유 [6] 블랙번 록12079 21/03/07 12079
415522 [기타] 2차세계대전 직전의 독일 국민들 체감해보기.jpg [64] 삭제됨15421 21/03/06 15421
415521 [서브컬쳐] 그랑죠 3D 변신장면 [7] 제가la에있을때8880 21/03/06 8880
415520 [LOL] 테디 "다음 경기에 볼 수 있으면 좋겠네요".clip [21] 카루오스11666 21/03/06 11666
415519 [방송] 간만에 들어도 넘 멋진 조선 건국가와 고려 건국가.youtube [3] valewalker8218 21/03/06 8218
415518 [서브컬쳐] 개인적으로 좋아했던 원피스 에피소드 [37] 제가la에있을때9834 21/03/06 9834
415517 [LOL] 드디어 인터뷰 [22] roqur12985 21/03/06 12985
415516 [연예인] 아니 야. 다들 집합 [1] 노지선8823 21/03/06 8823
415515 [유머]  이시각 브레이브걸스 갤러리 아재들 근황 [2] TWICE쯔위10665 21/03/06 10665
415514 [LOL] 씨맥에게 배달된 비디오테잎 한 통 [15] ELESIS10267 21/03/06 10267
415513 [스타1] 이 버그를 여태까지 못 보셨을껍니다 [14] 삭제됨11545 21/03/06 11545
415512 [유머] 침착맨이 말하는 원피스 소생시키는 방법 [35] 우그펠리온12749 21/03/06 12749
415511 [유머] 펌) 방송 중 급 사주보는 연예인(feat.로또왕) [4] 코코밍10257 21/03/06 10257
415510 [기타] 변동금리 탄 흑우 없쟤? [51] 피쟐러12736 21/03/06 12736
415509 [LOL] 아 옛날이여 [22] roqur8732 21/03/06 8732
415508 [유머] 청렴도 매년 우수나오는 기업.jpg [23] 파랑파랑13207 21/03/06 13207
415507 [기타] (PC용)오타마톤 피아노 . youtube [1] 추천11282 21/03/06 11282
415506 [LOL] T1 vs KT 1세트 요약 [3] insane9156 21/03/06 9156
415505 [유머] 남편을 이유 없이 이름으로 부르면 [10] 길갈12456 21/03/06 12456
415504 [게임] 쿠키런 킹덤 근황 (+오후 10시 이후 추가) [21] 은하관제10981 21/03/06 10981
415503 [기타] 경복궁에 사는 해치 . ilust [18] 추천10738 21/03/06 1073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