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11/15 21:42:17
Name 아케이드
출처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0061108431997608
Subject [기타] 대기업 종사자수는 전체의 11%
2019년 기준

우리나라에서 대기업 종사자수는 전체의 11% 밖에 안된다고 하네요

매해 관련통계를 보고 있는데, 계속 줄어들고 있는 듯 합니다.

참고로 2017년에는 12.5%였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우정머
20/11/15 21:44
수정 아이콘
꽤 많네요 대기업보다 좋은 일자리까지 합치면 20%넘길듯
아케이드
20/11/15 21:45
수정 아이콘
대기업보다 좋은 일자리라면 공무원 공기업쪽 정도일텐데 그걸 합쳐도 그렇게 많은 수는 아니지 않을까요?
20/11/15 21:46
수정 아이콘
줄어드는건 갈수록 직원을 줄이는 추세라서..
아케이드
20/11/15 21:47
수정 아이콘
뭐 그렇긴 하죠. 제가 있는 쪽도 비 IT 인력은 매년 줄여나가고 있더군요
브라이언
20/11/15 21:59
수정 아이콘
제가 있는곳은 IT인력이 퇴사해서 충원을 안하더군요.
그럼 남은 사람들은 퇴시한 인원의 일까지 같이 하며 버티다가 힘들어서 또 퇴사하고.
점점 악순환이...
싸구려신사
20/11/15 21:47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높은 비율이군요.
아케이드
20/11/15 21:49
수정 아이콘
다른 나라에 비해서 매우 낮은 비율로 알고 있습니다. 가까운 옆나라만 해도 대기업 종사자수가 무려 30%나 된다고 하네요.
20/11/15 23:15
수정 아이콘
일본인가요? 하청 자멸 드립이 일본에서 나온거랑, 작은 기업들 많은것까지하면 대기업 비율이 우리나라보다 낮을꺼라 생각했는데, 대기업 자체도 많아서 비율이 높은건가.. 신기하네요.
뿌지직
20/11/15 21:47
수정 아이콘
대기업도 연봉 높은 메이저급이면 훨씬 적겠죠..
20/11/15 21:48
수정 아이콘
근데 대기업의 기준이...?
아케이드
20/11/15 21:50
수정 아이콘
기사 보시면 기준을 64개 그룹으로 잡고 있으니 대부분의 상장사가 포함될듯 합니다. 삼성그룹 전체를 1그룹, LG그룹 전체를 1그룹하는 식으로 잡고 있으니 말이죠
20/11/15 21:49
수정 아이콘
저건 말그대도 재직 기준이라 일반적인 인식이랑 차이가 있는데

먼저 대기업의 범위가 생각보다 훨씬 넓고-보통 대기업하면 생각나는 재벌들은 대기업중에서 탑티어고 30대기업, 50대기업 이런식으로 따로 구분함.
두번째로 계약직, 생산직 이런 일반적인 공채사무직 외의 직원들을 다 포함하고 있는 거라 화이트칼라 기준으로 하면 훨씬 줄어들죠.
아케이드
20/11/15 21:50
수정 아이콘
말씀대로 탑티어 대기업 기준으로 가면 훨씬 줄어들고 거기에 대졸 사무직이면 뭐 정말 극소수겠죠
응~아니야
20/11/15 21:54
수정 아이콘
하청때문에 그렇죠 뭐... 사실상 하청이나 부속기업 고려하면 훨씬 증가할듯
아케이드
20/11/15 21:55
수정 아이콘
아마 말씀대로일 겁니다. 하청을 주는게 코스트도 적고 리스크도 적으니 왠만하면 하청으로 돌리고 아웃소싱하는 경향이 있기는 합니다.
훌게이
20/11/15 21:59
수정 아이콘
이런건 대기업 기준을 뭘로 잡냐에 따라 많이 달라지긴합니다.
들어가서 보니 공시대상기업집단(연결기준 자산 5조이상)으로 잡았네요.
포함 기업집단 리스트 링크합니다.
https://www.taxtimes.co.kr/mobile/article.html?no=244555
20/11/16 00:31
수정 아이콘
자산 기준은 정확히 말하면 해당 기업집단 각 소속회사의 별도/개별 재무제표 상 자산총액(금융사는 자기자본)의 단순 합산금액입니다.
유자농원
20/11/15 22:24
수정 아이콘
정규직 사무직하면 더줄어들거고
최종병기캐리어
20/11/15 23:13
수정 아이콘
신규채용은 최소화함으로써 정규직의 자연감소를 유도하고, 업무분석을 통해 비핵심업무들은 외주, 용역을 이용하는 방향으로 인력구조를 재편하고 있죠.
20/11/16 00: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공대기에 포함 안 되는 좋은 직장들도 많은데..
그리고 고용시장 측면에서야 대기업 소속 근로자 비중이 높으면 좋겠지만...
결국 종업원 수가 많다는 건 시장에서 대기업의 자산,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거니 경제력집중억제 측면에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04211 [LOL] 이와중에 공트가 터진 t1 [14] 카루오스9691 20/11/17 9691
404210 [기타] 요절복통 편의점 [4] 쎌라비8499 20/11/17 8499
404209 [기타] 미국에서 가장 깡촌인 주 [57] 쎌라비14315 20/11/17 14315
404208 [유머] 콜록 콜록! 이게 무슨 냄새야? [6] 끄엑꾸엑8091 20/11/17 8091
404207 [기타] 엄재경해설위원이 제일 싫어했던 선수 [45] 쎌라비13154 20/11/17 13154
404206 [유머] 전설의 품번 [36] KOS-MOS12726 20/11/17 12726
404205 [LOL] LCK 상황.jpg [8] insane9260 20/11/17 9260
404204 [LOL] 속보) 김정균 감독 응급실 [8] Starlord10230 20/11/17 10230
404202 [유머] 극한의 현실 가챠 [13] KOS-MOS10953 20/11/17 10953
404201 [유머] 아직도 끝나지 않은 미 대선 [12] 크레토스9397 20/11/17 9397
404200 [기타] KFC 신메뉴 [35] 김티모11198 20/11/17 11198
404198 [기타] 28사단 시절 윤씨에 대한 간증(?).JPG [13] 실제상황입니다14134 20/11/17 14134
404197 [유머] 건륭제가 얼마나 부지런히 시를 썼는가? [11] 성아연10208 20/11/17 10208
404196 [유머] 20대를 압도하는 40대의 힘 [12] 와칸나이16689 20/11/17 16689
404195 [유머] 진짜 계한빠의 광기 [8] 성아연9086 20/11/17 9086
404194 [게임] [WOW] 어둠땅 출시 시네마틱 [8] 아따따뚜르겐8141 20/11/17 8141
404193 [LOL] 결국 이번에도 인연을 소중히 여긴 데프트 [11] 삭제됨12254 20/11/17 12254
404192 [유머] 밑장빼기의 3가지 기술 [8] Croove12088 20/11/17 12088
404191 [기타] 2018년 기준 세계인구 카토그램.jpg [13] 손금불산입10435 20/11/17 10435
404190 [연예인] 전직 아이돌도 피해갈 수 없는 인스타그램 변화 [5] 삭제됨11162 20/11/17 11162
404188 [유머] 다시는 비둘기를 무시하지 마라.jpg (은혜값은 비둘기) [5] VictoryFood8987 20/11/17 8987
404187 [기타] 고스톱 알못을 위한 고스톱의 정석.jpg [13] 김치찌개10343 20/11/17 10343
404186 [기타] 부산 맛집 깔끔하게 정리.jpg [16] 김치찌개9190 20/11/17 919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