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9/25 12:22:21
Name 불행
File #1 화면_캡처_2020_09_25_122235.png (109.4 KB), Download : 81
File #2 화면_캡처_2020_09_25_122231.png (100.2 KB), Download : 66
출처 https://www.dogdrip.net/282070049
Subject [기타] 등록금 순위표 1~60위 [2020ver]




올해 전체대학 평균등록금은 6,716,300원, 작년보다 139,000원 올랐다.



- 등록금 + 입학금 대학교 순위



1위. 가톨릭대 제2캠 9,262,984원
2위, 연세대 9,155,129원
3위, 명지대 9,117,673원
4위, 신한대 9,082,743원
5위, 을지대 9,077,611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스트랄
20/09/25 12:23
수정 아이콘
기준이 1년이겠죠?
설마 한학기에 저정도면...
하르피온
20/09/25 12:24
수정 아이콘
1년입니다 흐흐
참고로 저 자료랑 밀접하게 연관있는곳에 일하는중..
쿠보타만쥬
20/09/25 12:25
수정 아이콘
대교협..?
하르피온
20/09/25 12:26
수정 아이콘
업무유관성이 높죠 대교협도 크크
인생은아름다워
20/09/25 12:24
수정 아이콘
고대보다 고대세종이 더 높네요?
20/09/25 12:32
수정 아이콘
심지어 세종엔 의대도 없을텐데... 크크크
네이버후드
20/09/25 12:25
수정 아이콘
1년치 같은데 와 별로 안올랐네요 크크 다닐때는 두배가 되었던거 같은데
이혜리
20/09/25 12:25
수정 아이콘
높은 순위권의 대학들은, 양질의 교수진에게서 배울 수 있다는 생각을 하니 비싼 등록금 이해를 하겠습니다.
카톨릭 같은 경우나, 을지대 같이 의대 낀 대학은 일부 학과가 확 평균을 높이니 그럴 수 있다고 하겠는데
신한대, 명지대?? 여기는 등록금이 대체 왜 높은 거예요??????????????????????????????????????????????????????????
쿠보타만쥬
20/09/25 12:32
수정 아이콘
학교 운영하는데 돈이 생각보다 많이 들어가요. 가령 한 학과에 정교수 연봉이 1억이라고 치고 학생한명 1년 등록금이 7백이라고 치겠습니다.
교수한명 연봉주는데만 학생 15명 등록금이 그대로 쓰인다고 생각해보시면 대충 답이 나올겁니다 한 학과 정교수 수만 생각해봐도..
사업드래군
20/09/25 12:26
수정 아이콘
모든 과 평균을 낸 값이겠죠?
전립선
20/09/25 12:28
수정 아이콘
제가 00년대 후반에 학교 다녔는데 10년도 더 전에 비해 많이 안올랐네요.
쿠보타만쥬
20/09/25 12:28
수정 아이콘
사실상 10년동안 등록금인상이 0이어서 그렇습니다.
20/09/25 12:55
수정 아이콘
저도 그런데 2000년대 미친듯이 등록금 올랐었죠. 거기다 지금은 국가장학금도 생기고 해서 예전보다 실질 부담은 줄어들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지나가던개
20/09/25 12:28
수정 아이콘
와 시립대 등록금 아이폰보다 싸다 이게 생각나네요. 지원해주시는 부모님들 대단하십니다.
이교도약제사
20/09/25 12:28
수정 아이콘
내 돈으로 등록금을 내다 보니..
사립대 등록금 감당이 안되서 자퇴하고 국립대로 다시 갔었는데.... 옛날 사람이라 다행인거 같네요 ;;
지금 저 등록금 리스트 보니 요새같았으면...그냥 대학 자체를 포기했었을듯 ;;
20/09/25 12:28
수정 아이콘
가톨릭 2캠은 의대와 간호대만 있어서 저런결과인듯합니다
언뜻 유재석
20/09/25 12:29
수정 아이콘
어라 저 들어갈땐 등록금 싼게 장점이었던 학교가 상위권이네요. 덜덜
칠데이즈
20/09/25 12:29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면 국립대가 참 싸기는 쌉니다.
졸업한지 10년이 다되어가지만 그때도 150정도 밖에 안냈으니.
이쥴레이
20/09/25 12:31
수정 아이콘
와 20년전..제 대학등록금때랑 비교해도.. 그다지 안 오른거 같네요.. -_-;;;
하르피온
20/09/25 12:38
수정 아이콘
대략적으로 3년간 평균 물가인상률 보다 높게 인상못하도록 되어있습니다.(계열별 등등 추가적 고려요소는 많음)
할수야있지만 국가장학금 대상대학 제외 등의 큰 패널티가 있죠
20/09/25 12:48
수정 아이콘
대면수업 안했을텐데 전혀 안깎아주나보네요
20/09/25 13:10
수정 아이콘
아마 그부분은 장학금형식으로 깎아줬을거에요
20/09/25 12:48
수정 아이콘
아 고려대학교 입학금 자리수 고치고 싶다...
애패는 엄마
20/09/25 12:55
수정 아이콘
연대 이대야 등록금 높기로 전통의 강호인데 비슷한 학교가 좀 있긴 하군요
Totato Crisp
20/09/25 13:00
수정 아이콘
고대가 생각보다 낮네요
무더니
20/09/25 13:06
수정 아이콘
아마 높은 확률로 꼴찌인데 다녀서 편안
Equalright
20/09/25 13:08
수정 아이콘
등록금인상을 근 10년막았으니 10년대 초 졸업하신분들은 큰 차이 없을거에요
조말론
20/09/25 13:21
수정 아이콘
모교 많이 죽었네
20/09/25 13:23
수정 아이콘
국가장학금1,2, 기타 교외장학금이랑 학교자체 장학금등으로 하면 실제 내는돈은 저 금액의 50~60% 정도 될겁니다.
레이첼 로즌
20/09/25 13:36
수정 아이콘
세금 많이 내면 국가장학금도 못받죠.
20/09/25 13:39
수정 아이콘
그렇죠. 개개별로는 전액 받는 사람도 있고 한푼도 못받는 사람도 있죠..
레이첼 로즌
20/09/25 13:40
수정 아이콘
제가 굳이 고소득자라고 안하고 세금 많이 내는 사람이라고 표현한 이유가 있죠. (・ω・)
좋은일
20/09/25 13:51
수정 아이콘
진짜 별로 안올랐네요.
잠만보
20/09/25 13:52
수정 아이콘
국가장학금, 학자금 등 없었을 때 저 돈 다 내고 다녔다면 등골 휘었겠네요 덜덜
퀴로스
20/09/25 14:05
수정 아이콘
미국 대학 학비 생각하면 아직 낮은편이네요. 애들 대학은 한국으로 갔으면 하고 있어요 ㅜㅜ
박근혜
20/09/25 14:43
수정 아이콘
15년 전이랑 똑같다니 신기
20/09/25 15:23
수정 아이콘
대학원까지 10년 다녔는데 10년동안 낸 등록금이 상위권 대학 2년치군요...
부모님께서 키울 때 돈 안들어서 좋았다고 한 이유를 알겠네요...
20/09/25 15:28
수정 아이콘
엑... 저 1학년 때 한학기 200정도 냈던걸로 기억하는데

