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1/04 13:50:14
Name 청자켓
출처 구글
Subject [기타] 강남 한복판 신축 아파트.jpg


얼마나 좋을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오클랜드에이스
21/01/04 13:50
수정 아이콘
위치 죽여주네요... 크흡
죽력고
21/01/04 13:51
수정 아이콘
가격도 죽여줄듯요...
그말싫
21/01/04 13:53
수정 아이콘
심지어 초품아에
역세권도 그냥 역세권이 아니라 강남역 역세권...
신축...

이거 진짜 가격이...
하얀마녀
21/01/04 13:53
수정 아이콘
서초 그랑자이... 이름부터 개간지.... 옥상에서 그랑죠 나올 것 같음.....
21/01/04 13:54
수정 아이콘
저런데도 층간소음이 날까요
21/01/04 13:55
수정 아이콘
한남더힐 층간소음 유명하더라구요.
21/01/04 13:56
수정 아이콘
파이팅 넘치는 집안이라 시끄러운 때가 조용할 때보다 많은 집이었는데 주택이라 다행이네요..
짬뽕순두부
21/01/04 13:56
수정 아이콘
한남더힐도 난다는거보니 비싼 아파트라고 층간소음 없는건 아닌가봅니다.
21/01/04 13:58
수정 아이콘
그거 사는 사람들이면 층간소음 없애는데 몇 천 우습게 쓸 사람들인데 왜 못(혹은 안)하는 건지 모르겠네요.
인테리어도 다 맡아서 해 주는 업체도 있던데 참 신기합니다.
시공사가 컨트롤할 수 없는 영역인건가...
21/01/04 14:06
수정 아이콘
층간 소음은 층과 층사이 콘크리트 타설시 진행되었던 흡/차음부를 손보는 공정이 필요한 공사라 쉬운일이 아닙니다.
구조를 건드리지 않는 천장 추가 흡음 공사등은 가능합니다 실제로 많이 하구요.. 일반 아파트라면 천고가 낮아 힘들겠지만 한남 더 힐 처럼 천고 높은 아파트라면 개인적인 인테리어 공사 추가로 많이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21/01/04 19:03
수정 아이콘
확실히 층고만 높아도 체감 스트레스가 확 줄어들더군요.
다람쥐룰루
21/01/04 14:13
수정 아이콘
애초에 옵션으로 방음제를 더 넣어서 입주했다면 모를까 이미 입주를 끝내고서 윗층이 시끄러우니까 우리집을 뜯어고치고 싶지는 않겠죠... 그래도 불편하면 해야겠지만요
게누크
21/01/04 13:54
수정 아이콘
외관은 보통 아파트들처럼 못생겼네요. 갤러리아 포레나 아크로 포레스트 같이 이쁜 아파트들도 있는데 그렇게 지으면 돈이 많이 드는걸까요?
21/01/04 14:00
수정 아이콘
갤러리아포레와 같은 100% 커튼월 주거용 건물은 허가가 안나구요...
아크로 포레스트는 박판 세라믹 외장이라 일반 아파트에서는 좀 힘들겁니다 고가 외장 마감이라.,
몽키매직
21/01/04 14:12
수정 아이콘
통유리는 관리도 어렵고 실용성도 떨어집니다.
인테리어 각잡고 하지 않으면 일반 아파트식의 프레임 샷시? 보다 저렴해 보여서 인테리어 난이도도 올라삽니다.
통유리 창문 아파트 (혹은 오피스텔) 한 번 살아보고 다시는 안 산다고 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디자인도 중요하지만, 대단지는 일단 실용적이고 대중적이어야죠.
대부분의 사람들은 개방감보다 프라이버시가 우선이기 때문에...
안철수
21/01/04 13: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학군이 별로고 주위가 온통 유흥가라서
강남 서초에서 제일 싼 동네 중에 하나였는데... 재건축 끝나면 바뀌려나요.
삼성가든스위트 사는 사람이 이 동네 진짜 부자..
