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12/29 20:29:36
Name 우그펠리온
File #1 c547becff3a3099106e5588f1b5926ab.jpg (485.5 KB), Download : 75
출처 개드립
Subject [유머] 게임사에게 무과금 유저는...



의외로 무과금 유저를 소홀하게 생각하지 않는군요?

서버 비용만 낭비시키는 파리 정도로 생각하는 줄 알았더니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Dena harten
20/12/29 20:30
수정 아이콘
요새는 무과금 유저를 소홀하게 생각하지 않는다기보단 과금유저를 흑우로 보는듯한......
Meridian
20/12/29 20:32
수정 아이콘
요즘 모바일겜중에서는 카트라이더 러쉬+ 가 비슷하지 않나.... 무과금도 괜찮은데 과금하면 재미랑 뽀대의 질이 달라져서 크크크
코우사카 호노카
20/12/29 20:34
수정 아이콘
요즘 게임은 소과금이랑 중과금은 큰 차이가 없고 핵과금 부터 급이 달라지는 운영이 많은듯
끄엑꾸엑
20/12/29 20:36
수정 아이콘
게임 이야기이긴 하지만 저출산 문제에도 어쩐지 먹히는 듯한
20/12/29 21:24
수정 아이콘
결혼하고 싶은데 돈이 없어서 / 환경이 구려서 못해애애액족보다는
결혼 (자체에) 아무 이점도 없는데 왜 함? 내 인생에 온전히 투자하고 살아야지 족이 훨씬 많아서...
싱글들한테 좋은 환경을 조성한다고 '나는 결혼과 출산을 해서 내 인생 손해보는 게 싫다'는 현 세대 핵심 의식을 바꿀 수 있는가에 대해선 회의적입니다.
20/12/29 21:51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한국안망했으면
20/12/29 23:21
수정 아이콘
저도 환경이 나아지니 더 큰 욕심이 생기더라구요.. 동의합니다
재활용
20/12/29 23:59
수정 아이콘
메타 조합 고민없이 뭐든지 한쪽 루트로만 현질한 만큼 랭킹올라가고 무과금도 조합으로 어느정도 게임이 되게 밸패하려 해도 고렙들 반발에 접고 결과적으로 무과금 뉴비 배척하는 현질겜은 유저들이 꼬접하죠..
20/12/29 20:37
수정 아이콘
무과금 유저를 해충취급하던 것은 정액제가 만연하던 시절이고, 무과금 유저를 잡아야 돈이 벌린다는 사실이 업계 상식이 된지 7~8년정도 되어 갑니다.
20/12/29 20:38
수정 아이콘
무과금유저는 부분유료화 게임의 기반이죠.
무과금유저를 소흘히 하는 게임은 오래 못갑니다.
비오는풍경
20/12/29 20:38
수정 아이콘
무과금 유저가 있어야 과금 유저도 있는 법이라서
뽀롱뽀롱
20/12/29 20:38
수정 아이콘
회사 입장에서는 유료 npc를 설치한 느낌이려나요
김재규열사
20/12/29 20:40
수정 아이콘
저는 과금유도 게임은 거의 하지도 않고 거르는 편이었는데 엘모 유명 과금게임 하는 친구에게 얼마전 강의 듣고나서 잘나가는 게임은 나름 목초지 관리 기법이 다 있구나 싶었습니다. 과금유도 끝에 망하는 게임들은 목초지 관리를 잘 못한 경우가 많다고 하더라고요.
20/12/29 20:40
수정 아이콘
김실장님이 이거 관련해서 이미 위와 거의 비슷한 워딩으로 썰을 푸셨던 기억이 있는데요...
톰슨가젤연탄구이
20/12/29 20:41
수정 아이콘
직설적으로 표현했지만, 저게 맞죠.
과시욕을 뿜어낼 기반도 없는 망겜에 누가 돈을 지르겠습니까
동굴곰
20/12/29 20:42
수정 아이콘
누군가보다 우위에 서기 위해서 과금을 할텐데, 그 누군가가 필요하죠.
거짓말쟁이
20/12/29 20:45
수정 아이콘
실제 운영만 봐도 알 수 있죠...게임이 오래되고 고인물 판이 돼서 무과금층이 얇아지면 일부 과금유저들이 억울해할만큼 공짜이벤트를 퍼주죠...
캬옹쉬바나
20/12/29 20:46
수정 아이콘
괜히 게임사들이 복귀 이벤트 주기마다 하는 것이 아니죠. 브라운 더스트처럼 아예 점핑 캐릭터 퍼주는 게임도 있고요(그래도 하기 힘든 것은 마찬가지지만 ㅠㅠ...)
하르피온
20/12/29 20:46
수정 아이콘
누군가 돌캐고 풀도캐고 맞아도 줘야죠
20/12/29 20:48
수정 아이콘
모바일겜을 각잡고 하는 스타일은 아니라 잘 모르는데 오히려 무과금유저 좋으라고 어마어마하게 뿌리지 않나요?
단적으로 그나마 좀 오래했던 별이되어라 같은 경우엔 아레나 100위권까지 찍어봤는데
그 당시에도 이것저것 뿌리는게 자주 있어서 계속하는 것보다 메타 바뀌고 복귀하는게 더 이득같다고 좀 꼽게 생각했던 기억이 크크
20/12/29 20:48
수정 아이콘
롱테일 법칙이라는 포장지 필요없이, 가만히 생각해보면 파이 자체 크기의 문제죠. 아무리 Pay-2-Win 모델을 잘 만든 게임이라고 해도, 무과금 유저가 없다? 사람이 없는 겁니다. 그리고 사람이 없이 돈만 내야한다? 그 돈 있는 사람이 사람 많은 게임으로 가버리죠. 특히 가챠게임에서는 더욱 문제인게, 패키지 게임이나 인디 게임이면 '아 진짜 이 게임은 대체제가 없다'라는 소리가 나오면서 진짜 사전적인 의미의 콘크리트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근데 가챠게임, 모바일 게임은 사실 '정말 혁신적이야! 이 게임은 대단해!'라고 하면서 사람을 붙잡아 둔게 아니거든요. 그냥 하는 사람 많고, 뭐 잘 뽑았을때 반응해주는 사람있고 그러니까 굴러가는겁니다. 어떻게보면 진짜 닫힌 계에서 파이 나눠먹기를 하고 있어서 베짱장사가 가능하지 않냐는 말은 딱 절반의 사실만을 말해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진짜 파이가 순식간에 빠져요.
서린언니
20/12/29 20:49
수정 아이콘
어쨌든 서버에 사람이 있어야 게임이 활기가 있죠, 아무도 없는 놀이터에 누가 오나요
과금 유저는 전체 이용자의 10%도 안되거든요 정기적으로 과금하는 사람은 더욱 적구요
2021반드시합격
20/12/29 20:50
수정 아이콘
최상의 윈-윈 과금 프로세스는
내가 니네 게임 덕분에 공짜로 재미있게 놀았으니 이 정도 돈은 줄 수 있어, 겠죠 아마 크크크크