하긴 20년 전...
신류진
20/09/25 15:37
수정 아이콘
국립대 졸업한게 자랑중에 하나입니다 크크
20/09/25 17:48
수정 아이콘
학교 축제도 지상파로 쏴주는 학교..
말다했죠
20/09/25 16:18
수정 아이콘
순전히 좋은건지는 모르겠는데 확실히 국가장학금 이후로 정부가 재정통제를 하다보니 크게 오르지 않았네요.
아델라이데
20/09/25 17:04
수정 아이콘
1년 기준이면 제가 다닐때랑 크게 차이가 안나네요.. 좋은건가.
프로그레시브
20/09/25 23:07
수정 아이콘
와 신한대는 뭐냐
첨들어보는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98684 [기타] 러시아 남성의 평균기대수명이 낮은 이유는?? . HTML [10] Lord Be Goja10978 20/09/26 10978
398683 [기타] AMD 게이밍수석설계자,근거있는 자신감 보여?? [9] Lord Be Goja10335 20/09/26 10335
398682 [LOL] 중소기업 게임 수준.bug [16] 예킨야11899 20/09/26 11899
398681 [유머] 남자의 수명이 짧은 이유 [6] 길갈9566 20/09/26 9566
398680 [유머] 어떤 일본인의 한국어 배우는 방법 [8] KOS-MOS12175 20/09/26 12175
398679 [유머] 모드가 너무 많아서 포기한 게임.jpg [19] 꿀꿀꾸잉12559 20/09/26 12559
398678 [게임] 모든 최신 그래픽카드의 숙명 [39] 빅타리온12176 20/09/26 12176
398677 [유머] 역사상 가장 유명한 어몽어스 현장 [4] 불행11332 20/09/26 11332
398676 [유머] 한국어를 배우는 이유 . twit [8] 불행12497 20/09/26 12497
398675 [기타] 엠팍에서 검색하다보면 무조건 하나는 걸린다는.jpg [9] 살인자들의섬10994 20/09/26 10994
398674 [서브컬쳐] 리얼 트랜스포머 [3] 불행6620 20/09/26 6620
398672 [동물&귀욤] 롱캣 고양이 근황 [3] 불행9665 20/09/26 9665
398671 [스포츠] 헤어스타일의 중요성.jpg [5] Star-Lord9969 20/09/26 9969
398670 [유머] 나무위키의 아이러니 [18] 불행11086 20/09/26 11086
398669 [기타] 약혐) 물총 조심해야 하는 이유.manhwa [18] 이런이런이런9201 20/09/26 9201
398668 [LOL] 미쿡인 다 된 임팩트.mp4 [9] 살인자들의섬8097 20/09/26 8097
398667 [기타] 무수히 많은 악수의 요청을 받는 유튜브 댓글.jpg [16] 살인자들의섬12716 20/09/26 12716
398666 [기타] 시바견 사탕만들기 [8] 카루오스7835 20/09/26 7835
398665 [서브컬쳐] 슬램덩크 vs 밸런스 팀 [37] 카미트리아8250 20/09/26 8250
398664 [유머] 삼국지에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교훈은? [43] 꿀꿀꾸잉11920 20/09/26 11920
398663 [유머] 맥심 10월 으아 [13] KOS-MOS14713 20/09/26 14713
398662 [유머] 서마터폰 중독자 테스트 [145] KOS-MOS13302 20/09/26 13302
398661 [유머] 아기공룡 둘리 [30] 길갈12688 20/09/26 1268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