21/01/04 13:59
수정 아이콘
저런 곳에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게 사회에 무슨 이득이 있는지 모르겠어요. 당첨자는 확실한 이득이겠지만요. 분양가 상한제를 하든 뭘하든 저기는 30평대 분양가가 15억은 넘어갈꺼에요. 실제 시세로는 30억은 되겠죠. 분양가도 15억이 넘으면 대출규제에 걸려서 은행 대출 없이 15억을 내야하는 계층이 어떤 사람들일지 뻔하지 않을까요? 그런 사람들에게 시세 차익을 2배를 리스크 없이 가져다 주는게 맞는 건지.... 차라리 저런 고가 주택의 경우 분양권을 나라에서 경매로 팔았으면 좋겠어요. 그래서 얻는 이득 중 현재 분양가 상한제에 해당하는 금액 만큼은 조합에 주고 나머지 차익은 나라에서 세금으로 쓴느게 더 맞지 않을까 싶어요. 다른 고가 아파트도 그렇지만 특히 저런 초고가 주택에 청약 공고문을 볼때마다 도대체 누구를 위한 제도인가 생각하곤 합니다.
김연아
21/01/04 14:53
수정 아이콘
재건축 이익은 환수하면서, 분상제로 로또 당첨 맞는 사람들은 개이득보는 진짜 이상한 제도가 시행 중이죠.
오우거
21/01/04 13:59
수정 아이콘
강남역이 가까운게 주거지역으로서 이점이 있는게 아닌데
재건축이 다 되고 나면 좀 바뀌려나요?
학군도 애매하고
Scavenging Hyena
21/01/04 14:03
수정 아이콘
강남역 가까운건 좋긴한데 가격은 반포신축보다는 못할듯요.
반포 한강뷰 신축은 압구정 말고는 적수가 없음
21/01/04 14:05
수정 아이콘
이걸 보니 예전에 강남역 근처 롯데캐슬에 과외하러 갔던 게 생각나네요.
그때는 '우와 대단하구나' 정도의 소감만 있었는데, 요즘 집값을 생각하니 입이 떡 벌어지는군요 크크
지금 찾아보니까 딱 저기에서 위로 큰 길 하나만 건너가면 있군요...
MissNothing
21/01/04 14:05
수정 아이콘
저기 살정도로 돈있는 사람들은 지하철역이랑 가까운게 큰 메리트일까요 크크 역이랑 가까워서 더 비싸지는데 정작 필요는 없는 아이러니...
김연아
21/01/04 14:54
수정 아이콘
엄청 메리트죠. 전, 월세 줄 때 개이득입니다.
MissNothing
21/01/04 16:27
수정 아이콘
아...!
21/01/04 14:05
수정 아이콘
떠난지 꽤 돼서 몰랐는데 무지개는 벌써 재건축하고 신동아도 재건축 들어가는군요...

어렸을때 오소아과의원이라고 정말 치가떨리게 쓴 가루약을 줬던 병원이 생각나는디...

그 약이 딸기향이라서 전 아직도 딸기향 음식 잘 못먹습니다 크크 트라우마 개오져버림
macaulay
21/01/04 18:46
수정 아이콘
서초동 신동아에서 20년 살았었습니다. 괜히 반갑네요...
비밀친구
21/01/04 14:08
수정 아이콘
위치 좋다는 말 전 이해가 안되는게 저기서 출퇴근 상상해보시면 극혐일텐데. 아파트는 무조껀 올림픽이나 강변북로 근방이 좋습니다요
샤한샤
21/01/04 14:19
수정 아이콘
저도 저 자리가 주거용으로 아주 좋은 위치는 아니라고 생각되네요
물론 저는 저기 살 돈 없습니다.
이민들레
21/01/04 14:19
수정 아이콘
살돈도 없지만 살돈 있어도 같은 값에 저긴 안살거 같네요.. 강남역에 걸어서 직장이 있지 않는한
산밑의왕
21/01/04 14:22
수정 아이콘
삼성타운 근무자들은 저기 들어가서 살고 싶을까요 아닐까요? 크크
섹무새
21/01/04 14:31
수정 아이콘
전 공짜로 줘도 관리비 못내서 팔아야 할듯 ㅠ
차라리꽉눌러붙을
21/01/04 14:36
수정 아이콘
저는 좀 더 산 있는 데가 좋아요......
21/01/04 16:26
수정 아이콘
노원 도봉이 딱이네요.. 앞에 강도 있음....