...... 분명 그런 마인드로 FGO 확차만 하자고 생각했는데, 어디갔니 초심
아스트란맥
20/12/29 21:54
수정 아이콘
저는 아직 그런 마인드를 지켜서 확차만 하고 있네요 크크
20/12/29 20:55
수정 아이콘
트위터 팔로워 많은 작가들한테 팬아트 뒷광고같은거 시키면 효과 좋을 동네긴 하죠 크크
유자농원
20/12/29 20:55
수정 아이콘
응애 나 아기목초

사실 유저규모도 중요하죠 그럼 과금여부가 아니라 유저수가 많은것이 좋은거고 과금여부는 비율이 중요한거고.
크레토스
20/12/29 20:57
수정 아이콘
사실 무과금이던 뭐던 합법적인 공식경로로 즐기는건데요.
어둠의 경로로 컨텐츠 즐겨놓고 별로라고 욕하는 사람들이 제일 나쁘죠.
아이폰텐
20/12/29 20:57
수정 아이콘
다 좋은데 가끔 무과금으로 즐기는걸 프라이드 삼는 게이머가 문제죠
20/12/29 21:00
수정 아이콘
아 뜨끔.

대신 철권에 수천만원 과금했......
20/12/29 20:59
수정 아이콘
최상의 윈-윈 과금 프로세스는
내가 니네 게임 덕분에 공짜로 재미있게 놀았으니 이 정도 돈은 줄 수 있어 (2)

