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10/25 15:41:02
Name TWICE쯔위
출처 펨코
Subject [기타]  사우디에서 처음으로 등재된 세계 문화유산.jpg

qasr_alfarid_382.jpg 사우디에서 처음으로 등재된 세게 문화유산

26295D4C54E9982135.jpg 사우디에서 처음으로 등재된 세게 문화유산

5359356_201091229128329.jpg 사우디에서 처음으로 등재된 세게 문화유산

63fad33254f83265910a9876662e27fc_MRf7MqjCsMxjF7.jpg 사우디에서 처음으로 등재된 세게 문화유산

a0NDpbL_700bwp.webp.ren.jpg 사우디에서 처음으로 등재된 세게 문화유산



바위를 깎아서 만든 고대 무덤 마다인 살레



이게 왜 여지껏 세계문화유산이 아니었......


대체 고대인들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눈팅전문가
20/10/25 15:44
수정 아이콘
탈라샤???
쿠쿠섬치킨
20/10/26 08:55
수정 아이콘
누가 지팡이는 꽃아놨나보네요
Anti-MAGE
20/10/26 12:55
수정 아이콘
듀리엘이 지키고 있는 그.. 덜덜덜
스덕선생
20/10/25 15:45
수정 아이콘
??? : 이걸 저희가 만든다고요?

여담이지만 사우디에 있는 이슬람성지라는 돌던지는 곳은 등록이 안되어있나보네요.
끄엑꾸엑
20/10/25 15:45
수정 아이콘
액트2
20/10/25 15: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고대가 어느정도 옛날인지 모르겠는데 이집트나 앗시리아 문화유산에 비하면 고대인들이 저런 걸 만들다니 할 수준은 아니지 않을까요? 당장 이슬람 근본주의자들 있는 지역은 저거보다 더 크고 화려한 문화유적도 우상숭배라고 박살나거나 관리할 사람 없어서 자연적으로 망가지거나 하고 있을거 같은...
n막m장
20/10/25 22:11
수정 아이콘
어디선가 들었는데 이란에 숨어 있는 문화유산이 그렇게 많다고... 들었어요.
중동쪽이 다 그렇지만, 기독교/천주교/이슬람교 공통의...
오클랜드에이스
20/10/25 15:46
수정 아이콘
이게 왜 여태까지 아니었죠?
Rorschach
20/10/25 15:50
수정 아이콘
이게 지금까지 아니었다고?!?!
20/10/25 15: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슬람권이 유네스코 유산 등재 같은 것에 소극적인 이유는, "자힐리야 (무지의 시대, 암흑의 시대)" 개념 때문입니다.

이슬람 이전의 시대를 부르는 명칭인데요, 그 시대에 잘난 것은 아무것도 없었고, 비로소 예언자 무함마드가 이슬람을 만든 다음에야 인간의 문명이 꽃피었다고 가르칩니다. 근데 저런 유산들은 대부분 이슬람 이전의 유적들이거든요... 그러니 부수면 부셨지(?), 뭐 잘났다고 떠드냐... 이런 분위기가 있습니다. 반면 이슬람 유산은 국제단체를 끼지말고 무슬림들만이 관리해야 한다고 등록을 안하고요. (예를 들어, 메카나 메디나는 그 내부의 신전을 따로 때는 형태로조차도 문화유산으로 등재가 안 되어있습니다) 그나마 요즘 조금씩 바뀌고 있습니다.
리자몽
20/10/25 16:08
수정 아이콘
그랬군요

그럼 지금까지 남아있는 이슬람 이전 유적지는 늦게 발견이 됐거나, 모종의 이유로 파괴 못해서 남아있다고 봐도 되는거네요 덜덜덜
일반상대성이론
20/10/25 16:24
수정 아이콘
뭐 다른 이유지만 결과적으로 중국도 비슷하긴 하죠
리자몽
20/10/25 16:26
수정 아이콘
하긴 중국은 문혁으로 본인들 뿌리를 박살내긴 했죠 @_@
20/10/25 16:53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문혁하고도 뭔가 상당히 공통점이 많다는걸 저도 깨닫게 되네요...
20/10/25 16:52
수정 아이콘
사실 근데 파면 팔 수록 자힐리야 시대가 진짜 아라비아 문화의 황금기가 아니냐 하는 소리가 나오고 있어서 또 아이러니합니다 크크크크!

이게 넓게 잡으면, 창조 이후 ~ 이슬람까지 이지만, 좁게 잡으면 '5-6세기, 곧 이슬람의 등장 직전 (이슬람은 7세기 초에 등장)'인데요. 이때가 무슨 시절이냐면, 기독교 믿는 동로마 VS. 조로아스터 믿는 사산 왕조 => 두 나라의 패권갈등 덕분에 직접 교역로 쇠퇴 (팔미라 등) 우회로로 아라비아 반도가 각광받음 + 영향력이 증대되는 이스라엘의 유대교의 확산 및 종교의 끝판왕 힌두교를 가진 인도와의 인도양 교역료 연결... 이라는 그야말로 아라비아 종교 운동의 최고 황금기였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이슬람교도 탄생한거고요.

그러니 중국 진시황이 그랬던 것처럼 (중국을 통일했으니 한자와 도량형을 하나로 통일한다!), 무함마드도 쿠란에서 기록되는 수많은 '우상숭배자 부족들과의 전쟁'을 마치고 나서는 "자힐리야가 끝났다! 알라이외 다른 신은 없다!" 라고 선언해버린 것이었지요.