차라리꽉눌러붙을
21/01/04 17:22
수정 아이콘
사실...관악 주민이었습니다......흐흐...
배고픈유학생
21/01/04 14:40
수정 아이콘
사진만 보면 왕복 4차선 도로가 전부인데, 교통은 어떤가요? 완전 지옥헬아닌지
조공플레이
21/01/04 15:26
수정 아이콘
지금도 출퇴근시간에 뱅뱅사거리 강남대로 교통 헬인데 저기 입주 풀로 들어오면 더 심해질 것 같아요
21/01/04 14:47
수정 아이콘
주거지로 그닥 좋은 위치가 아니라는 리플들이 공감이 갑니다.
차라리 반포나 이촌동쪽이 (집값도 더 비싸고) 살기는 더 좋을겁니다.
김연아
21/01/04 14:56
수정 아이콘
돈이 없어서 그렇지, 여력만 되면, 다들 응모해서, 당첨만 되면 뛸 듯이 기뻐할테죠. 흐흐흐.
21/01/04 15:10
수정 아이콘
와 저기 살면 차는 여행갈 때만 쓰겠네요.
AaronJudge99
21/01/05 20:16
수정 아이콘
와.,,.진짜...평당얼마하려나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09203 [유머] 경상도 사람들 따라하다 웃는 문장.jpg [39] 삭제됨15881 21/01/04 15881
409202 [유머] 제일 친한 친구 3명을 적어주세요.jpg [16] prohibit12837 21/01/04 12837
409201 [유머] 밥먹다보면 2층에서 사람 떨어짐 [21] 파랑파랑12019 21/01/04 12019
409200 [유머] 딸이 제출한 그림숙제를 오해해서 놀란 선생님 [17] 파랑파랑11755 21/01/04 11755
409199 [기타] f-35에 탑승하는 사다리를 araboza [29] 피쟐러9421 21/01/04 9421
409198 [기타] 2020 행정고시 5급 같은 직렬에 남매가 동시 합격 [43] 청자켓13672 21/01/04 13672
409197 [기타] 6분안에 똥싸야 되는 이케아 [41] 피쟐러14775 21/01/04 14775
409196 [기타] 7급 떨어지고 목숨 끊은 친구(有) [52] 피쟐러15299 21/01/04 15299
409195 [연예인] 유재석 씨는 인생의 마지막 날 무엇을 하고 싶으신가요? [37] 2021반드시합격12916 21/01/04 12916
409194 [기타] 알리바바의 창립자 마윈의 실종이 의심됨.news [46] 삭제됨13482 21/01/04 13482
409193 [게임] 드래곤볼계층] 베지터가 좋아하는 짤 [9] 피쟐러9231 21/01/04 9231
409192 [유머] 아재들 인스타 페이스북 특징.jpg [17] prohibit12810 21/01/04 12810
409191 [서브컬쳐] 이상한데서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중국인 [27] 성아연11337 21/01/04 11337
409190 [텍스트] [2ch] 야한 의미인 줄 알았던 단어 (음란마귀주의) [19] 추천11402 21/01/04 11402
409189 [기타] [코인] PGR매매법 현황 [45] 피쟐러10813 21/01/04 10813
409188 [유머] 간단히 알아보는 레버리지나 인버스ETF 장투해도 본전이 안 오는 이유.jpg [10] 삭제됨8126 21/01/04 8126
409187 [기타] 일본의 안 흔한 전철 [20] 마감은 지키자13952 21/01/04 13952
409186 [유머] 윈도우 95 개발 중 가장 힘들었던 순간 [15] 동굴곰9707 21/01/04 9707
409185 [기타] 100년전 지문인식 체계가 재빨리 도입된 이유. [10] 추천11917 21/01/04 11917
409184 [기타] 트위터로 보는 2020.twitter [6] 추천6669 21/01/04 6669
409183 [유머] 최근 일본에게 한국이 진 것.DATA [12] 추천11005 21/01/04 11005
409182 [유머] 독일인이 본 일본 문화재.jpg [49] 삭제됨12778 21/01/04 12778
409181 [기타] 2021 아이폰 루머 [47] 껌정10178 21/01/04 1017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