전형적인 목초 기만자인데, 뱅드림만 정액끊고 놀고 있습니다.
요즘은 재화자체의 가치를 높혀서 월정액 정도는 끊게 만드는게 포인트더군요. 게임의 몰입도는 있는데 강제성은 없는게 좋아요.
20/12/29 21:00
수정 아이콘
무과금으로 게임하던 급식, 학식들 커서 돈벌 때까지 버텨도 되죠 크크크
크레토스
20/12/29 21:06
수정 아이콘
이게 말만 들으면 이상적이고 최고 같지만..문제는 그때까지 IP가 안 망하고 버티기가 쉬운일이 아니라는 거죠 크크
제대로 나오기만 하면 돈 써줄텐데 망하거나 호흡기만 붙어 있는 IP가 정말 한둘이 아닌..
20/12/29 21:01
수정 아이콘
최고 악질은 팬코가 맞죠
유니언스
20/12/29 21:01
수정 아이콘
일본에서도 과금 유저를 소라고 부르는구나
-페그오 검은소가-
라임오렌지나무
20/12/29 21:05
수정 아이콘
굳이 목초지랑 흑우로 급을 나눌거도 없이. 사람이 북적북적한 게임 하는게 더재밌어요.
페로몬아돌
20/12/29 21:14
수정 아이콘
음메 음메~
20/12/29 21:19
수정 아이콘
응애 나 아기목초
20/12/29 22:00
수정 아이콘
근데 PC방 유저도 과금유저라고 봐야 하나요? 저는 과금은 거의안했는데 PC방은 자주갔거든요
대패삼겹두루치기
20/12/29 22:08
수정 아이콘
PC방 혜택이 있는 게임들은 PC방에서 게임사에 시간당 요금 결제하는 걸로 알고 있어서 과금유저 비스무리한 무언가 아닐까요?
20/12/29 22:21
수정 아이콘
혜택 주는 겜방이면 정액제랑 유사하게 봅니다.
55만루홈런
20/12/29 22:12
수정 아이콘
당연한게 무과금 유저가 없으면 유저층이 없는거고 과금 유저들이 돈 을 더 쓰면서 하고 싶은 맘이 사라지죠...

무과금이 많아야 인기 게임이 되면서 점점 과금층이 늘려나는 구조라 크크
20/12/29 22:13
수정 아이콘
1대1 투혼 초보만
유념유상
20/12/29 22:39
수정 아이콘
과금유저도 무과금 유저가 있어야 상대적으로 우월감을 느끼면서 과금하죠.
무과금 유저가 없으면 과금 유저도 타게임으로 넘어감
미카엘
20/12/29 23:39
수정 아이콘
학살할 무과금러가 많아야 과금러도 더 즐거우니까요 크크
20/12/30 08:23
수정 아이콘
개인의 선택이죠. 개인적으로 모바일겜은 무과금or소과금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08847 [유머] 지체 장애인 친구 썰... [7] 파랑파랑10953 20/12/31 10953
408846 [유머] 화이자 백신 [21] 김유라12356 20/12/31 12356
408845 [유머] 오늘 아니면 못쓸 짤 [11] 파랑파랑9450 20/12/31 9450
408844 [서브컬쳐] 오타쿠가 되기 일보직전의 당신 [22] 공항아저씨10908 20/12/31 10908
408842 [LOL] 큐베의 프로게이머가 된 이유 [13] ELESIS9363 20/12/31 9363
408840 [유머] Twitter아이콘 위험도 랭킹 wwwwwwwww [9] 추천7373 20/12/31 7373
408839 [게임]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 [2] Pinocchio6432 20/12/31 6432
408838 [유머] 새해쯤 되면 일단 한번 해보는것.jpg [14] 끄엑꾸엑10318 20/12/31 10318
408837 [서브컬쳐] 만화 일러스트 해외직구 팁 [13] 추천8481 20/12/31 8481
408836 [유머] [공지] 정치 관련 게시글 및 댓글에 대한 안내 [25] 더스번 칼파랑6668 20/12/31 6668
408835 [동물&귀욤] 우간다 목장에서 발견된 뿔 세 개 달린 소.gif [26] VictoryFood11275 20/12/31 11275
408834 [방송] 1분만에 보는 3분 떡볶이 [4] 타카이10519 20/12/31 10519
408833 [유머] 92년생 특) [28] 추천10997 20/12/31 10997
408832 [동물&귀욤] ‘빅픽처 세계 자연사진 공모전’ 올해의 수상작 모음 [5] 추천7151 20/12/31 7151
408831 [게임] 해설진의 역대급 스폰서 홍보 [20] 따라큐9576 20/12/31 9576
408830 [LOL] 젠지.. LG.. 복선.. [5] 공항아저씨8086 20/12/31 8086
408829 [LOL] 연말결산 하셨나요? [2] 공항아저씨7591 20/12/31 7591
408828 [기타] 손바닥만한 E-ink는 가라 25인치 e ink모니터 [17] Lord Be Goja12991 20/12/31 12991
408827 [기타] 6.7 인치 E INK 5G 스마트폰... [13] 우주전쟁9383 20/12/31 9383
408826 [유머] 통모짜 핫도그 불쌍해 ㅠㅠ [21] KOS-MOS11524 20/12/31 11524
408825 [유머] 안전 문자 베리에이션 [9] 쏘쏘쏘9109 20/12/31 9109
408824 [유머] 2020년 마지막 퇴근하는 직장인들 근황 [14] 길갈12711 20/12/31 12711
408823 [유머] 모든 논쟁에서 이기는 방법 [19]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742 20/12/31 1074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