하지만 애석하게도 지금까지 역사가 흐른걸 보면... 꽤나 해석이 맹목적으로 되다보니 잃은게 더 많은 느낌이죠?
일반상대성이론
20/10/25 16:56
수정 아이콘
기독교도 근본주의적으로 해석하면 별 차이 없을텐데 '이슬람교' 자체의 잘못일까 싶습니다.
리자몽
20/10/25 16:58
수정 아이콘
중국과 이슬람의 차이점은 진나라는 너무 빨리 멸망했고 이슬람은 현재까지도 잘 남아있다는 차이점이군요

저도 이슬람 태동부터 현대까지의 역사는 맥락적으로 알고 있었는데 자힐리야 시대는 Farce님 덕분에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역사에 관심이 꽤 많은 저도 이 시대는 처음 들어볼 정도니 이슬람의 자힐리야 시대 이전 역사 부정이 얼마나 심했을지 상상이 됩니다
데브레첸
20/10/25 18:44
수정 아이콘
자힐리야 ~ 이슬람 초기 시대의 아라비아반도는 자료가 너무 없고 연구도 미진합니다. 문명이 덜 발달한 곳이기도 하지만, 아랍권 학계 역량이 충분하지 못하고(이스라엘은 예외), 종교적 보수주의 때문에 종교의 근원을 밝히는 게 터부시되는 면이 큽니다. 수백 수천년의 학문적인 연구를 통해 성경에 나오는 시대와 지역이 실재했는지 연구해온 기독교권과 대조되죠.

이슬람 혐오자나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이 선날승을 해도 검증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히히힣
20/10/25 16:22
수정 아이콘
흥미롭네요.
20/10/25 15:59
수정 아이콘
페트라 돌려내라 이것들아
리얼포스
20/10/25 16:04
수정 아이콘
저 환경에서 저렇게 보존되어 있는 게 가능한가 싶습니다.
지니팅커벨여행
20/10/25 16:05
수정 아이콘
알려지면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의 손에 남아나질 않으니까??
아케이드
20/10/25 16:07
수정 아이콘
와 정말 놀라운 유물이네요
보라준
20/10/25 16:11
수정 아이콘
와 쩔어..
유념유상
20/10/25 16:38
수정 아이콘
저동네야.. bc 2000년 이라 쓰고 근대라고 하는 동네라..
라방백
20/10/25 16:39
수정 아이콘
사우디가 가지고 있는 자연 풍경 같은것들이 엄청난게 많아서 나중에 두바이처럼 관광으로 개발되면 가볼만한 곳이 많습니다.
섹무새
20/10/25 16:50
수정 아이콘
디아블로에서 봤어!
MaillardReaction
20/10/25 18:02
수정 아이콘
문명 다음판에 나올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02024 [LOL] 담원도 쑤닝 스토리에 뒤지지 않는 이유 [36] 따라큐10017 20/10/27 10017
402023 [게임] 차세대 콘솔 크기 비교 [12] 블랙번 록7487 20/10/27 7487
402021 [유머] 아이폰12 벚꽃 에디션 출시 [22] 판을흔들어라13162 20/10/27 13162
402020 [유머] 고속도로 휴게소....군것질 특징.jpg [42] 끄엑꾸엑12835 20/10/27 12835
402019 [유머] 동물의 숲 노재팬. internet [12] 추천10249 20/10/27 10249
402018 [유머] 지도로 보는 유럽역사 [10] Croove10945 20/10/27 10945
402017 [유머] 저번 대선에서 트럼프가 이긴이유 [12] 이재빠10972 20/10/27 10972
402016 [유머] 회사에서 [삼진그룹 영어토익반] 보러 간다니까 [12] 파랑파랑11447 20/10/27 11447
402015 [유머] 일본의 인기 AV여배우 근황.jpg [48] 삭제됨18637 20/10/27 18637
402014 [유머] 34A [103] 와칸나이13671 20/10/27 13671
402013 [유머] 다양한 정액의 맛 [23] 짱구14970 20/10/27 14970
402012 [유머] 프랑스 제품 보이콧하자는 에르도안 근황 [25] aurelius12673 20/10/27 12673
402011 [기타] [감동]17세 라그나로크 여자 고등학생 유저(스압) [20] Aqours11681 20/10/27 11681
402010 [유머] 티슈 처신잘하라고 [3] 파랑파랑9659 20/10/27 9659
402009 [유머] 호불호 갈리는 붕어빵 [23] 길갈10337 20/10/27 10337
402008 [서브컬쳐] 극 사실주의 일본 만화 [15] KOS-MOS11376 20/10/27 11376
402006 [유머] 침착맨이 오래가는 이유.jpg [41] 끄엑꾸엑16169 20/10/27 16169
402005 [유머] 헤어진 남친이 냉면집에서 보낸 메시지.JPG [25] Aqours15279 20/10/27 15279
402004 [유머] 30대 들어서면 필요한 마음가짐 [42] 파랑파랑13238 20/10/27 13238
402003 [유머] 페이커 : 나는 펩시콜라가 더 맛있다 [58] Aqours11632 20/10/27 11632
402002 [유머]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잘 모르는 것 [5] 회색사과9528 20/10/27 9528
402001 [유머] 중고나라 vip [30] 산밑의왕12410 20/10/27 12410
402000 [기타] 퍼시픽림 신작 유출? [23] 톰슨가젤연탄구이9583 20/10/27 958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